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15. pp. 217~240
Abstract
Most meditative systems of Buddhism are represented as ‘calm abiding’ (zhi gnas, śamatha, zhǐ 止) and ‘insight’ (lhag mthong, vipaśyanā, guān 觀). In Tibetan Buddhism, śamatha meditation practices are, in particular, illustrated by a painting known as Zhi gnas dpe ris, which introduces meditator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editation. Zhi gnas dpe ris symbolizes the progression of śamatha meditation stages, and does so in a series of pictures showing a monk taming an elephant and a monkey.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is somewhat similar to the well-known ten Ox-Herding Pictures (Shíniú tú 十牛圖) of East Asian Buddhism.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at originated from China may have been an influence for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However, the Zhi gnas dpe ris differs from the Ten Ox-Herding pictures, because the latter illustrate not only the stages of śamatha meditation practice but also the stages of enlightenment, including both śamatha and vipaśyanā. Concerning the doctrinal background of Zhi gnas dpe ris, the motif is connected with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sems gnas dgu, navākārā cittasthitiḥ, jiǔzhǒng xīnzhù 九種心住), i.e., consecutive methods for settling the mind in meditation. In Indian Buddhist literature, the earliest textual source for the explanation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is the Śrāvakabhūmi (Nyan thos kyi sa, Shēngwén dì 聲聞地) from within theYogācārabhūmi (Rnal 'byor spyod pa'i sa, Yúqié shī dì lùn 瑜伽師地論). The Śrāvakabhūmi was instrument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ian meditative tradition, and became very influential for the Yogācāra literature, such as the explanations on śamatha found in the Madhyāntavibhāgabhāṣya (Zhōngbiān fēnbié lùn 中邊分別論) and Kamalaśīla’s Bhāvanākrama (Sgom pa'i rim pa, Xiūxí cìdì 修習次第). In Tibetan literature, these Indian sources and their doctrines were adopted in many indigenous works on meditation, such as Tsong kha pa’s Lam rim chen mo.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editation explanations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that lie behind the Zhi gnas dpe ri painting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Zhi gnas dpe ris is a quite well-known motif,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extrem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history of this painting. Modern Japanese scholars have written some articles about the motif, all written in Japanese. In 1958, Yuichi Kajiyama (梶山雄一) wrote a brief article about a Tibetan version of the Zhi gnas dpe ris. Other Japanese publications on this topic include short articles by Tsultrim Kelsang (1991), Katsumi Mimaki (御牧克己)(1996, 2000), and Masaaki Nonin (能仁正顯)(2005). Using a comparative approach, the French scholar Catherine Despeux has published a monograph (1981) on the Ten Ox-Herding Pictures of Zen Buddhism, the Horse-Taming Pictures of Chinese Daoism, and the elephant-taming Zhi gnas dpe ris of Tibetan Buddhism. However, a full assessment of the significance of the Zhi gnas dpe ris for Tibetan Buddhism has hitherto not been attempted. I shall in this paper present some examples of Zhi gnas dpe ris paintings, contextualize them, present their connection with the teachings on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e symbolism of the elephant, the monkey, and the rabbit, showing how these animals are related to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paintings.
불교의 명상체계는 ‘고요한 머무름’이라는 의미의 샤마타(śamatha, 止)와 ‘통찰’이라는 의미의 비빠샤나(vipaśyanā, 觀)라는 두 가지 범주를 통해 제시된 다. 티벳불교에서 샤마타 명상은 특히 ‘샤마타도(Zhi gnas dpe ris)’로 알려진 그 림으로 예시되며, 이 도상을 통해 불교명상의 이론과 실수가 수행자에게 소개 된다. 샤마타도(圖)는 샤마타 명상 단계의 점진적인 진전을 상징화하고 있으 며, 코끼리와 원숭이와 토끼를 길들이는 승려를 묘사한 일련의 그림이다. 샤마타도의 교리적인 배경에 관한 한, 그 주제는 아홉 가지 마음의 머무름 (九種心住), 즉 명상 중에 마음을 머물게 하기 위한 연속적인 방법과 연관이 있 다. 인도불교문헌 내에서 구종심주에 관한 설명과 관련한 가장 최고기의 원전 은聲聞地(Śrāvakabhūmi) 이다.聲聞地 는 인도의 명상 전통을 완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中邊分別論(Madhyāntavibhāgabhāṣya) 과 까말라씰 라(Kamalaśīla)의修習次第(Bhāvanākrama) 에서 발견되는 샤마타에 대한 설 명과 같이 유가행파 문헌에 많은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인도원전과 그 가르 침은 티벳문헌 중 쫑카빠(Tsong kha pa)의보리도차제대론(Lam rim chen mo)과 같은 명상과 관련한 고유한 저작 속에 많이 차용되었다. 샤마타도와 연관되어 있는 구종심주에 대한 명상적 설명뿐만이 아니라 이 도상이 꽤 잘 알려진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의 역사에 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현대의 일본학자가 샤마타도라는 주제에 관해 몇 가지 논문을 일본어로 작성하였다. 1958년에 카지야마 유이치(梶山雄一)가 샤 마타도의 티벳 버전에 대해 간략한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 주제에 관한 또 다 른 일본 출판물로는 출팀 깰상(Tsultrim Kelsang, 1991), 카츠미 미마키(御牧克 己, 1996과 2000)와 마사아키 노닌(能仁正顯, 2005)이 쓴 짧은 논문들이 있다. 비 교 접근법을 통해, 프랑스 학자 캐서린 데스퓨(Catherine Despeux)가 선불교의 십우도, 중국 도교의 목마도, 티벳불교의 코끼리를 길들이는 샤마타도에 관한 단행본을 출판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티벳불교의 샤마타도가 지니고 있는 중요성에 대한 평가가 온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샤마타도의 몇 가지 예시를 제시하고, 맥락을 고려해서 구종심 주에 대한 가르침과 그 샤마타도를 연결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상 내 에 존재하는 코끼리, 원숭이, 토끼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 중요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동물들이 도상의 역사 및 의미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설 명하고자 한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45
  • No :0
  • Pages :217~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