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5 Vol.44
30 September 2015. pp. 1 ~ 33
Abstract
‘Majjhena(中) or majjhimā paṭipadā(中道)’ and paṭiccasamuppāda(緣起) are the most critical teachings of Buddha in the early Buddhism. Majjhena heads into a genuine view, getting over the conflicting claims, so that paṭiccasamuppāda, the result drawn by majjhimā paṭipadā(中道), makes us know the phenomena of yathābhūtaṃ(如實).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not clarified how they work together. They only interpret paṭiccasamuppāda as accounting of saṃsāra(輪回) in context of anuloma(順觀) or else explain it as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wo things in interactive position. I have analyzed that existing studies lay a misleading assumption which covers up the direction of paṭiloma(逆觀). The flow of paṭiloma begins with jarāmaraṇa(老死), and moves to seek for the condition of jarāmaraṇa, thinking like “With what being present, does ageing-and-death occur?” ‘Paṭiccasamuppāda of paṭiloma’ contacts with views to carry bhava․abhava(有․無), ekatta․puthutta(一․異), dukkha․sukha(苦․樂), sayaṃkata․paraṃkata(自作․他作), sassata․uccheda(常․斷) over and majjhena leads us into a true observation beyond such conflicting views. That is, in the direction of paṭiloma, the limits of ‘bhava(有), jāti(生), and jarāmaraṇa’(老死) are overcome by ‘majjhena of bhava․abhava;’ the limits of ‘taṇhā(渴愛) and upādāna(取)’ are overcome by ‘majjhena of ekatta․puthutta,’ the limits of ‘vedanā’(受) are overcome by ‘majjhena of sukha․dukkha,’ the limits of ‘viññāṇa(識), nāmarūpa(名色), saḷāyatana(六處), and phassa (觸)’ are overcome by ‘majjhena of sayaṃkata․paraṃkata,’ and the limits of ‘avijjā(無明) and saṅkhāra(行)’ are overcome by ‘majjhena of sassata․uccheda’. This paper, therefore, will show ‘paṭiccasamuppāda of paṭiloma’ to be the philosophical explanation, which is involved in being, mind and body, value, and the recognition of truth in terms of majjhena.
십이연기(十二緣起)와 중도(中道)는 초기불교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교법이다. 중도는 모순 대립된 사상들에 다가가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십이연기는 중도에 의해 발견되는 것으로서 ‘있는 그대로’의 실상(實相)을 설명한다. 십이연기에 대한 해석은 크게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과 상관상의설(相關相依說)을 들 수 있다. 삼세양중인과설은 순관(順觀, anuloma)의 흐름에서 십이연기가 윤회를 설명한다고 말한다. 상관상의설은 쌍방향에서 십이연기가 사물과 사물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설명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양자의 해석은 십이연기와 중도가 어떻게 함께 기능하고 있는가를 설명하지 않았다. 본문은 그 이유가 역관(逆觀, paṭiloma)의 방향에서 십이연기의 의미가 탐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본래의 역관은 ‘무엇이 있을 때 노사(老死)가 있을까’처럼 사유하며, 노사에서 출발하여 노사의 조건성을 탐구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역관의 사유는 노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무(有․無), 일․이(一․異), 고․락(苦․樂), 자작․타작(自作․他作), 상․단(常․斷)의 사상들을 고찰한다. 그 흐름 속에서 중도는 모순․대립된 사상을 넘어 실상에 도달한다. 즉 역관의 방향에서 십이연기와 중도의 관계는 ‘유(有), 생(生), 노사’의 한계를 유․무중도로, ‘갈애(渴愛), 취(取)’의 한계를 일․이중도로, ‘수(受)’의 한계를 고․락중도로,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의 한계를 자작․타작중도로, ‘무명(無明), 행(行)’의 한계를 상․단중도로 극복하는 것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본문의 관점에서 십이연기는 존재, 일이(一異), 가치, 인식, 진리의 문제에 관한 철학적 해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44
  • No :0
  • Pages :1 ~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