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April 2011. pp. 225 ~ 260
Abstract
When Nisshin who had been a Nichiren monk was excommunicated from Nichiren Buddhism, he founded the Honpou-ji Temple in Kyoto in 1436. After that, he was active in propagating over the country with a head Temple in Honpou-ji. His propagation was more positive and exclusive compared to the Nichiren Buddhism’s.The picture of Nisshin in Honpou-ji Temple, which is discussed in this thesis, is considered to be the oldest portrait of Nisshin and it has been said that it was painted by Kano Masanobu, the founder of the Kano school; however, it didn’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his other works. By examining the face in the picture of Nisshin following the originally a Chinese-style, and its body in Yamato’s style, we can see how Masanobu, originally a Chinese-style painter, combined his original painting style with Yamato’s. Also, even though this was kind of a Nichiren Buddhism portrait from an iconographic point of view, it didn’t follow that form in the style and rather had iconography similar to the Sukkavati portrait. Here is what we have to focus on. This is that even though he followed hokke-shu, he was a painter whose paintings were completed at the order of Shogunate and Zen monk. In other words, even if Masanobu was originally a Chinese-style painter, most of his works were to their taste, and that is the reason why the picture of Nisshin in Honpou-ji Temple has a similar iconography to the Zen portrait.The picture of Nisshin shows that Masanobu put his idea ‘to embody the spiri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rait in the Zen portrait, into painting the portrait and tried to embody the spirit of Nisshin.Only when the spirit was well expressed in the picture, could it be said that the picture had the ‘reality and resemblanc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edieval portraits.It is inferred that Masanobu followed this style. This means that specific description of the face in originally Chinese-style, a body description and legend in Yamato-e’s painting style can be related to respect for Nisshin and the expression of internal ideal after all. Masanobu thought that reality and resemblance could not be considered separately but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he intended to embody the Nichiren monk’s spirit through the picture of Nisshin.
일련종 승려였던 닛신 상인은 일련종으로부터 파문을 당한 후, 1436년 교토에서 혼포지를 개산했다. 이후 혼포지를 중심으로 전국 각지의 포교활동을 전개했다. 닛신의 포교활동은 일련종의 포교활동과 비교해 보다 적극적이고 타종교에 대한 배타성이 강했다. 본고에서는 논하고자 하는 혼포지 소장 닛신 상인상은 닛신의 가장 오래된 초상화로써 카노파의 시조 카노 마사노부가 그렸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마사노부의 일련의 작품들과는 공통성을 찾기 어렵다. 닛신 상인상은 얼굴묘사에 있어 한화풍(漢畵風)으로, 신체는 야마토에(大和繪)적 묘사를 하고 있는데, 이는 본래 한화가(漢畵家)였던 마사노부가 어떤 식으로 야마토적 표현기법을 병용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도상학적(圖像學的)으로 일련종(日蓮宗) 계열의 초상화임에도 불구하고 일련종 초상화 형식을 따르지 않으며 오히려 선종이나 정토종 초상화에 근접한 도상을 취하고 있다. 필자는 닛신상인상이 가지는 도상학적 특징을, 마사노부가 법화종 신도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막부와 선승의 주문을 받아 생활한 에시(繪師)였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화가(漢畵家)였던 마사노부의 작품은 대부분 막부와 선승의 기호에 맞춘 것으로 혼포지 소장 닛신 상인상이 선종계열 초상화에 가까운 도상적 특징을 갖는 연유 역시 마사노부가 주로 막부와 선종계열의 초상화를 제작했다는 데서 찾고자 했다.마사노부가 닛신 상인상 제작에 있어 가장 중요시 한 점은, 선승의 초상화에서 가중 중요한 요소인 “정신을 취한다”를 일련종 초상화에 대입해 닛신의 정신을 표현하고자 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외양의 모습 속에서 정신이 잘 드러났을 때 비로써 닮았다고 말하는 중세 초상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사실성과 닮음이라는 문제를 마사노부 식으로 접근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한화풍의 구체적 얼굴 묘사, 야마토에적인 신체묘사 및 찬(贊)이 닛신을 향한 존중과 내면적 이상 표현으로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마사노부는 사실과 닮음을 따로 떨어져서 생각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통하는 것이며 닛신 상인상을 통해 일련종 고승의 정신을 취하고자 한 것이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28
  • No :0
  • Pages :225 ~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