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논문

31 December 2018. pp. 59-85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manuscripts on Kegon study of Todai-ji library copied in early modern period, and surveyed the activity of Kegon study in Todai-ji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hinsyō (the chief of Shisyōbō, a branch temple located in Todai-ji) transcribed many manuscripts which are related to Kegon sect during this period. Shinsyō's copied manuscripts served as the basic material for Dainihon Zokuzo-kyo, Matsubara's collection of Todai-ji library, and Wonjong munryu of Bukkyo University. Shinsyō transcribed extensively while he served as Sōdokushi, a position that is responsible for the collection of books and records in Todai-ji and has an exclusive right to access the books freely. Shinsyō also gave a lecture at Kegon class performed on March 24, 1704. It seems that he collected books of Kegon thought and transcribed much manuscripts energetically for the lecture. And it is thought that most Shisyōbō collections were made at this time. It can be safely said that close examination of Shinsyō's transcribed books will clairfy the activity of Kegon study in Todai-ji in early modern period.
동대사(東大寺)는 8세기에 창건된 팔종겸학(八宗兼學)의 학문사찰로서, 지금까지 방대한 양의 경권(經卷)과 성교류(聖敎類)가 전해지고 있는 곳이다. 13-16세기에는, 12세기에 소실되었던 동대사 계단원(戒壇院)이 복구되면서, 이를 중심으로 불교교학도 점차 부흥하여 많은 경권과 성교가 서사(書寫)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서적들이 강의에 사용되면서, 불교교학이 융성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면서 동아시아 불교교학, 문화의 교류에 대해 보다 분명해지고 있다. 하지만 그 이후인 중세(무로마치 시대)·근세(에도 시대)에 걸친 동대사의 불교교학 연구는 그다지 진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출판이 일반화된 근세 동대사의 장서(藏書)에 대해서는 도서목록(書目)이나 권수 등을 기록한 간단한 목록은 존재하지만 상세한 사항을 알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대사가 소장하고 있는 각 종파의 불전류들 가운데에서, 화엄관계의 근세 사본을 검토하여 17-19세기경의 동대사에서의 화엄연구 활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이 시기에 서사된 대부분의 서적은 화엄을 전공하는 동대사 경내 사원의 하나인 사성방(四聖坊)의 승려 신쇼(晋性)가 서사한 것이거나 혹은 신쇼와 관계가 깊은 인물이 서사한 것이었다는 점, 특히 메이지 시대에 출판된 『대일본속장경(大日本續藏經)』이나 동대사가 소장하고 있는 마츠바라(松原) 문고본, 불교대학(佛敎大學)이 소장하고 있는 『원종문류(圓宗文類)』에 대해서는 신쇼의 서사본은 저본으로 하여 서사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신쇼가 왕성하게 서사한 시기는, 그가 동대사의 기록류나 장서류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소임인 ‘총독사(惣讀師, 임기 1년의 순번제 직으로 정원은 장로격의 승려 1명)’에 임명된 시기로, 그 혼자서 동대사의 모든 비본(祕本)을 열람할 수 있었던 때이다. 게다가 신쇼는 1704년(宝永1년) 3월 27일에는 동대사 경내에서 거행된 ‘화엄강(華嚴講)’이 강사를 담당하였고, 이때까지 ‘총독사’ 소임을 담당했던 신쇼는 화엄관련 성교류의 수집, 서사를 정력적으로 행하여 사성방의 장서군이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 신쇼의 서사본에 대한 내용검토를 통해 근세 동대사에서의 화엄연구 활동이 보다 분명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단행본류
  1. 平岡定海 『東大寺宗性上人の研究並史料』 (日本学術振興会 1958-60年)
  2. 新藤晋海編 『凝然大徳事績梗概』 (東大寺教学部 1971年)
  3. 大屋徳城 『高麗続蔵雕造攷』 (大屋徳城著作選集七 国書刊行会 1988年)
  4. 納冨常天 『金沢文庫史料の研究』 (法蔵館 1982年)
  5. 논문류
  6. 吉津宜英・柴崎照和 「義天編纂 『圓宗文類』 巻第一-解題と翻刻-」 (『駒澤大學佛教學部研究紀要』 第五十六號 1993年 87-126)
  7. 朴鎔辰 「高麗義天撰 『円宗文類』の日本伝承と交流史的意義」 (『印度學佛教學研究』 第六十三巻第一号2014年 514-511)
  8. 金天鶴 「『華厳経文義要決問答』の基礎的研究」 (『調査研究報告』 (学習院大学 1999年 15-39)
  9. 金永旭 「佐藤本 華嚴文義要訣의 國語學的 硏究」 (『口決研究』10 口決学会 2003年 47-77)
  10. 坪井 俊英 「金沢文庫所蔵円宗文類並解題」 (『仏教大学学報』30 1955年 99-104)
  11. 坂東俊彦 「近世における東大寺寺内組織と 『東大寺要録』」 (『東大寺の新研究3 東大寺の歴史と美術』 法蔵館 2017年 521-555)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7
  • No :0
  • Pages :5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