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12. pp. 199 ~ 227
Abstract
The ancient oasis nations located at the dessert area of the southern route of the Silk Road, the era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had Buddhism, which spread rapidly and developed, as a common point. The construction of King’s castle was another precondition for the foundation and existence of a nation with the religion. On the Silk Road, which had been the route of Buddhist spread to the East, the construction of the king’s castle was done in a very narrow space due to loc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t seemed Buddhist temples were placed inside the castles naturally as it was recognized as the national religion. The remains of ancient tomb land are found in the northernmost of the ancient castles whil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Buddhist pagodas and temples were formed in adjacent southern region. The relation between the tomb lands and the Buddhist pagodas cannot be confirmed using only these two cases, howev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ideas of death and the afterlife were accepted in religious perspectives when constructing the ancient kings’ castles. The locations of Buddhist temples had been identified to have relationship not only with the tomb lands but also with the king’s castle. The temples were built on the northwest of the castles. The tombs, Buddhist structures and the king’s castle were built in order from the north. This may imply that there had been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 afterlife and Buddhism. Also the royal family had connections with the religion for its and nation’s prosperities. The style of the king’s castle was also affected by the religious idea abou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is way, it was identified that the way to construct the castle as revealed along the Silk Road had a direct impact on the era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in particular, the Northern Wei so that the locations of intra-castle temples after moving the capital to Luoyang Cheng were mostly concentrated to the northwestward direction of the palace. Considering the fact that such characteristics could be found in the castles built after the Northern Wei, the cultures from other regions must have been spread into the Northern Wei’s Buddhist culture. This means that the ceaseless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Silk Road had affected the construct of the king’s castle in many ways. Moreover, not only the culture from the Silk Road but East Asian Buddhism and folklore impacted the building of king’s castles.
실크로드 사막남도에 위치한 고대 오아시스 국가와 중국 남북조시 대, 그리고 한국의 삼국시대는 급속도로 전파·발전되는 공통점을 지 니고 있다. 이러한 공통점과 더불어 고대 왕성축조는 국가건립 및 존 속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데 이 두 가지 요인이 어떠한 형태 로 공존했는가에 관해 살펴본다. 불교가 東傳하면서 경유하게 되는 실 크로드의 경우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왕성의 축조가 협소한 공간에 이 루어지고, 國敎로 공인된 불교 사원지는 자연스럽게 왕성 내부에 자리 잡은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왕성의 최북단에 묘지군이 남아 있고, 인접한 남쪽에는 불탑 및 사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묘지군과 불탑과의 관계에 관해 몇 가지의 단서만으로 확 정지을 수는 없으나 고대 왕성을 축조할 때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한 관념을 종교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할 여지는 남아있다 하겠다. 불교사원지의 위치는 묘지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왕궁터로부터 북 서방향에 존재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묘지군과 이들의 위치는 북쪽부터 묘지군 - 불탑 혹은 불교사원지 - 왕궁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방위에 대한 신앙 혹은 우전국에서 본격적 으로 시작된 북방의 비사문천 신앙이 실크로드 사막남도에 퍼져 있었 으며 동시에 사후세계와 불교, 그리고 왕실 및 국가 번영과 불교의 관 계가 형성될 수 있다 하겠다. 따라서 현재와 미래에 대해 종교에 의지 하고 염원한 흔적이 곧 왕성 축조에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이 실크로드 상에서 드러나고 있는 왕성 축조 방식은 중국 남북조시대, 특히 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낙양 천도 이후 성내 사원지의 위치가 대부분 왕궁의 북서방향에 집중되어 있는 것도 확인 할 수 있다. 북위시대를 거쳐 이후에 축조된 왕성에서 이와 같은 형태 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은 북위시대 불교문화형성이 다른 지역의 것이 이식된 사실 즉, 실크로드와의 끊임없는 교류를 통해 직접적인 연관성 을 지닌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또한 실크로드를 비롯한 동아시 아에서의 불교와 민간신앙과의 습합이 왕성 축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는 점을 볼 수 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3
  • No :0
  • Pages :199 ~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