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3 Vol.34
31 March 2013. pp. 7 ~ 49
Abstract
In ancient society, religion interpreted fates of human beings or communities, and thereby prayed for the wellbeing of human society. This was the case for Buddhism in Ancient China as well. Ancient Chinese thought that human fate was generally determined from birth. They thought that human fate was determined and fixed by the “qi” that each individual was born with. However, they did not explain why everyone was born with different qi. They just said that it was by chance that one was born with certain kind of qi. In this sense, it could be said that the traditional view of fate in China was a combination of determinism and accidentalism. On the other hand, Buddhism interprets human fate through the theory of karma. It argues that present life is an effect of one’s former or past life, and the present life will, in turn, affect the future life. In interpreting one’s life, Buddhism does not restrict the interpretation to a single lifetime. Master Huiyuan (334-416) of Mount Lushan, an eminent monk who represented Southern Buddhism during the Period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divided karmic retribution into three elements: xianbao, shengbao and houbao. He maintained that one’s actions would not only affect one’s present life, but the next life and the subsequent lives. Also, he defied the traditional Chinese view of karmic retribution, which insisted that ancestor’s deeds would affect the descendent. Instead, he asserted that the agent of karma and the recipient of retribution are the same. Thereupon, a new way of understanding human fate came to settle in China.
고대사회에서 종교는 인간이나 공동체에게 닥친 운명을 해석하고, 그것을 통해서 인간 사회의 안녕을 기하기도 했다. 고대 중국에서 불 교도 일부 이런 역할을 담당했다. 중국 재래의 종교와 사상은 일반적 으로 인간 운명은 태생적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파악했다. 특히 원기 자연설에 입각하여 음양이나 기(氣)의 정추에 의해 인간의 운명이나 신분이 확정된다고 생각했다. 현대 학자들은 이를 정명설(定命說)이 라고 부른다. 하지만 그런 운명을 받는 개인이 왜 굳이 그런 기운을 타 고 나는지에 대해서는 대답할 수 없었다. 그야말로 우연적 사건일 뿐 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보면 중국 재래의 운명관은 결정론과 우연론이 결합한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불교는 업설을 통해서 인간 운명을 해석했 다. 현재 삶은 이전 삶이나 전생의 삶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현재 삶 은 다시 이후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주장했다. 불교는 인간의 운 명을 해석하면서 인간 삶의 시간 단위를 일세(一世)로 한정하지 않았 다. 위진시대 동진불교를 대표한 고승 여산혜원은 업보를 현보, 생보, 후보 셋으로 구분하여 인간의 행위는 현생에서뿐만 아니라 내생, 이후 세세생생 과보를 받게 됨을 말한다. 아울러 중국 재래의 ‘조상-자손’ 식의 과보설에 반대하고 업의 조작자와 과보의 수혜자의 일치를 주장 했다. 이로써 불교가 제기한 인간 운명의 새로운 이해방식이 중국에 안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4
  • No :0
  • Pages :7 ~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