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March 2017. pp. 173~197
Abstract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interpret ‘He’ and ‘I’ in DongshanLiangjie’s Song of Crossing Water as originality and actuality respectively. What is problematic with this line of view is that, by reading Song of Crossing Water as an attempt to complete an integrated perspective between originality and actuality, words and phrases that had appeared prior to those of Dongshan with the same subject of ‘He’ and ‘I’ constitute only an incomplete and gradational moment to be overcome for the final conclus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be reached. This presupposes that Dongshan transcends the confinement of actuality and what he ultimately pursues is to integrate this with originality in the realm of the absolute. This existing interpretation also implicitly assumes that integrating ‘He’ and ‘I’ is a more elevated stage than distinguishing them. However, I contend that the logic of ultimate interact presented in ShitouXiqian’s Identity of Relative and Absolute enables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Song of Crossing Water. Through the method of ultimate interact, what’s at stake is the symmetrical state itself instead of integrating the two opposing concepts. As his method does not attempt to reconcile the perspective of the equal with that of discrimination and leave them in opposition as a binary, thi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effect of vital phrase which opens up a new interpretational horizon for the Chan-word to have vitality. What Dongshan pursues in his Song of Crossing Water is not to resolve the given problem but to raise a question and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 thoughts of DongshanLiangjie and YunyanTansheng. In this regard, see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ity and actuality from an integrating perspective is no other than an attempt to make Song of Crossing water mere dead phrases without vitality far from its intention.
선행 연구에서는 동산 양개(洞山良价)의 「과수게」에 제시된 ‘그’와 ‘나’를 자기의 본래성과 현실태로 해석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이에 의하면 동산 양개가 깨달은 궁극적인 견처는 현실태에서 본래성으로 회귀하는 정신의 초월이거나 또는 현실태와 본래성이 하나로 통일되는 경지이다. 특히 동산의 「과수게」에서 본래성과 현재성의 통합적 관점의 완성되었다고 해석함으로써 「과수게」 이전의 ‘그’와 ‘나’를 소재로 하는 언구들을 불완전하고 단계적인 계기들로 제한한다. 이러한 해석은 기계적이고 도식적이지만 일정한 논리정합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재검토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과수게」의 ‘그’와 ‘나’의 함의가 석두희천의 「참동계」에 제시된 회호(回互)를 통해서 온전하게 이해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호는 사물의 고유한 개념을 상대화하고 평등하게 만드는 기관이다. 회호의 관점을 적용하면 ‘그’와 ‘나’에 대한 동산의 언구는 본래성과 현실태의 통합적 관점에 대한 심화의 지표가 아니라 정편이나 군신 등의 상대적 개념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기호로서 기능한다. 회호의 방법은 상대되는 개념들을 통합시키는 대신 대칭성 자체를 다시 문제로 제기함으로써 모든 사물과 개념을 관계성 안에 위치시킨다. 이를 통해 ‘그’와 ‘나’는 관점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고 특정한 의미를 갖는 개념으로 확정되지 않는다. 회호는 자체적인 계기 안에 불회호를 내포한다. 이를 통해 만물을 화해되지 않은 평등과 분별의 이항대립으로 남겨둠으로써 선어가 스스로 생명력을 갖도록 해석의 지평을 개방시키는 활구(活句)의 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래성과 현실태의 통일이라는 관점은 「과수게」를 활력을 잃은 사구로 만드는 이론이며 재고되어야 한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0
  • No :0
  • Pages :17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