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인도불교

31 December 2018. pp. 149-188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conditioned co­arising (paṭiccasamuppāda)’ through the analogy between a concept of ‘middle (majjha)’ in the early Buddhism and a concept of ‘turn’ in western philosophy. Typical interpretations about paṭiccasamuppāda,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and ‘mutual dependent co­arising’, have given only the ontological meaning within the framework of time and space. However, in Buddhist scriptures, paṭiccasamuppāda is presented as a systematic explanation that involves various topics such as perpetuity, causality, feelings, oneness or diversity, and being. Due to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majjha and paṭiccasamuppāda in early Buddhist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majjha, which can be understood on the same level as a concept of turn in western philosophy, would convey a viewpoint for understanding paṭiccasamuppāda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Majjha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paṭiccasamuppāda departing from the extremes both of brahmins (Brāhmaṇa) and wanderers (samaṇa): beings vs non­beings on the ontology, oneness vs individuation on the identity, causa sui vs external causes on the causality, and an eternality vs an annihilation on the eternalism. Western philosophy shifts from ontology to epistemology, from object to subject, from representation to linguistic philosophy, and from dualistic thinking to cognitive scientific explanations currently. In this process the concept of turn suggests a new exploration theme transcending limitations which linked to idea vs matter, object vs subject, representation vs language, and necessity vs contingency. Majjha and the turn are on the same level in the way that they are overcoming the confrontation of previous philosophical themes through switching to an alternative explan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understood that paṭiccasamuppāda is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philosophical problems and explains how sufferings do arise from wrong understandings about them.
본 연구의 목표는 초기불교의 중(中, majjha)과 서양철학의 전회(轉回, turn)의 유비를 통해 십이연기(十二緣起)의 철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십이연기에 관한 대표적인 해석은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과 상관상의설(相關相依說)이다. 십이연기의 의미에 대해 전자는 시간의 관점에서 윤회설(輪迴說)로 해석하고 후자는 공간의 관점에서 상의성(相依性)으로 해석한다. 경전에서 십이연기는 영속론, 업론, 수행론, 동일성・별이성, 존재론이 모두 포함된 교법이지만, 양자는 서로 차이가 있을지라도 십이연기에 존재론적 의미만을 부여했다. 다양한 주제와 연관된 십이연기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해의 틀이 필요하다. 그 한 가지 방법으로 기획한 것이 초기불교의 중과 서양철학사에서 행해진 전회를 비교하고 그 유비를 통해 십이연기의 철학적 특성에 접근하는 것이다. 중과 십이연기는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전회와 비교하여 나타나는 중의 철학적 특성은 십이연기를 철학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전해줄 것이다. 당시 바라문과 사문들은 존재에서 유・무(有・無), 동일성에서 일・이(一・異), 업에서 자작・타작(自作・他作), 영속성에서 상・단(常・斷)의 견해로 대립했다. 여기서 중은 양극단의 견해를 벗어나 십이연기 이해로 이끄는 역할을 한다. 서양철학은 존재론에서 인식론으로, 객관에서 주관으로, 표상에서 언어로,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넘어 인지과학적 해명으로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전회는 형상 대 질료, 객관 대 주관, 표상 대 언어, 필연 대 우연의 대립을 극복하며 새로운 탐구주제를 제안하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이전 철학적 주제들의 대립을 극복하고 대안적 해명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과 전회는 같은 층위에 있다. 따라서 이 유비를 통해 십이연기를 해석할 경우 십이연기는 여러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대안적 해명이며 인식, 업, 동일성, 존재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부터 어떻게 고통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다.
References
    원전류
  1. T : 大正新修大藏經.Cbeta.
  2. CST: Chaṭṭha Saṅgāyana Tipiṭaka 4.0.
  3. AN : Aṅguttara­Nikāya, 5vols. 2nd. ed. A.K. Warder, PTS, 1961.
  4. DN : Dīgha­Nikāya, 3vols. T.W. Rhys Davids and J. Estlin Carpenter, PTS, 1966.
  5. MN : Majjhima­Nikāya, 3vols. ed. V. Trenckner, PTS, 1979.
  6. SN : Saṃyutta­Nikāya, 5vols. ed. M. Leon Feer, PTS, 1989.
  7. DNA : Dīgha­Nikāya­Aṭṭakathā, Sumaṅgala­Vilāsinī, I, ed. T.W. Rhys Davids and J. Estlin Carpenter, PTS, 1968; II―III, ed. W. Stede, PTS, 1971.
  8. MNA : Majjhima­nikāya­Aṭṭhakathā, Papañcasūdanī, I-II, ed. J.H. Woods and D. Kosambi, PTS, 1977.
  9. SNA : Saṃyutta­Nikāya­Aṭṭhakathā, Sārattha­Ppakāsinī, I-III, ed. F.L. Woodward, PTS, 1977.
  10. Ṭīkā : Ṭīkā, CST.
  11. 단행본류
  12. 김종욱, 󰡔불교에서 보는 철학, 철학에서 보는 불교󰡕, 서울: 불교시대사, 2002.
  13. 김종욱, 󰡔원효와 하이데거의 대화󰡕,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3.
  14. 김동식, 󰡔로티의 신실용주의󰡕,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4.
  15. 남경희, 󰡔(비트겐슈타인과)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회󰡕,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16. 노양진, 󰡔몸 언어 철학󰡕, 서울: 서광사, 2009.
  17. 노양진, 󰡔몸이 철학을 말하다-인지적 전환과 체험주의의 물음󰡕, 서울: 서광사, 2013.
  18. W. D. 로스, 󰡔아리스토텔레스󰡕, 김진성 역, 서울: 세창출판사, 2016.
  19. 라다크리슈난, 󰡔인도철학사 I󰡕, 이거룡 역, 서울: 한길사, 1996.
  20. 라다크리슈난, 󰡔인도철학사 II󰡕, 이거룡 역, 서울: 한길사, 1999.
  21.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이영철 역, 서울: 책세상, 2006.
  22.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이영철 역, 서울: 책세상, 2006.
  23. 르네 데카르트, 󰡔성찰󰡕, 이현복 역, 서울: 문예출판사, 1997.
  24. 르네 데카르트, 󰡔방법서설󰡕, 이현복 역, 서울: 문예출판사, 1997.
  25. 르네 데카르트, 󰡔성찰1-󰡔성찰󰡕에 대한 학자들의 반론과 데카르트의 답변󰡕, 원석영 역, 경기도: 나남, 2012.
  26. 리처드 로티,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박지수 역, 서울: 까치, 1998.
  27. 리처드 로티,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 김동식, 이유선 역, 서울: 믿음사, 1996.
  28. 데이비드 흄, 󰡔오성에 관하여󰡕, 이준호 역, 파주: 서광사, 1994.
  29. M. 존슨, 󰡔마음 속의 몸󰡕, 노양진 역,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0.
  30. 바렐라, 톰슨, 로쉬. 󰡔인지과학의 철학적 이해󰡕, 석봉래 역, 서울: 옥토, 1997.
  31. 박승찬, 󰡔서양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사 –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서울: 누멘, 2018.
  32. 박찬국, 󰡔니체와 불교󰡕, 서울: 씨아이알, 2013.
  33. 백종현, 󰡔칸트와 헤겔의 철학󰡕, 서울: 아카넷, 2010.
  34. 스털링 p.램프레히트, 󰡔서양철학사󰡕 김태길 외 역, 서울: 을유문화사, 1992.
  35. 소피아 로비기, 󰡔인식론의 역사󰡕, 이재룡 역,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4.
  36.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명제론󰡕, 김진성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5.
  37. 엄정식, 󰡔확실성의 추구󰡕, 서강대학교출판부, 1984.
  38. 이중표, 󰡔아함의 중도 체계󰡕, 서울: 불광출판사, 1991.
  39.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1󰡕, 백종현 역, 서울: 아카넷, 2006.
  40. 엔서니 케니, 󰡔서양 철학사󰡕, 김영건 외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4.
  41. 에티엔느 질송, 󰡔아우구스티누스의 이해󰡕, 김태규 역, 성균관대학 출판부, 2010.
  42. 존 로크, 󰡔인간지성론 1󰡕, 정병훈 외 역, 서울: 한길사, 2014.
  43. G. 레이코프, M. 존슨. 󰡔몸의 철학󰡕, 임지룡 외 3인 역, 서울: 박이정, 1999.
  44. 탈레스 외,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김인곤 외, 서울: 아카넷, 2005.
  45. 플라톤, 󰡔크라튈로스󰡕, 김인곤・이기백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7.
  46. 西脇与作, 󰡔現代哲学入門󰡕, 慶應義塾大學出版会, 2002.
  47. 岡本裕一朗, 󰡔いま世界の哲學者が考えていること󰡕, 東京: ダイヤモンド社, 2016.
  48. Davids, Rhys. Sākya or Buddhist Origins, London: kegan Paul, 1931.
  49. Fine, Gail. On Idea: Aristotle's Criticism of Plato's Theory of Forms, New York: Oxford, 1993.
  50.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Encyclopedia of the Philosophical Sciences in Basic Outline Part I: Science of Logic, trans. & edited by Klaus Brinkmann and Daniel O. Dahlstr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51. Heidegger, Martin. Kant and the Problem of Metaphysics, trans. by Richard Taft, Indiana University Press, 1997.
  52. Hume, David. A Treatise of Human Nature, edited by David Fate Norton & Mary J. Nort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53. Kant, Immanuel. Critique of Pure Reason, trans. & edited by Paul Guyer and Allen W. W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4. Lusthaus, Dan.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hophical investigation of Yogācā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London: RoutledgeCuron, 2002.
  55. Norris, John. Cursory Reflections Upon a Book Call’d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New York: Garland Publishing Inc., 1978.
  56. Mackie, J. L. Problems from Locke, Oxford: Clarendon press, 1976.
  57. Popkin, Richard. The History of Scepticism from Erasmus to Descartes, Netherlands: Van Gorcum & Comp.N.V., 1960.
  58. Rorty, Richard. The Linguistic Turn – Essays in Philosophical Metho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59. Shields, Christopher. Aristotle, Routledge, 2007.
  60. 논문류
  61. 김은주, 「데카르트 “순환논증”의 형이상학적 쟁점」, 󰡔철학연구󰡕 106호, 철학연구회, 2014, pp.77-105.
  62. 김홍미, 「고따마 붓다의 정각과 십이연기」, 󰡔불교학연구󰡕 제38집, 불교학연구회, 2014, pp.7-50.
  63. 박경준, 「초기불교의 연기상의설 재검토」, 󰡔한국불교학󰡕 14집, 한국불교학회, 1989, pp.117-141.
  64. 박배형, 「헤겔과 미학: 칸트의 인식론적 이원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 󰡔헤겔연구󰡕 제29집, 한국헤겔학회, 2011, pp.97-123.
  65. 박 진, 「칸트의 ‘도식론’에 대한 고찰- 칸트에 있어 ‘도식’ 개념의 역사적 원천과 의미」, 󰡔대동철학󰡕 24집, 대동철학회, 2004, pp.163-187.
  66. 박치완, 「데카르트의 , 과연 효과적인가?」, 󰡔프랑스연구󰡕 40집, 프랑스학회, 2007, pp.284-303.
  67. 박훈천, 이춘옥, 「원시불교에서의 중(中)에 대한 오해」, 󰡔한국불교학󰡕 제43권, 한국불교학회, 2005, pp.38-79.
  68. 엄정식, 「분석철학과 언어적 전환」, 󰡔철학논집󰡕 제27집, 서강대 철학연구소, 2011, pp.9-45.
  69. 우동필, 「중과 전회-연기에 대한 철학적 탐구」, 󰡔불교학연구회 가을 논문발표회󰡕, 불교학연구회, 2018, pp.47-55.
  70. 우동필, 「십이연기 전개설 비판」, 󰡔한국불교학󰡕 제72집, 한국불교학회, 2014, pp. 153-184.
  71. 우동필, 「역관(逆觀)의 십이연기-십이연기와 중도의 관계」, 󰡔불교학연구󰡕 제44호, 불교학연구회, 2015. pp.1-33.
  72. 임승택, 「불교에서 몸이란 무엇인가」, 󰡔불교평론󰡕 제57집, 불교평론사, 2014. pp.26-50.
  73. 황설중, 「데카르트는 회의주의를 극복하였는가?-데카르트와 가상디의 논쟁을 중심으로」, 󰡔철학󰡕 104집, 한국철학회, 2010, pp.95-123.
  74. 本石修二, 「なぜ言語は人間にとって問題になるのか─「言語論的転回」とは別の仕方で─」, 『年報社会科学基礎論研究』 第3号, ハーベスト社, 2004, pp.166-183.
  75. Cottingham, John. “Descartes: metaphysics and the philosophy of mind,” The Renaissance and Seventeenth-century Rationalism, ed. by G.H.R.Parkins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3, pp.187-218.
  76. Davidson, Donald. “Truth and Meaning,” Synthese, Vol. 17, No. 3, 1967, pp.304-323.
  77. Hatfield, Gary. “The Cartesian Circle,” The Blackwell guide to Descartes’ Meditations, ed. Stephen Gaukroger, Blackwell Pub. 2006, pp.122-141.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7
  • No :0
  • Pages :149-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