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August 2012. pp. 51 ~ 81
Abstract
The role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have a deep relationship. The essence of Patriarch-seon is the original-enlightenment of Buddha-nature and daily-life of enlightenment, as it were, no-adherance, nodispute, no-greed, no-anger, no-ignorance and so forth. The original-enlightenment of Buddha-nature is based on Mahayana sutras. We can examine the Buddhist-sutras of mahayana. For example, the Avatamsaka Sutra, the Great enlightenment- Sutra and the Prajnaparamita-Sutra, the Pundarika-sutra, the Langkavatra-sutra, and the Vimalakirti-sutra etc. In the first instance, the idea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of Mahaparinirvana-sutra was developed from the thoughts of Patriarch-seon for the formative period in early seon-sects. We should notice that the phrase,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all sentient beings are full of Dharma-kaya in the universe. Second, all sentient beings have equality with-out discrimination. Third,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like each other. And the means of Buddha-nature can be divided diversely. Namely, the Buddha-nature has enlightenment, emancipation and nirvana in the analects of Bodhi-dharma. We can see the means of diversity of patriarchs in the formative period in early seon-sects, the so called six patriarchs. For example, Hueike is seon-mind, the analects of Sengtsan are faith and mind, the analects of Taohsin keep the one mind, the analects of Hungjen keep the sincerity-mind, the analects of Hueineng are the original nature-mind, the words of Huairang are of the no contamination-mind, the analects of Matsu are from perfected-mind, and the analects of Paichang are manifested-truth. These are the tradition of enlightenment in seon-analects. These notions of diversity in early seonsects about Buddha-nature were fundamental principles in Patriarch-seon.
불성과 조사선의 형성이 문제는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조사 선의 근본은 본래성불사상에 근거하여 그것을 일상의 생활에서 실 천한다는 것이다. 그 본래성불사상의 사상적인 근거가 곧 불성이었 다. 때문에 불성에 대한 수용과 그 터득은 조사선수행의 중요한 역 할을 하였다. 그래서 불성은 초기선종 시대에는 달마의 어록으로 부터 깨침과 열반 내지 해탈이라는 개념과 동일시되었다. 나아가서 『유마경』,『 화엄경』,『 열반경』,『 능가경』 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조사선의 입장에서는 그 바탕에 일체중생은 본래 부처와 다름 이 없는 존재라는 것을 悉有佛性에서 추구하였다. 곧 일체의 존재 가 모두 불성이라는 것이므로 생사를 벗어나야 비로소 열반이 되 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본래성불임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 는 경우에 중생으로 살아가는 것이므로 다양한 수행을 통하여 자성 이 본래 진성임을 深信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 근거는 곧 생사 와 열반의 동일성이다. 때문에 생사는 열반을 부정하지 않고 열반 은 생사를 부정하지 않는다. 바로 이와 같은 내용은『 열반경』에서 말한 중도란 불이고 불성이며 대자대비이고 여래라는 말로부터 찾 아볼 수가 있다. 이것이『 열반경』을 중시했던 선종에서는 보리달마 이래로 깨침과 불성의 근본적인 개념이었다. 나아가서 그 깨침은 무분별과 무집착으로서 반야의 청정과 평등이었다. 때문에 住는 일 체범부의 속성으로서 집착이고, 무주는 제성인의 속성으로서 무집 착으로 설정되었다. 무집착의 개념으로서 해탈은 수행의 과정에 있 으면서 더불어 깨침으로서 불성이 현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이 달마로부터 혜능에 이르는 육대조사의 사상적인 근거로 서 본래성불의 바탕이었음은 물론이다. 달마의 深信, 승찬의 信心, 도신의 守一不移, 홍인의 守本眞心, 혜능의 자성법문 등은 불성사 상의 조사선적인 전개였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2
  • No :0
  • Pages :51 ~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