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8 Vol.56
30 September 2018. pp. 1~25
Abstract
This article is to study Tientai’s thought from the viewpoint of enlightenment. To be specific, this article is to study Tientai’s thought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nd awakening (解悟) and of full realization (證悟). In chapter two, I will study Seongcheol’s criticism on sudden enlightenment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He criticizes that understanding and awakening is a practice method of the doctrinal school. From that point of view, he criticizes Bojo’s Secrets on Cultivating the Mind. He insists that full realization is the core of Zen. In chapter three, I will study,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of full realization, the interdependence cessation and observation (相待止觀),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observation (圓頓止觀), and six stages of Tientai’s thought. Interdependence cessation and observation (相待止觀) is in order and interdependent, which intensifies the enlightenment in the order of emptiness (空), nominal designation (假), the mean (中). In this point, to realize emptiness is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to be enlightened on the mean is full realization.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observation (圓頓止觀) is to realize true original nature (實相) from the beginning.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of full realization, this is full realization. Six stages (六卽) is stages of practice methods in Tientai; stage of buddha nature (理卽), stage of verbal identity (名字卽), stage of practice of meditation (觀行卽), stage of seeming buddhahood (相似卽), stage to perceive reality a bit at a time (分眞卽), and the stage of complete enlightenment (究竟卽). The stage of seeming buddhahood and the stage to perceive reality a bit at a time are 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the stage of complete enlightenment is full realization. By the way, six stages is not to say simply about understanding and awakening or full realization, but to say about the stage of practice before understanding and awakening. From this point of view, I think that six stages is necessary meditation practice today.
이 논문은 깨달음의 관점에서 천태사상을 조망한 글이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의 관점에서 천태사상을 검토한 것이다. 2장에서는 성철의 돈오(해오)점수의 비판에 대해 살펴본다. 성철은 해오는 교종의 수행법이라고 비판하고, 그 관점에서 보조지눌의 『수심결』의 내용을 비판하고, 증오가 선문(禪門)의 종지라고 주장한다.3장에서는 천태사상의 상대지관, 원돈지관, 육즉에 대해 해오와 증오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상대지관(相待止觀)은 순서가 있고 서로 의지함이 있는 지관인데, 이는 공(空), 가(假), 중(中)의 순서로 깨달음을 심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여기서 ‘공’을 깨닫는 것은 해오에 해당하고, ‘중’을 깨닫는 것은 증오에 해당한다고 해석한다. 원돈지관(圓頓止觀)은 처음부터 실상을 깨닫는 것인데, 해오와 증오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는 증오에 해당한다. 육즉(六卽)은 천태의 수행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것은 이즉, 명자즉, 관행즉, 상사즉, 분진즉, 구경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즉(理卽)은 수행자가 보리심을 간직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명자즉(名字卽)은 천태의 핵심 가르침인 일심삼관을 배우는 것이다. 관행즉(觀行卽)은 지식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고 마음을 관조하는 것이다.상사즉(相似卽)은 지관을 부지런히 닦아서 상사(相似)의 관을 얻는 것이다. 분진즉(分眞卽)은 무명을 깨뜨려서 불성을 점차적으로 보는 것이다. 구경즉(究竟卽)은 지혜의 광명이 가장 원만해진 단계이다. 여기서 ‘상사즉’ 또는 ‘분진즉’이 해오에 해당하고, ‘구경즉’은 증오에 해당한다. 그런데 육즉은 단순히 해오와 증오만을 거론하는 것이 아니고 해오 이전의 수행단계도 거론하고 있다. 이 점에서 육즉이 오늘날에 필요한 수행론이라고 생각한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6
  • No :0
  • Pages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