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티벳불교

31 March 2021. pp. 241-265
Abstract
The 27th verse in Chapter I of the Ratnagotravibhāga provides the doctrinal perspective that every living being is a tathāgatagarbha and its threefold reason. Ever since Jikido Takasaki made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verse in 1966, his translation has been accepted as an exemplary one so far without any critical reviews or revisions except the fourth pada of the verse, even though there are noticeable errors, especially in terms of its vague phrasing. The problematic translation was caused due to either the abstruse theory of tathāgatagarbha or Sanskrit nominal style with which each pada of the 27th verse is expressed. For this reason, it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o clarify the ambiguity of expressions in the verse before investigating its theoretical meaning. This paper conveys the two discussions as follows: Firstly, it collects and analyzes a couple of passages written in Sanskrit nominal style, and introduces how to change them into a general style. Secondly, after resolving the problems that nominal style produces in the 27th verse, it then tries to correct the errors found within its extant translations, and provides a new translation: “Since the Buddha’s wisdom is inherent in all sentient beings; since sentient beings are not different from the Buddha in the sense that their mind is by nature immaculate; and since the Buddha is provisionally expressed to be the effect of the essence of the Buddha; all sentient beings are tathāgatagarbhas.”
『寶性論』 제1장 제27송은 “모든 중생은 如來藏”이라는 교설과 그 근거를 제시하고 있어 여래장사상 연구에 매우 중요한 게송이다. 현대 불교학계에서는 이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인 다카사키 지키도(高崎直道)가 1966년에 제27송을 英譯한 이래, 다수의 학자가 그들의 저서나 논문에서 이 게송을 다루어 오고 있다. 그러나 다카사키의 영역을 포함한 기존번역의 경우, 그 내용이 모호하여 『보성론』의 저자가 이 게송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제27송에 나타나는 여래장, 법신, 진여, 종성과 같은 난해한 개념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게송의 표현방식인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제27송의 nominal style을 일반문체로 바꾸어 말의 표현 때문에 생기는 해석상의 어려움을 해소한 후, 이 게송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nominal style 형태를 취하고 있는 몇 가지 산스크리트 문장을 실례로 들고, 이 문장들의 명사식 표현방식을 어떻게 ‘주어+술어’ 관계의 문장형태로 바꾸어 쓸 수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산스크리트 원전에 티벳역 및 기존의 주요 번역들을 대조 분석하여, “모든 중생은 여래장”이라는 전체 맥락에서 제27송의 각 句가 어떤 함의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토한다. 이 논문의 최종목표는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제27송 자체만으로도 그 의미가 소통될 수 있는 새로운 번역을 제시하는 것이다: “중생은 부처의 지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心이 본래/본성상 청정하다는 점에서 중생은 부처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부처는 중생의 佛種姓=佛性의 果라고 가설되기 때문에, 모든 중생은 여래장이다.”
References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1. RGV The Ratnagotravibhāga Mahāyānottaratantraśāstra. In: RGVV.
  2. RGVV The Ratnagotravibhāgavyākhyā, ed. Johnston, E. H., Patna: The Bihar Research Society, 1950.
  3. RGV(t) The Ratnagotravibhāga Mahāyānottaratantraśāstra, Tibetan text. In: 『藏和對譯究竟一乘寶性論硏究』 [The Ratnagotravibhāgavyākhyā, Japanese & Tibetan], ed. Nakamura, Z., Tokyo: 鈴木學術財団 (Suzuki Research Foundation), 1967.
  4. 『大方廣佛華嚴經』 T9
  5. 『佛說大乘入諸佛境界智光明莊嚴經』 T12
  6. 『究竟一切寶性論』 T31
  7. 『金剛三昧經論』 T34
  8. 『大乘莊嚴經論』 T31
  9. 『大慧度經宗要』 T33
  10. 『佛性論』 T31
  11.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12. AHN, Sungdoo (안성두). 2011. 『보성론』 [Ratnagotravibhāga], Seoul: 소명출판사 (Somyung Publishers).
  13. CHA, Sangyeob (차상엽). 2013. 『옥 로댄쎄랍의 보성론요의 여래장품』 [rNgog Blo ldan she rab's Theg chen rgyud bla'i don bsdus pa, the Chapter of Tathāgatagarbha], Seoul: 도서출판 씨아이알 (Ssiaial Publishers).
  14. CHA, Sangyeob (차상엽). 2016. 「중국과 티벳불교의 여래장의 세 가지 의미-『보성론』 I.27-28게송에 대한 늑나마제, 진제, 옥 로댄쎄랍의 이해를 중심으로」 ["Three Meanings of tathāgatagarbha in Chinese and Tibetan Buddhism"], 『불교학연구회』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vol. 48, 65-92. 10.21482/jbs.48..201609.65
  15. CHA, Sangyeob (차상엽). 2017. 「『보성론』 I.27-28 게송에 나타난 여래장의 세 가지 의미-번역과 주석 전승을 중심으로」["Three Meanings of tathāgatagarbha in the Chapter I, the verses 27-28 of the Ratnagotravibhāga"], 『불성·여래장사상의 형성 수용과 변용』 (The Acceptanc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heory of Buddha Nature and Tathāgatagarbha), Seoul: 도서출판 씨아이알 (Ssiaial Publishers), 135-167.
  16. DATE, V. H. 1973. Vedānta Explained: Śaṅkara's Commentary on the Brahmasūtras, vol. II., New Del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17. KANO, Kazuo (加納和雄). 2017. 「『열반경』(涅槃經,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속 복합어 '여래장(如來藏, tathāgatagarbha)'의 이해에 대한 재고(再考)」 ["Revisited to the Study on the Compound, tathāgatagarbha in the Mahāparinirvāṇamahāsūtra"], 『불성・여래장사상의 형성 수용과 변용』 (The Acceptanc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heory of Buddha Nature and Tathāgatagarbha), Seoul: 도서출판 씨아이알 (Ssiaial Publishers), 1-41.
  18. KIM, Seongcheol (김성철). 2009. 「초기 유가행파의 '여래장(tathāgatagarbha)' 개념 해석」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erm tathāgatagarbha in the Early Yogācāra School"], 『인도철학』 (Indian Philosophy), vol. 27, 97-123.
  19. KIM, Seongcheol (김성철). 2011. 「유가행파의 '여래장' 개념 해석 II」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erm tathāgatagarbha in the Early Yogācāra School II"], 『인도철학』 (Indian Philosophy), vol. 32, 193-219. 10.32761/kjip.2011..32.007
  20. KOLLN, M. & GRAY, L. 1998. Rhetorical Grammar: Grammatical Choices, Rhetorical Effects, Boston: Allyn and Bacon.
  21. SAITO, Akira. 2020. "What is Tathāgatagarbha: Buddha-Nature or Buddha Within?", Acta Asiatica, vol.118, 1-15.
  22. SEYFORT RUEGG, D. 1976. "The Meanings of the Term gotra and the Textual History of the Ratnagotravibhāga",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vol. 39-2, 341-363. 10.1017/S0041977X00050047
  23. SHIMODA, Masahiro (下田正弘). 2014. 「如來藏・佛性思想のあらたな 理解に 向けて」 ["Towar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tathāgatagarbha and buddhadhātu"], 『如來藏と佛性』 [Tathāgatagarbha and Buddhadhātu], Tokyo: 春秋社 (Shunjūsha).
  24. TAKASAKI, Jikido. 1966. A Study on the Ratnagotravibhāga (Uttaratantra), Being a Treatise on the Tathāgatagarbha Thoery of Mahāyāna Buddhism, Serie Orientale Roma XXXIII, Roma: In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25. TAKASAKI, Jikido (高崎直道). 1989. 『寶性論』 [Ratnagotravibhāga], Tokyo: 講談社 (Kōdansha).
  26. TAKASAKI, Jikido (高崎直道). 1989a. 『如來藏思想 II』 [The Thoughts of Tathāgatagarbha II], Kyoto: 法藏館 (Hōzōkan).
  27. ZIMMERMANN, Michael. 2002. A Buddha Within: The Tathāgatagarbhasūtra-The Earliest Exposition of the Buddha-Nature Teachings in India. Bibliotheca Philologica et Philosophica Buddhica VI, Tokyo: The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Advanced Buddhology, Soka University.
  28. EDGERTON, Franklin. 1985. Buddhist Hybrid Sanskrit Grammar and Dictionary, Volume II: Dictionary. Kyoto: Rinsen Book Co.
  29. NAKAMURA, Hajime (中村元). 1981. 『佛敎語大辭典』 [Bukkyōgo daijiten], Tokyo: 東京書籍 (Tokyo shoseki).
  30. SIR MONIER-WILLIAMS, Monier. 1960. 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The Clarendon Press.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66
  • No :0
  • Pages :241-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