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June 2018. pp. 63~92
Abstract
Religions which began the question “Who am I?” originated in India. They teach that the goal is attained by practicing tapas or yoga. Buddhism, Jainism and Hinduism all have this common proposition. All Buddhist texts, compiled since 2600 years ago, elaborate on the beauty of enlightenment which brings peace, and also presents ways to attain enlightenment. The Mahayana text, The Awakening of Faith is an example. The Awakening of Faith promulgates ekacitta or one mind as tathatā dharma-kāya, and admires its sacredness from three aspects: quintessence, characteristic and function. The Awakening of Faith is about opening two gates of the mind: the mind gate of suchness that observes the true nature of the mind as it is, and the mind gate which continually arises and ceases while watching various developed phenomenal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s of the mind. The first mind gate is pure spirit which entirely cleans up the tri-doṣa: desire, hatred and ignorance, the absolute world beyond relative and equality. It does not have an actual method of expression, because that is the world of the Buddha and tathatā dharma-kāya. However, false words have to be confuted with true words in order for sentient beings to awaken. The second mind gate is a world of time and change as formation and extinction. Here, the theory of ālaya-vijñānais resolved: the vijñāna of truth and falsehood is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enlightenment. The Awakening of Faith is a foundation text of the Zen school. It is a systematic representation of the essence of Zen practice: ekacitta, tathatā, tathāgatagarbha, abandoning false or misleading thoughts, abandoning false mind, ekavyūha-samādhi or samadhi for realizing that the nature of all Buddhas is the same, tathatā-samādhi, śamatha-vipaśyanā, the process of actualization of enlightenment, śūnya, aśūnya, the theory of Dharmakāya, Sambhogakāya and Nirmāṇakāya, and repeating the Buddha’s name.
인디아에서 비롯된 종교들은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자기 성찰로부터 출발한다. 그들은 Tapas나 Yoga를 닦아 깨달음을 얻어 수행의 목표를 성취한다. 인디아에서 발원한 불교, 자이나교, 힌두교는 모두 이와 같은 점에서는 공통의 명제를 품고 있다. 2600여년의 불교 역사 속에서 형성된 많은 불전들은 모두 깨달음에 관한 아름다움을 서술하여 민중에게 행복과 평화를 안겨주고, 또한 그것을 얻기 위한 수행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승기신론』도 그 가운데의 하나이다. 『대승기신론』은 한마음을 진여법신이라 宣暢하고, 한마음의 성스럽고 위대함을 體・相・用의 三大로 예찬하고 있다. 한마음을 心眞如門과 心生滅門의 두 문을 열어, 그 성스럽고 위대함을 논증하는 구조로 짜여 있다. 심진여문은 탐・진・치의 삼독을 말끔히 소멸시켜버린 순수정신이며, 相對를 초월한 絶對의 세계이고, 평등・일미이다. 이는 진리를 몸으로 삼고 있는 붓다의 세계이며, 진여법신이므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중생을 깨우치기 위해서는 언어를 빌리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공진여와 불공진여를 도입하는 것도 언어의 표현을 백분 활용하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심생멸문은 생성하고 소멸하는 변화의 세계이다. 이 부문에서는 알라야식을 중심으로 논리를 전개하며, 진망화합식인 알라야식의 해체가 깨달음인 것을 제시한다. 『대승기신론』은 한마음・眞如・如來藏・始覺・本覺・無念・一行싸마디・止觀・空・不空・三身說・念佛 등, 선수행의 요체를 체계적으로 잘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선종의 초석이라고 볼 수도 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5
  • No :0
  • Pages :6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