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11. pp. 309 ~ 338
Abstract
In-Ak’s fundamental teachings concerned the mind. He argued that the ultimate of all Gyos and Seons should eventually come down to illuminating one’s mind. The mind is what everyone is born with, and its operations are the essence to understanding to the workings of everything in the universe. He thus criticized those who left a well-round and pure mind behind by idling years away. His Ilshim can be examined in two directions, namely the Seonggi mind of Hwaeom and the sudden enlightenment mind.First, the old Hwaeom people accepted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ng the seven letters in the title of “Daebanggwangbulhwaeomgyeong” as Ingwa, Yeongi, Ishil, Beopgye, and Busaui by Cheongryang. Regarding the subject, In-Ak said that the content discussed in Hwaeomgyeong was limited to the scope of truth and wisdom, that truth and wisdom was limited to the scope of the mind, and that the mind was used by all beings. It is thus estimated that In-Ak took a more Zen, informal and realistic approach towards the interpretations of Hwaeom than Cheongryang.He also had a different position from Cheongryang who argued that Buddha was pure while people were contaminated. He saw that the mind, Buddha, and people wer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the same force, insisting that “The minds become the whole even though they are not whole in forms.” In addition, he said that “All laws become one mind when mentioned together” and that “Each law has one mind when mentioned separately,” taking a position that “There are no obstacles between phenomena” in one and many. He placed an emphasis on the practice of Zen Buddhist meditation as a way of study based on such an innate mind.Secondly, when the mind is bright, its owner becomes familiar with every rule, which will naturally reveal itself. When one has a realization in the mind, he or she will see everything as though in a mirror. When one has confusion in the mind, he or she will see everything like the wall. One should thus illuminate his or her mind first if he or she is to know all the rules, which state was defined as sudden enlightenment by In-Ak. Illuminating one’s mind represents a level of understanding of why Jo Sa came from west.In-Ak suggested the control of six sensory organs, namely the eyes, ears, nose, tongue, body, and consciousness, as a specific Seon practice method to have a mind that is as clear as the river. He also explained that if one reduces his or her greed by controlling the outside and stabilizing the inside, his or her mind will automatically become clear. True Buddha happens when there is no worldly desire or useless idea on the mind. In-Ak’s views on Ilshim discussed so far have been passed down since his days and have values for disciplinants to take as guidelines.
인악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마음에 있었다. 인악은 온갖 敎와 禪의 궁극도 결국은 자신의 마음자리를 밝히는 것으로 귀일된다고 했다. 그 마음은 누구에게나 태어나면서부터 갖추고 있으며, 그 작용은 우주의 삼라만상을 움직이는 근본이다. 때문에 모든 사람은 원만하고 청정한 마음을 떠나서는 단지 허송세월만 할 뿐이라고 질책 했다. 인악의 일심을 화엄의 性起的 일심과 頓悟 일심의 두 가지 방향으로 살펴 볼 수 있다.첫째, 기존 화엄가들은 청량이 ‘대방광불화엄경’의 제목 일곱 字를 인과·연기·이실·법계·부사의로 풀이한 관점을 수용해 왔다. 이에 대해 인악은 『화엄경』에서 설해진 내용은 진리와 지혜를 벗어나지 않고, 진리와 지혜는 마음을 벗어나지 않으며, 이 마음은 일체중생이 매일 쓰는 것이라고 했다. 이를 보면 인악은 청량에 비해 禪的이고 소탈하면서 현실적으로 화엄을 풀이했음을 알 수 있다.또 인악은 청량이 부처는 청정하고 중생은 오염되었다고 차별한 것에 이견을 보였다. 그래서 ‘마음은 비록 일체의 형상이 아니나 일체가 된다’고 하여 마음과 부처 및 중생은 본체에서 각기 달리 드러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합해서 말하면 만법이 모두 일심’이라고 하면서도 ‘나누어 말하면 법마다 각기 일심을 갖추고 있다’고 하여 하나와 다수에 자재한 ‘현상과 현상이 걸림없는’ 입장을 보였다. 인악은 이러한 본래 마음을 바탕으로 한 공부 방법으로 참선 수행을 강조했다. 둘째, 이러한 마음에 밝으면 만법에도 밝아 저절로 드러난다. 마음을 깨달으면 모든 것이 거울을 대한 듯 하고, 마음에 미혹하면 모든 것이 담장을 대한 듯하다. 만법을 알고자 한다면 마음을 먼저 밝혀야 할 것이다[欲達萬法 先明一心]. 인악은 이러한 경지를 頓悟로 규정했다. 마음에 밝다는 것은 바로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을 파악한 경지이기도 하다.강물과 같은 맑은 마음을 찾기 위한 구체적 선수행법으로 인악은 [눈·귀·코·혀·몸·의식] 여섯 가지 감각기관을 제어할 것을 제시했다[面壁要先閉六窓]. 또한 밖을 제어하고, 안을 안정시킴으로써 욕심이 적어지면 마음은 저절로 맑아질 것이라고 했다. 진짜 부처는 바로 마음속의 쓸데없는 것을 버린 무심한 상태라고 할 수 있겠다.지금까지 살펴본 이러한 인악의 一心觀은 당대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면면히 계승하여 수행자의 지침을 삼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0
  • No :0
  • Pages :309 ~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