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March 2016. pp. 71~94
Abstract
Chengguan(澄觀, 738~839), the fourth Hua-yanPatriarch, built a theory of the “Four Dharma Realms”: the Realm of Things(事法界), the Realm of Principle(理法界), the Realm of the Non-interference between Principle and Things(理事無礙法界) and the Realm of the Non-interference of All Things(事事無礙法界). The Four Dharma Realm theory adopts a structure that surpasses the Non-interference between Principle and Things, shifting the focus back to things. The notion of principle was adopted for analogical understanding of ‘emptiness(空).’ A problem arises here in that principle, unlike ‘emptiness,’ does not function as a negator in its linguistic system but rather has monistic properties. In addition, principle is only a provisional name(假名). Emphasizing the property of principle, which represents only a provisional name, the Four Dharma Realm Theor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monistic way of thinking. It diverges from the feedback loop in solving a dichotomy with monistic thought, focusing on relations among things without mentioning principle. From today’s perspective, the Realm of the Non-interference of All Things represents a model of pluralism required by current societies. As it does not hypostatize a single complete universal principle, it also differs from a model of “pluralistic” monism. In a pluralistic society, it is impossible to set up a single universal truth upon which all members can agree. In this paper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teachings of Buddhism in a way that they retain current validity. As Buddhism still functions as a living religion in our times, it should be able to present dialogues through continuous reinterpretation of its traditions to address current social needs.
화엄종 제 4조 징관은 사법계(四法界) 즉, 사법계(事法界), 리법계(理法界), 리사무애법계(理事無礙法界), 사사무애법계(事事無礙法界)를 제시하였다. 징관 이전에도 화엄종에서는 다양한 법계설이 제시되었으나 리와 사를 막론한 무장애(無障礙) 혹은 리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징관의 四法界설은 리사무애를 넘어 다시 사로 돌아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사사무애법계는 사가 리와 무애하면서도 상(相)을 잃지 않으며, 동시에 개체적 사가 서로 무애한 경지이다. 리와 사는 불교 이전에 이미 동아시아에 존재하던 개념으로, 인도적 개념인 공(空)과 색(色)을 이해하는 데에 격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리는 공과 달리 해당 언어체계에서 부정어로 기능하지 않으며 실체론적 일원론의 성격을 띤다. 세계에 대한 일관된 설명으로 일원론적 사유는 분명 매력적인 측면이 있지만 현실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분법적 사유와 순환하게 된다는 난점이 있다. 그 뿐 아니라 리는 공과 마찬가지로 가명(假名)일 뿐이다. 징관 四法界설은 리의 가명성에 주목하여 사사무애법계를 궁극의 경지로 설정함으로써, 이분법과 일원론적 사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징관의 四法界설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확장적 해석 가능성에 있다. 사사무애법계는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다원주의의 한 모델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다원주의를 논하면서도 ‘다원주의적’ 일원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와도 차별된다. 하나의 보편적 리를 실체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징관의 四法界설은 언어로 표현될 수 없는 증득의 세계를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언어에 충실한 방식으로 사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징관은 인문적 사유를 잘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교학 전통의 인문적 사유를 오늘날에도 유효한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46
  • No :0
  • Pages :7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