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August 2009. pp. 53 ~ 92
Abstract
Chan-jan(湛然 and Uichon(義天 are the thinkers of T’ien-t’ ai tsung(天台宗. In this paper, I will compare the common and differing points in Chan-jan’s and Uichon’s thought with emphasis on the viewpoint of Hua-yen thought. Chan-jan is influenced by Hua-yen thought. It is well expressed in “Shi-pu er-men(十不二門”. But he is not completely influenced by Hua-yen thought. He criticizes Hua-yen thought in two points. First, he criticizes chiao-p’ an(敎判, the idea that Hua-yen ching(華嚴經 is superior to other Buddhist scripture. Second, he insists on wu-hsing yuching( 無性有情. Hua-yen tsung(華嚴宗 does not require wuhsing yu-ching(無 性有情. On this point, Chan-jan insists that T’ien-tai tsung is superior to Hua-yen tsung. Uichon is influenced by Ch’eng-kuan(澄觀’s thought, Tsung-mi(宗密’s “Yün-chüh ching shu(圓n覺n經疏” and Wonhyo(元n曉’s hwajaing(和諍 thought. These three schools of thought are included in Hua-yen thought. Thus Uichon is influenced by Hua-yen thought. On this point, Uichon’s thought is common to Chan-jan’s thought. But he does not criticize Hua-yen thought. On this point, Uichon’s thought is different from Chan-jan’s thought.
이 논문은 화엄사상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담연과 의천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려는 글이다. 담연은 화엄사상에 영향을 받았는데, 이 점은 그의 저술『 십불이문』에 잘 나타난다. 그러나 담 연은 화엄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화엄사상에 대해 공세적 입 장을 취한다. 그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하나는『 화엄경』 이 우월하다는 보는 교판론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무 정물에도 불성이 있다는 무성유정(無性有情)을 주장하는 것이다. 화 엄종에서는 ‘무성유정’을 주장하지 못했는데, 천태종에서 ‘무성유정’ 을 주장한 것은 바로 화엄종보다 천태종이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 는 예라는 것이다. 이처럼 담연은 화엄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화엄사상에 비판적 입장을 취하였다. 의천은 청량의 사상, 종밀의『 원각경소』, 원효의 화쟁사상에 영향 을 받았다. 현재 전해오는『 대각국사문집』은 일부분만이 남아있기 때문에 의천사상의 전체적 모습을 알기는 어렵다. 그래서 학계에서 는 의천사상에서 징관의 사상을 강조하는 관점도 있고, 종밀의『 원 각경소』를 강조하는 연구도 있으며, 징관과 종밀의 사상을 절충하려 는 연구도 있다. 그렇지만 크게 볼 때, 의천이 징관, 종밀, 원효의 사 상에 영향을 받은 점은 분명하다. 그리고 징관, 종밀, 원효의 사상은 크게 보면 화엄사상에 속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의천은 화엄사상 에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의천의 사상은 담연의 사 상과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의천은 담연과는 달리 화엄사상에 대해 공세적 입장을 취하지는 않았다. 이 점에서 의천의 사상은 담연의 사상과 다르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23
  • No :0
  • Pages :53 ~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