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Ŭisang (義相, 625-702)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bo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arising of eka-yāna in Hwaŏmgyŏng-mundap . In other words, unlike the tri-yāna view of fixing the mind and body with reason (理) and phenomenon (事), respectively,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mind-body relationship as necessarily contingent upon the situation. If you conceptualize it as a mind, you can perceive it as a mind, or if you conceptualize it as a body, you can perceive it as a body. Here, the concepts of mind and body are considered while carefully maintaining the attitude of non-abiding (無住), which does not insist on specific interpreta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arising of non-abiding (無住緣起), one’s current Five Feet Body (五尺身) is not limited to the phenomenon of fiveskandhas . Instead, it is identified as co-arising with the entire universe. Therefore, my current body is the object of enlightenment of the future Buddha (未來佛) and the object of worship as its own self-nature Buddha (自體佛).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arising (性起), the Five Feet Body is viewed as dharmadhātu . The co-arising of eka-yāna is reveal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s necessary, but nature-arising reveals dharmadhātu itself, and the appearance of the Tathāgata himself. According to this, all 24 hours of each day in our life comprise actions that are carried out, the relief of life, and worship of the Buddha.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arising of non-abiding (無住緣起), one’s current Five Feet Body (五尺身) is not limited to the phenomenon of five
의상(義相, 625-702)은 일승연기의 입장에서 마음[心]과 몸[色]을 보았다. 이(理)와 사(事)로 고정적으로 보려는 삼승의 관점과는 달리 필요[須]에 따라 상황에 따라, 연성(緣成)으로서 마음과 몸을 이해하고자 한다. 즉 마음으로 본다면, 일체를 다 마음으로 볼 수도 있으며, 몸으로 본다면 일체를 다 몸으로 볼 수도 있다. 여기서는 마음과 몸조차도 고집하지 않는 무주의 태도를 철저히 견지하고 있는 것이다.
무주연기의 관점에서는 현재의 내 몸인 오척신의 경우에도 단지 오온(五蘊)이라는 사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주 전체와 상즉상입하는 존재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현재의 내 몸이 그대로 미래불의 교화대상이자, 그대로 자체불로서 경배의 대상이 된다. 뿐만 아니라 성기적 관점에서 볼 때는 오척신을 그대로 법성으로 보았다. 법성은 곧 성기이다. 일승의 연기가 필요에 따라 상황에 따라 드러나지만, 성기(性起)는 법성 자체가 그대로 드러난 것이며, 그 자체로 여래출현의 모습이다. 이를 통해 의상은 우리의 모든 심신작용이 여래출현이요 법성현현으로서 철저한 실천행을 지향하였다. 이에 따르면 우리의 24시간이 모두 수행이고, 교화(제도)이며, 예경(불공)이 되는 것이다.
무주연기의 관점에서는 현재의 내 몸인 오척신의 경우에도 단지 오온(五蘊)이라는 사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주 전체와 상즉상입하는 존재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현재의 내 몸이 그대로 미래불의 교화대상이자, 그대로 자체불로서 경배의 대상이 된다. 뿐만 아니라 성기적 관점에서 볼 때는 오척신을 그대로 법성으로 보았다. 법성은 곧 성기이다. 일승의 연기가 필요에 따라 상황에 따라 드러나지만, 성기(性起)는 법성 자체가 그대로 드러난 것이며, 그 자체로 여래출현의 모습이다. 이를 통해 의상은 우리의 모든 심신작용이 여래출현이요 법성현현으로서 철저한 실천행을 지향하였다. 이에 따르면 우리의 24시간이 모두 수행이고, 교화(제도)이며, 예경(불공)이 되는 것이다.
- T: 大正新修大藏經 [Revised Buddhist Canon compiled during the Taishō reign period]. 1924-1935. TAKAKUSU, Junjirō (高楠順次郞) and Kaikyoku WATANABE(渡邊海旭), et al. eds., 100 vols, Tokyo: Daizōkyōkai.
- 『大方廣佛華嚴經』 T9
- 『大方廣佛華嚴經』 T10
- 『十住經』 T10
- 『入楞伽經』 T16
- 『十地經論』 T26
- 『決定藏論』 T30
- 『三無性論』 T31
- 『攝大乘論釋』 T31
- 『十八空論』 T31
- 『轉識論』 T31
-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T35
- 『華嚴經探玄記』 T35
- 『大乘義章』 T44
-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 T45
- 『華嚴一乘法界圖』 T45
- 『華嚴經問答』 T45
- 『華嚴經探玄記』 T35
- 『法界圖記叢髓錄』 T45
- 『華嚴經傳記』 T51
- IWATA, Taijo (岩田諦靜). 2004. 『眞諦の唯識說の硏究』 [
A Study on the Yogācāra Theory of Paramārtha ], Tokyo: Sankibo Busshorin (山喜房佛書林). - JANG, Jin Young (장진영). 2009. 「『화엄경문답』의 교판사상」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Teaching of the
Hwaeomgyeong-Mundap ”], 『한국선학』 [Korean Seon Studies ], vol. 23, 711-756. 10.22253/JKSS.2009.08.23.711 - __________. 2016. 「초기화엄교학에 미친 유식사상의 영향 -心識說의 전개와 性起說의 형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Transmission of Consciousness-Only Thought in the Early Huayan School - Focusing on Transmission of the Theory of Consciousness to the Theory of Nature-arising”], 『한국불교학』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vol. 77, 225-255. - JEON, Hae Ju (전해주). 1993. 『의상화엄사상사연구』 [
A Study on the Hwaeom Thought of the Silla-dynasty Monk Uisang: As Founded in the Sung-ki Thought of Il-Sung-Pub-Gye-Do ], Seoul: 민족사 (Minjoksa). - JIN, Young-You[Ven. Pon’gak] (진영유[본각스님]). 2018. 『화엄교학 강론』 [
Lecture on Huayan Teaching ], Goyang: 뜨란 (Ttŭran). - KANO, Kazuo (加納和雄), 「보성론의 전개」 [“
Development of Ratnagotravibhāga ”], SHIMODA Masahiro (下田正弘) 저. KIM, Seongcheol (김성철) tr. 2015. 『여래장과 불성』 [Tathāgatagarbha and Buddhadhātu ], Seoul: 씨아이알 (CIR), 203-244. - KIMURA, Kiyotaka (木村淸孝). 1992. JUNG, Byung-sam (정병삼) tr. 2005. 『중국화엄사상사』 [
History of Chinese Huayan Thought ], Seoul: 민족사 (Minjoksa). - KIM, Seongcheol. 2016. 「『십지경』 ‘삼계유심’구에 대한 유가행파와 중관학파의 해석」[“On the Views of the ‘
Tribhava-cittamātra ’ of theDaśabhūmikasūtra in Yogācāra and Mādhyamaka schools”], 『한국불교학』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vol. 78, 271-291. 10.22255/JKABS.78.09 - KIM, Il-ryong (김일룡). 2018. 「화엄경 삼계유심사상의 해석사적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ribhava-citta-mātra Thought inAvataṃsaka-sūtra ”],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 KIM, Cheon-hag (김천학). 2013. 「의상 후기사상의 실천론 -내 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ory of Practices’ in the Later Thoughts of Uisang - In the Case of ‘My Body’”], 『한국선학』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vol. 35, 169-196. 10.22253/JKSS.2013.08.35.169 - LAI, Yong Hai (賴永海). 1988. Beop Ji (법지) tr. 2017. 『중국불성론』 [
Discussion of Buddha-nature in China ], Seoul: 운주사 (Unjusa). - ODA, Kenyu (織田顯祐). Taekyung (태경) tr. 『초기화엄사상사』 [
The History of Early Huayan Thought ], Seoul: 불교시대사 [Bulgyo sidaesa]. - OTAKE, Susumu (大竹晋). 2007. 『唯識說を中心とした初期華嚴敎學の硏究: 智儼・義湘から法藏へ』 [
A Study of Early Huayan Buddh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Consciousness-only Doctrine ], Tokyo: 大藏出版 (Daizo Shuppan). - OTAKE, Susumu (大竹晋). 2010. 「지론종의 유식설」 [“The Consciousness-only Doctrine of Dilun School”], 『지론사상의 형성과 변용』 [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Dilun Thought ], Geumgang Center for Buddhist Studies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ed., Seoul: 씨아이알 (CIR). - PARK, Boram (박보람). 2017. 「초기화엄교학의 법계연기설에 보이는 다양성 -여래장설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Various Trends in the Dharma-realm’s Dependent Co-arising in Early Huayan Schoo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Tathgatagarbha Theory”], 『불교학연구』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vol. 52, 141-172. 10.21482/jbs.52..201709.141 - TAKEMURA, Makio (竹村牧男). 2013. 「『대승기신론』의 인간관」 [“On the View of Human Being in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 『동아시아에서 불성・여래장사상의 수용과 변용』[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Tathāgatagarbha and Buddhadhātu Thoughts in East Asia ], Geumgang Center for Buddhist Studies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ed., Seoul: 씨아이알 (CIR). - Yi, Haeng-gu (이행구). 1996. 「화엄경에 나타난 유심사상」 [“
Cittamātra Thought in the Avataṃsaka Sūtra ”], 『불교학보』 [Journal of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 vol. 33, 1-72.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76
- No :0
- Pages :35∼67
- DOI :https://doi.org/10.21482/jbs.76..20230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