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1 Vol.30
31 December 2011. pp. 7 ~ 63
Abstract
In this research, ‘a classification scheme of ‘ Gyojang Chongnok ’’ and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 are examined to extract the value and meaning of Jejong Gyojang in the Goryeo Perio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since Jejong Gyojang was carved, based on the structure of Sinpyon Jeong Gyojang Chongnok ,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綱)’ from Gyojang Chongnok . The result shows that:1) Uicheon developed step by step ‘a frame of study’ which was in the order of ‘Gyeong(經) 〉 Non(論) 〉 So(疏) 〉 Uijang(義章) 〉 Sasul(師述) 〉 [Bop]sang[ji] jusok([法]相[之]紬繹) = Gyosang Pansok(敎相判釋) of Cheongtae and Hyeonsu’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sutra presented by the Buddha, and figured out that from Non each step explained in detail and specified the higher step to reach the step of Gyosang Pansok. Therefore, he proved that the criteria of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Gyojang Chongnok was based on Gyosang Pansok.2) It is proved that the whole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is based on ‘the idea of Gyohak(敎學) by Uicheon’ which proceeds ‘① Theory of Sosung (Gusa(俱舍)) → ② Principle of Sigyo (Yuji(唯識)) → ③ Moment of Jongdon (Gisin(起信)) → ④ Awakening of Wonyung (Hwaom(華嚴))’.3)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 from Gyojang Chongno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idea of Gyohak by Uicheon’ and th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sutras presented by Wonhyo(元曉), Hyeonsu, and Cheongtae in the reversed order of their titles. The Sinpyeon Jejong Gyojang Chongnok was compiled as a bibliography of acquisitions, and became the base of carving Jejong Gyojang.Second, as a part of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① the period and structure of carving Jejong Gyojang and its editions, ② the existing editions of Jejong Gyojang and the related records, ③ people who participated in proofreading the existing editions, and ④ the physical features of Jejong Gyojang are discussed. The results confirm the excellence of carving and printing in the Jejong Gyojang.
이 논문은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및 ‘현존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 등을 고찰함으로써 고려 제종교장의 가치와 의의를 導出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종교장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성에 입각하여 彫印한 것이기 때문에,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1) 의천은 석가모니가 설한 각 經의 宗旨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經 〉 論 〉 疏 〉 義章 〉 師述 〉 [法]相[之]紬繹 = 天台와 賢首 등의 敎相判釋’의 순서로 ‘공부의 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여, ‘論’부터는 각각 그 상위자료를 상세하게 설명하여 구체화시켜 나감으로써 마침내 ‘교상판석’에 귀착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교장총록 분류체계의 기준은 교상판석에 입각하였음을 증명하였다. 2) 교장총록의 전체적인 분류체계는 ‘① 小乘의 說(俱舍) → ② 始敎의 宗(唯識) → ③ 終頓의 旨(起信) → ④ 圓融의 門(華嚴)’으로 나아가는 이른바 ‘의천의 교학사상’에 근거한 것임을 파악함으로써, ‘교장총록의 편성에는 일정한 準則이 있음’을 立證하였다. 3)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는, ‘의천의 교학사상’에 입각하여 元曉·賢首·天台 등의 여러 敎相判釋에서 나열·제시된 각 佛典名의 逆順으로 종합·응용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조직된 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아울러 入藏目錄을 겸할 수 있는 「신편제종교장총록」을 編成하였으며, 이 목록에 근거하여 諸宗敎藏이 彫印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현존하는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의 일환으로, ① 제종교장 조조의 시기와 구성 및 전래본, ② 제종교장 현존자료와 관련 기록, ③ 현존 간본에 나타난 교감 작업에 참여한 인물, ④ 제종교장의 형태적 특징 등을 논술하였다. 그 결과 제종교장 彫印의 탁월성 등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0
  • No :0
  • Pages :7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