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고논문

    『대승기신론광석(大乘起信論廣釋)』의 사위(四位) 고찰 -『능가경(楞伽經)』의 사종선(四種禪) 인용 및 회통의 타당성 검토

    The Four Stages (四位) of Dashengqixinlun guangshi (大乘起信論廣釋): Citation of the Four Types of Chan (四種禪) in the Laṅkāvatāra-sūtra (楞伽經) and A Review of the Validity of the Interpretation

    이숙영(명훈)

    LEE, Suk-Young (Ven. Myeong-Hun)

    Tankuang (曇曠)’s interpretation of the four stages is characterized by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citing the four types of Chan (J. Zen) in …

    담광(曇曠, 생몰년 미상)의 사위(四位) 해석은 7권본 『능가경』(이하, 『7권경』)의 사종선을 배대하여 재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위와 사종선의 배대는 다른 『기신론』 주석서들에서는 찾을 …

    + READ MORE
    Tankuang (曇曠)’s interpretation of the four stages is characterized by a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citing the four types of Chan (J. Zen) in the Laṅkāvatāra-sūtra in seven volumes. However, this interpretation is only found in Dashengqixinlun guangshi (hereafter, Guangshi).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citing the four types of Chan and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through Tankuang’s the four stages interpretation. After comparing the four stages in the two version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and examining Guangshi’s interpretation, I determined that Tankuang attempted to reconcile these perspectives, even though the ultimate goal was the same in both versions. However,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four stages in the Śikṣānanda’s version are described as misleading thoughts (妄念) and no-thought (無念); thus Tankuang cites the four types of Chan to interpret “no-thought” inclusively. Tankuang was strongly influenced by Wŏnhyo (元曉) and Fazang (法藏) in writing the Guangshi and Tankuang’s period of activity in the eighth century was a time when many Chan texts were appearing by Shenhui (神會), Mazu (馬祖), and others. Śikṣānanda’s version emphasizes “no-form (無相)”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stages and states “there is not min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form (初相), which is also thought to be related to trends in thought at the time. Thus, the Laṅkāvatāra-sūtra which was emphasized in the early Chan schools of Wŏnhyo (元曉) and Fazang, may have influenced Tankuang. Furthermore, if Tankuang considered the translator of Śikṣānanda’s version to be the same as the translator of the Laṅkāvatāra-sūtra in the seven volumes, then this reflected a natural attempt to find a basis for unity in the Laṅkāvatāra-sūtra translation in the seven volumes. In particular, both sets of four stages have the same disciplinant and accomplishments at each stage,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connect them.


    담광(曇曠, 생몰년 미상)의 사위(四位) 해석은 7권본 『능가경』(이하, 『7권경』)의 사종선을 배대하여 재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위와 사종선의 배대는 다른 『기신론』 주석서들에서는 찾을 수 없어 담광의 독자적 해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담광의 사위 해석을 검토하고 사종선 인용 및 회통의 타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종선의 의미와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사종선은 『능가경』 문헌을 제외하고는 화엄이나 선종 문헌에서 인용되었는데, 화엄에서는 사종선을 보살 십지에 대응시키려 시도하였으며 선종에서는 여래선이라는 용어를 인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은 『광석』의 사위에 대한 고찰이다. 양 본의 사위 비교 및 『광석』의 사위 해석을 살펴본 결과 담광은 양 본이 궁극에 지향하는 것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회통을 시도하였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는 S본의 사위가 유념과 무념으로 설명되고 있기 때문에 담광이 무념을 포괄하여 해석하기 위해 사종선을 인용하여 극복하려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8세기 담광이 활동하던 시기는 하택신회나 마조도일 등이 활약하며 여러 선종 문헌이 등장하던 시기였다. S본의 경우 사위 해석에 ‘무상’을 강조하거나 초상에 관해 ‘마음도 오히려 없는 것’이라 말하는데 이것은 당시의 사상적 흐름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원효나 법장, 초기 선종에서 중시하던 『능가경』은 담광에게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담광이 『7권경』과 S본의 역자가 같다고 간주했을 경우, 『7권경』에서 회통의 근거를 찾은 것은 당연한 시도였다고 본다. 특히 사종선과 사위는 각 단계에서 동일한 수행 주체와 성취를 보이기 때문에 서로 배대하는 것에 무리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광석』은 8세기 중반의 주석서이다. 당시 돈황은 당의 영향 아래 있었기 때문에 주석 시 시대적 영향도 함께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광석』은 8세기의 사상적 흐름 및 시대성을 띤 『기신론』 주석서로서 충분한 연구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COLLAPSE
    31 March 2024
  • 투고논문

    ‘풍류도(風流道)’, ‘화랑(花郞)’에 대한 의미론적·비교언어학적 연구 -‘風流道’와 ‘佛道’, ‘花郞’과 ‘和尙’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A Semantic and Comparative Linguistic Study of ‘Pungryudo (風流道)’ and ‘Hwarang (花郞)’

    한유수

    HAN, Yusu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nings of “風流道” and “花郞” by analyzing their semantic components within the framework of structural semantics and exploring …

    이 글에서는 구조주의 의미론의 의미 성분 분석 방법과 비교언어학의 음과 의미 대응관계 비교라는 방법을 응용·결합하여 ‘風流道’와 ‘花郞’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風流’와 ‘花郞’은 ‘風月’, …

    + READ MORE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nings of “風流道” and “花郞” by analyzing their semantic components within the framework of structural semantics and exploring sound-meaning correspondences within the framework of comparative linguistics. The pairs “風流”/“風月” and “花郞”/“花娘” represent the same objects with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the same or similar sounds, and they are difficult to interpret based on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For this reason, they appear to be phonetic borrowings. Therefore, we chose to reconstruct their meanings by identifying their semantic components rather than by interpreting the Chinese characters. The semantic components of “風流道” were extracted as [Buddhist countries], [founded by Buddhists], [Tao (道)], and [Buddhist Tao]; thus, the meaning of “風流道” was reconstructed as “Buddhism (佛道).” The semantic components of “花郞,” including the semantic components of “風流道” (e.g., [Buddhist Tao]), were extracted as “leader of the 風流道,” “incarnation of Maitreya,” and “head of education,” and the term means “Buddhist monk(和尙).” Turn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風流” and “風月” are written as “風+ㄹ(l),” and this sound can be reconstructed as /pul/, /puʌl/ or /pwʌl/ based on the Chinese “儿化”, semi-syllabic(反切) transcription (“風月”), which corresponds to the sound of “佛.” Therefore, “風流道” and “風月道” are judged to reflect the Silla (or Goryeo) sound of “佛道.” Based on Chinese dialects and the preface of the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尙” and “郞” correspond to each other, so “花郞” is judged to be the Silla (or Goryeo) sound corresponding to “和尙.” Furthermore, since “和” and “花” were recorded as representing a labial sound ([v]) Old Chinese, and the percentage of labial sounds such as [f], [v], and [ɸ] corresponding to “ㅂ” in modern Chinese dialects is 32% and 43%, respectively, “花郞” is thought to correspond to Tibetan “blama” and Sanskrit “Brāhma.” “花郞” also corresponds to the Chinese dialectal /ɬɐŋ/ for “僧” (“lama”), the colloquial form of Tibetan and Mongolian “blama (blam-a).” Based on this research, Silla Buddhism, which was systematized around 花郞, who was respected as an incarnation of Maitreya, is “風流道.” It is judged that King Jinheung sought to strengthen his royal authority by establishing himself as a chakravartin who controlled both 花郞 and 風流道.


    이 글에서는 구조주의 의미론의 의미 성분 분석 방법과 비교언어학의 음과 의미 대응관계 비교라는 방법을 응용·결합하여 ‘風流道’와 ‘花郞’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風流’와 ‘花郞’은 ‘風月’, ‘花娘’처럼 유사한 음을 가진 다른 한자로 동일 대상을 표기한 점, 한자의 뜻풀이로는 해석이 되지 않는 점에서 음차표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한자의 해석이 아닌 의미 성분을 찾아 뜻을 재구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風流道’의 의미 성분으로 [불교 국가의 종교], [불교도가 창설], [도(道)], [불도(佛道)], [불교 수행] 등이 추출되어 전체 의미는 ‘佛道’로 재구된다. ‘花郞’의 의미 성분은 ‘風流道’의 의미 성분인 [불도]를 포함해 [風流의 지도자], [미륵의 화신], [교육 책임자] 등이며 이를 통해 전체 의미는 ‘和尙’으로 재구된다. 비교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風流’, ‘風月’은 ‘風+ㄹ’의 표기이며 이 음은 중국어의 ‘얼화(儿化)’, 반절식 표기(‘風月’)에 의해 ‘불’ 또는 ‘부얼’, ‘붤’로 재구 가능하고, 이 음은 ‘佛’의 음과 같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風流道’, ‘風月道’는 ‘佛道’의 신라(혹은 고려)어 표기로 보인다. 중국 방언과 『동국정운』 서문 등을 근거로 ‘尙’과 ‘郞’의 음 사이에 대응 관계를 찾을 수 있으므로 ‘花郞’은 ‘和尙’에 대응하는 신라(혹은 고려)음이라 판단된다. 또한 ‘和([v-])’, ‘花’가 고어에서 순음으로 사용되었고, 현대 중국 방언에서도 ‘ㅂ’에 대응하는 [f-], [v-], [ɸ-] 등으로 나타나는 비율이 각각 32%(和), 43%(花)에 달하여 ‘和尙’, ‘花郞’은 티베트어 ‘브람(blama)’, 산스크리트어의 ‘브라마(Brāhma)’등과 대응 관계를 보인다. ‘花郞’을 뜻하는 ‘郞’도 티베트어와 몽골어 ‘브람’의 구어 형태인 ‘람(lɑm)’과 ‘僧’의 중국 방언 /ɬɐŋ/과 대응한다. 결론적으로 미륵의 화신으로 떠받든 ‘花郞’을 중심으로 신라식 불교로 체계화된 것이 ‘風流道’라 판단된다. 진흥왕은 자신을 전륜왕에 비유해 ‘花郞’과 ‘風流道’를 통제하였고, 정치·종교를 아우르는 강력한 왕권을 소유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 COLLAPSE
    31 March 2024
  • 투고논문

    선시(禪詩)로 본 조선후기 승려의 삶과 술

    Understanding the Life and Drinking of Monks in Late Chosŏn Buddhism Based on Sŏn Poetry

    한수진

    HAN, Su Jin

    The drinking ethics of Buddhism, which emphasizes temperance as a proper moral practice, changed to show a tolerant and receptive attitude toward …

    올바른 도덕적 실천으로 금주(禁酒)를 강조하는 불교 음주 윤리는 전통적인 한국불교에서 관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변모한다. 조선 후기 선시(禪詩)는 한국불교 음주문화 일면을 은유적 표현으로 …

    + READ MORE
    The drinking ethics of Buddhism, which emphasizes temperance as a proper moral practice, changed to show a tolerant and receptive attitude toward drinking in late Chosŏn Buddhism. The poetry of monks uses metaphorical expressions to describe the background in which this drinking culture was formed. In the Chosŏn era, the ethics and morality of Confucianism presented society with a way of life and values that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surrounding culture, and alcohol wa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substance in everyday life throughout society. The tolerant attitude toward and advocacy of alcohol use by Confucian society was one of the reasons why monks chose to drink alcohol. Monks, who frequently engaged in social exchanges with Confucian scholars, often reflected on the drinking ethics and culture of Confucianism in the context of their ascetic lives. Following the lead of Confucianism, they opted to engage in drinking culture, wherein alcohol served as a non-verbal means of communication that could help build relationships, including with the Confucians, as well as helping them express their thoughts and write poetry more freely. This lifestyle of drinking brought ambiguity to the identity of monks at the time. They led lives that were similar to the cloistral life pursued by Tao Yuanming, a notable drinking poet. Although drinking may have led to internal conflicts among Sŏn practitioners, they treated alcohol with an attitude of self-regulation and moderation. In late Chosŏn Buddhism, alcohol was a means of social exchange for monks, as well as a representative substance of that era of Korean Buddhism. This drinking culture of Korean Buddhism supported Korean Buddhism in the Confucian society of Chosŏn, which was socially powerful, despite being in conflict with Buddhist ethics. The specific circumstances affecting Buddhism at certain times may somewhat transform Buddhist ethics, but the fundamental spiritual thought should never be forgotten.


    올바른 도덕적 실천으로 금주(禁酒)를 강조하는 불교 음주 윤리는 전통적인 한국불교에서 관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변모한다. 조선 후기 선시(禪詩)는 한국불교 음주문화 일면을 은유적 표현으로 말해준다. 조선시대에는 유가 윤리와 도덕이 사회에 삶의 방식과 가치를 제시하고 문화 형성에 이바지하였으며, 술은 사회 전반에 걸쳐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물질이었다. 이러한 사회문화 환경이 승려가 술 마시는 것을 용인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유자들과 사회적 교류가 많았던 승려들은 유가의 음주 윤리와 문화를 수행 생활에 차용하였다. 그 배경에는 사회가 승려의 음주를 부추기고 관용적 태도와 옹호로 지지한 점도 있다. 무엇보다 유자들은 승려들과 음주로 소통하려 했다. 승려들 역시 유자들과 같이 비언어적 소통 수단인 술과 음주로 그들과 친목을 쌓고, 생각과 마음을 표현하고, 시를 지으며 관계를 유지하여 승려의 음주는 수행자로서 그들 정체성에 모호함을 불러왔다. 이들이 보여준 삶의 모습은 유자들이 동경한 음주시인 도연명이 추구한 은인(隱人)과도 같았다. 음주는 승려들에게 파계라는 내적 갈등을 불러오기도 하지만, 이들은 자기 규제와 절제로 술을 대한다. 조선 후기 불교에서 술은 사회와 관계 유지 수단으로 한국불교가 처했던 시대상을 대변하는 물질이었다. 이러한 한국불교 음주문화는 그것이 비록 불교 윤리에 반하는 것이나 조선시대 강력한 사회적 힘을 가진 유가 사회에서 한국불교를 지탱해준 힘이었다. 그러나 불교가 처한 시대적 상황에 따라 불교 윤리가 다소 변형될 수는 있으나 근본이념을 잊어서는 안 된다.

    - COLLAPSE
    31 March 2024
  • 투고논문

    구상도와 단린황후 설화를 통해 본 일본 19세기 구상관의 변용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Navasaṃjñā in 19th-century Japan through the Legend of Kusōzu and Empress Danrin

    김소연

    KIM, Soyeon

    Asubhabhāvanā involves meditation on the explicit decay and skeletal transformation of the human body after death, with the aim of severing one’s …

    부정관(不淨觀)은 신체의 부정이나 사후 부패 및 백골화를 관상(觀想)함으로써 수행자 자신과 타인의 신체에 대한 집착과 육욕(肉慾)을 끊어내는 것을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시신 부패의 아홉 …

    + READ MORE
    Asubhabhāvanā involves meditation on the explicit decay and skeletal transformation of the human body after death, with the aim of severing one’s attachment to one’s body and carnal desire for that of others. Navasaṃjñā, which is a detailed form of this practice, was actively adopted in Japanese art and literature. Since the Kamakura period, this practice has been re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Pure Land Buddhism and the cycle of the six realms, as discussed in the Essential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by Genshin. Many kusōzu works have visualized this reinterpretation. An exemplary piece held at Shojūraigōji in Japan is particularly notable for illustrating the establishment and evolution of navasaṃjñā in Japan over time. 19-century replicas of this Shojūraigōji painting and its etoki (picture storytelling) scripts, entitled The Brief Origin Story of the Six Realms Paintings, depict an altered interpretation of navasaṃjñā and kusōzu during the Edo period. These materials reveal that kusōzu was frequently explained through the story of Empress Danrin, a historical figure, in the etoki performed for lay believers. As the narrative of Empress Danrin blended with navasaṃjñā, the audience for kusōzu extended to include all women. Additionally, the impurity of the body, which was not originally a subject of moral judgment, was interpreted as an original sin that hindered rebirth in the Pure Land. The fictional legend of Empress Danrin appears not only in Buddhist paintings such as those in the kusōzu tradition, but also in texts and visual materials of the indigenous Japanese Shinto religion.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Pure Land belief, which encompasses Buddhism and Shinto, the notion of women’s bodies as a manifestation of original sin spread through visual materials and their storytelling. This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navasaṃjñā were part of popular religious practices in 19th-century Japan, which were widely accepted in multiple religions.


    부정관(不淨觀)은 신체의 부정이나 사후 부패 및 백골화를 관상(觀想)함으로써 수행자 자신과 타인의 신체에 대한 집착과 육욕(肉慾)을 끊어내는 것을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시신 부패의 아홉 단계를 관상하는 구상관(九相觀)은 부정관을 더 구체화한 것으로, 특히 일본에서 회화와 문학의 주제로 적극 수용되었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 구상관은 인도 초기불교 시대부터 이어진 수행법으로서가 아니라, 겐신의 『왕생요집』에서 논하는 정토 신앙과 육도윤회의 맥락에서 재해석되었다. 그리고 구상도(九相圖)는 이러한 재해석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작품이다. 구상도 중 초기 작품인 일본 쇼쥬라이고지(聖衆來迎寺) 소장 인도부정상도(人道不淨相圖)는 일본 구상도 도상의 성립과 시대에 따른 구상관의 변용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19세기에 제작된 인도부정상도 모사본과 이를 주제로 한 에토키(繪解き, 그림 구연)의 대본 『육도회상략연기』는 구상관과 구상도에 대한 에도시대의 달라진 해석의 증거이다. 이 자료들은 일반 신도들을 대상으로 한 에토키를 통해 구상도가 종종 역사적 인물인 단린황후의 이야기로 해석되었음을 보여준다. 단린황후의 서사와 결합하면서 구상관의 주체는 출가 수행자나 상류층 여성이 아닌 모든 여성으로 확장되었고, 가치판단의 대상이 아니었던 신체의 부정은 정토왕생을 막는 원죄로 해석되었다. 단린황후의 구상설화(九相說話)는 불교 회화인 구상도 뿐 아니라 일본 토착 신앙인 신토(神道)의 문헌과 시각 자료에도 등장한다. 불교와 신토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의 정토 신앙 안에서 여성 신체에 대한 원죄 의식은 구상도같은 시각 자료와 그 에토키를 통해 퍼져나갔다. 이러한 구상관의 재해석과 변용은 종교와 종파에 관계없이 두루 수용되었던 19세기 일본의 민간 신앙의 일면이었다.

    - COLLAPSE
    31 March 2024
  • 투고논문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불교 연구 동향 분석 -2008~2022년 불교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A Topic Modeling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Korean Buddhism in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2008-2022)

    박종향 · 김은영 · 김용태

    PARK, Jonghyang · KIM, Eunyoung · KIM, Yongtae

    This research analyzes academic papers published on Korean Buddhism over the past 15 years (2008-2022). Topic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trends …

    본 연구는 최근 15년 동안(2008-2022) ‘한국불교’를 주제로 나온 국내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한국불교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그 …

    + READ MORE
    This research analyzes academic papers published on Korean Buddhism over the past 15 years (2008-2022). Topic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on Korean Buddhism and analyze changes over time. The abstracts of 483 papers related to Korean Buddhism were organized and analyzed through a big-data approach, focusing on 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the Korean Journal of Buddhist Studies,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which are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s in Korea. The following nine topics were extracted through topic modeling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1)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2) Buddhist practice and religious tradition, 3) Buddhist research and methodology, 4) Wonhyo and Korean Buddhist philosophy, 5) history of Seon and modern Seon masters, 6) Korean Buddhism in East Asia, 7) Buddhist thought in Silla and Goryeo, 8) social welfare and Buddhist practice, and 9) the development of Buddhist orders and sects. These topics encompass the major fields and topics of Korean Buddhist studies since 200. The number of papers on Buddhist research and methodology and on the soc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creased rapidly as special commemorative conferences were held. In contrast, research on the social role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s exemplified by the topic of social welfare and Buddhist practice, appears to be decreasing since 2021, when the COVID-19 pandemic played a dominant role in social trends. This paper describes trends in academic research in Korean Buddhism, and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will promote shared innovation and the sustainable exploration of perspectiv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최근 15년 동안(2008-2022) ‘한국불교’를 주제로 나온 국내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한국불교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그 시의성을 도출하였다. 한국 불교학의 대표적 전문 학술지인 『한국불교학』, 『불교학보』, 『불교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와 관련된 논문 483편의 초록을 텍스트 마이닝(text-mining) 방식을 사용해 빅데이터로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LDA(잠재 디리클레 할당) 기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결과, ‘불교 사회화와 대중화’, ‘불교 수행과 신앙 전통’, ‘불교학 연구와 방법론’, ‘원효와 한국 불교철학’, ‘선의 역사와 근대의 선승’, ‘동아시아 속의 한국불교’,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사회 복지와 불교적 실천’, ‘불교 교단과 종파의 전개’의 9개 토픽을 추출하였다. 이 토픽들은 한국 불교학의 주요 분야와 주제들을 시대별로 포괄하고 있으며 2000년대부터 꾸준히 게재되는 모습이 확인된다. 시기별로는 특별 기념 학술대회의 개최에 따라 ‘불교학 연구와 방법론’, ‘불교 사회화와 대중화’ 토픽의 논문 수가 급증하기도 했다. 한편 ‘사회 복지와 불교적 실천’과 같은 불교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연구는 코로나 유행 시기인 2020년부터 축소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불교의 주제별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고, 향후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 불교학의 미래를 논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COLLAPSE
    31 March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