31 August 2009. pp. 93 ~ 132
Abstract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ultimate state of Jung’s theory and Yogāāa is not the entity or the personal God but the phenomenon of the mind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and Dharma-kāa(法身. To begin with, I argue that the two theories can be discussed together from the two viewpoints. One is that Jung’s thought is not different from the world-view of Buddhism, and the other is that the subject of the two theories is the universal psychology of a human being. Then I examine that the concept of self means the ultimate state man at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and Dharma-kāa is the ultimate state attained from the āśaya-parivŗti(轉依 of āayavijñ āa. I argue there are some points of sameness between the self and Dharmakāa in that the two concepts mean not to stay in the internal state but to make social relationships. That is, Jung’s theory is oriented to a social relationship by recovering the self and Yogāāa is the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by acquiring nondiscriminative and subsequently attaining wisdom. I also argue that the self and Dharma-kāa as experiential results are not entities. Consequently, I attempt to prove that,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concept and psychological structure and of the category of the self and Dharma-kāa between the two theories in the microscopic view, when taking a broad view, there is a common point between the two theories in that they are all oriented to the ultimate state, which is not transcendental but experientially phenomenal.
본 논문은 융 이론의 ‘자기(self)’와 유식불교의 ‘법신’개념을 분석 함으로써, 두 이론이 보여주는 궁극적 경지가 형이상학적 실체나 초 월적인 인격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현상이라는 점을 논 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융의 사유가 불교세계관과 무관하지 않으며 인간의 보편적 심리를 대상으로 했음을 제시하고, 이러한 관 점에서 융의 이론과 유식불교가 같은 논의의 장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이어 융의 ‘자기’는 ‘개성화’라는 과정을 통해 도달되는 궁극적인 상태이며 유식불교의 ‘법신’은 수행을 통한 마음의 변화 즉 ‘전의’를 경험함으로써 증득되는 경지라는 점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자기’라 는 본성을 회복함으로써 원만한 사회적 관계형성을 지향하는 융의 이론과 ‘전의’에 의해 후득지(後得智)를 증득함으로써 법신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이후 중생구원을 제시하는 유식불교에는, 자신의 내적 인 상태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관계를 지향하는 공통 양상이 나타나 고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또한 융의 ‘자기’는 인류가 역사이래로 축적해온 원형적 이미지이며 이 ‘자기’는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라 경험의 산물이라는 점을 주목하여, 이러한 점이 법신의 공성(空 性)과 연결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미시적 관점에서 두 이론을 분석해보면 두 이론이 서로 다른 문화적 전통 속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마음의 기 능을 표현하는 개념 및 심리구조에 차이가 있으며 ‘자기’와 ‘법신’개 념이 의미하는 범주가 다르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지만, 거시적 관점 에서 볼 때 두 이론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곳은 초월적인 것이 아 니라 경험적인 마음의 현상이라는 점에서 두 이론이 공통된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논의하고자 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23
  • No :0
  • Pages :93 ~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