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June 2018. pp. 187~218
Abstract
The Seonwon dojung gyeorui 禪源圖中決疑,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Byeokam Gakseong (1575-1660) in the mid-Joseon period, has not been discovered in the form of a printed edition. Recently, however, I have found out that a xylographic edition of this book is owned by Seongbo Museum in Beomeosa Temple in Busan. The newly found book is a combined issue of the Seonwon dojung gyeorui 禪源圖中決疑 and the Chamsang seonji seol 參詳禪旨說, another text authored by Byeokam Gakseong, both of which were published at Haeinsa Temple on Mount Gaya in Hapcheon in 1648. The former text is composed of 13 questions and answers, in which Byeokam Gakseong replies to the questions by itinerant Seon monks on the doubtful points appearing in the "diagram on the ten stages of delusion and enlightenment" from the Chanyuan zhujuan ji duxu 禪源諸詮集都序 (hereafter Preface). The latter text is based on the discourse delivered by Byeokam Gakseong at Hwaeomsa Temple in 1636. This text comprises an explanation for the gist of Bojo Jinul's Seon on the "Discarding [Attachment to] the Meaning of the Doctrine and Examining the Seon Tenets in Detail" 放下敎義 參商禪旨 from the Beopjip byeorhaengnok jeoryo byeongip sagi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hereafter Excerpts). These two texts were in fact dictated to an attendant whose name was Seolbong Huian, a disciple of Byeokam Gakseong. And the postscript to the book, Seo dojung gyeorui hu 書圖中決疑後, was written in calligraphy by Donghoe Sin Ikseong (1588-1644), a son-in-law of King Seonjo, at Baegunru on Mount Yongmun in Gyeonggi Province in 1642. The newly found Byeokam Gakseong’s Seonwon dojung gyeorui has the significant meaning as the initiative in the personal notes 私記 on the Preface and the Excerpts, both of which were annotated by monks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18th century. Therefore the further substantial studies are expected to proceed on the teaching and thought of Byeokam Gakseong.
조선중기 벽암 각성(碧巖覺性, 1575-1660)이 찬술한 것으로 알려진 『선원도중결의(禪源圖中決疑)』는 그의 비문과 행장 등에 서명이 소개되어 있을 뿐 지금까지 실물이 확인되지는 않았다. 필자는 부산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이 책의 목판본이 소장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그 원문과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은 1648년(인조 26)년 합천 가야산 해인사에서 판각된 것으로, 「선원도중결의」와 「참상선지설(參詳禪旨說)」 그리고 「서도중결의후(書圖中決疑後)」 3편의 글이 합간(合刊)되어 있다. 「선원도중결의」는 규봉 종밀의 저술인 『선원제전집도서』에 나오는 내용 중 도식(圖式)에서 드러난 의문점을 벽암 각성이 여러 선객들의 물음에 답하는 13가지의 문답형식으로 풀어낸 글이다. 「참상선지설」은 1636년 11월 1일 부휴 선수(浮休善修, 1543-1615)의 기일날 화엄사 벽암당에 모인 여러 사형들이 지눌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에 나오는 ‘방하교의(放下敎義) 참상선지(參商禪旨)’의 뜻을 묻자, 벽암 각성이 진각 혜심의 『선문염송』에 나오는 제1 고칙(古則)을 인용하여 그 뜻을 밝힌 글이다. 이 두 글은 벽암 각성의 제자이자 당대 글씨로 유명했던 설봉 희안(雪峯希安)이 행서체로 썼다. 책 말미에 실린 「서도중결의후」는 앞의 두 저술에 대한 발문으로, 선조(宣祖)의 부마이자 당대 문장과 글씨로 명성을 떨쳤던 동회(東淮) 신익성(申翊聖, 1588-1644)이 1642년 경기도 용문산 백운루에서 직접 쓴 글이다. 새로 발견된 벽암 각성의 『선원도중결의(禪源圖中決疑)』는 18세기 강학(講學) 사기(私記)의 효시(嚆矢)로 그 의미가 있으며, 그의 교학과 사상이 새롭게 평가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5
  • No :0
  • Pages :187~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