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62

특집논문

31 March 2020. pp. 1~32
Abstract
Silla Odaesan (新羅 五臺山) was the mountain where the Manjusri Faith of Chinese Odaesan (五台山, Wutai Mountain) in Shanxi Province was implanted by Jajang (慈藏, 生594-599∼沒653-655)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from Silla Kingdom. However, during the Unified Silla, Odaesan was transformed into the place for the Omanjinsin Faith (五萬眞身信仰, Fifty-thousand True Body Faith, faith in the manifestation of fifty-thousand bodhisattva and arhats), with Manjusri as a main figure, by Bocheon (寶川) and Hyomyeong (孝明). This paper examines the Fifty-thousand True Body Faith that has not been properly examined until now, based on the two records for the religious structure of the Faith: Minji (閔漬)'s Odaesan Sajeokgi (五臺山事蹟記) and Ilyeon (一然)'s Samguk 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o far, as for the Fifty-thousand True Body Faith, Ilyeon’s record has been mainly studied and Minji’s was used just to supplement it. However, this paper will focus more on Minji's record, pointing out the problems in the Ilyeon’s and also will summarize the phase of change and its validity. After this, it turned out that there exist Akṣobhya-buddha (阿閦佛) and Bhaiṣajyaguru-tathāgata (藥師如來) in the background of the Avalokiteshvara Faith, which is found in Dongdae (東臺, East Dae) of Odaesan, and that the Five Hundred Arhat Faith (五百羅漢信仰) of Bukdae (北臺, North Dae) was actually transformed from Maitreya Faith (彌勒信仰).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paper is the faith change in Bukdae. The problem is that the numerical coherence with the Fifty-thousand True Body is broken when the five hundred Arhats become the center of the Bukdae Faith, and it is also not coherent with the fact that all the five Daes centered on the Bodhisattva Faith. This problem can be solved through the Maitreya Faith found in Minji's records and, through this, we can judge the situation in which the elements of Maitreya Faith of Unified Shilla were transformed into Five Hundred Arhat Faith of the Goryeo Period.
신라오대산은 선덕여왕 때 자장에 의해서, 중국 산서성 오대산의 문수신앙이 이식된 것이다. 그러나 신라오대산은 통일신라에 이르면 보천과 효명에 의해서 문수를 중심으로 하는 오만진신신앙으로 변모한다. 이는 중국오대산과는 다른 신라불교만의 특징이자, 당시에 유행하던 대승불교의 보살신앙을 통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지금까지 제대로 검토되지 못했던 오만진신신앙에 대해서 검토해 본 것이다. 오만진신 구조와 관련해서는 민지의 『오대산사적기 』와 일연의 『삼국유사 』 속 기록이 전해지는데, 양자 사이에는 일부 상이점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오만진신신앙에 대해서는 일연의 기록을 중심으로 하고 민지의 것을 보충적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민지의 기록에 보다 집중해서, 일연의 오만진신 구조 기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의 변화 양상과 타당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오대산의 동대에서 확인되는 관음신앙의 배경에 아축불과 약사여래도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북대의 오백나한신앙이 사실은 미륵신앙에서 변모한 것이라는 점이다. 이 중 본고에서 중시한 부분은 북대의 신앙변화이다. 이는 북대 신앙의 중심이 오백나한이 될 경우에, 오만진신에서 5만이라는 숫자적인 정합성이 무너지며 오대가 모두 보살신앙 중심인 것과 배치(背馳)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민지의 기록에서 확인되는 미륵신앙의 모습이며, 이를 통해서 통일신라의 미륵신앙 요소가 고려 시대에 오백나한으로 변모된 정황을 판단해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오대산신앙의 변화양상을 통해서, 신앙구조 원형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에 도달하게 된다.
References
    1. 원전자료
  1. ∙『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 』, 『大正藏 』18.
  2. ∙『金光明經 』, 『大正藏 』16.
  3. ∙『金光明最勝王經 』, 『大正藏 』16.
  4.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 『大正藏 』50.
  5. ∙『大唐西域記 』, 『大正藏 』51.
  6. ∙『大方廣十輪經 』, 『大正藏 』13.
  7. ∙『大乘大集地藏十輪經 』, 『大正藏 』13.
  8. ∙『妙法蓮華經 』, 『大正藏 』9.
  9. ∙『無量壽經 』, 『大正藏 』12.
  10. ∙『佛說觀無量壽佛經 』, 『大正藏 』12.
  11. ∙『佛說大乘八大曼拏羅經 』, 『大正藏 』20.
  12. ∙『佛說阿彌陀經 』, 『大正藏 』12.
  13. ∙『佛說一切佛攝相應大教王經聖觀自在菩薩念誦儀軌 』, 『大正藏 』20.
  14. ∙『佛說地藏菩薩經 』, 『大正藏 』85.
  15. ∙『佛說地藏菩薩陀羅尼經 』, 『大正藏 』20.
  16. ∙『三國遺事 』, 『大正藏 』49.
  17. ∙『添品妙法蓮華經 』, 『大正藏 』9.
  18. ∙『七佛八菩薩所說大陀羅尼神呪經卷第一 』, 『大正藏 』21.
  19. ∙『八大菩薩曼荼羅經 』, 『大正藏 』20.
  20. ∙『合部金光明經 』, 『大正藏 』16.
  21. ∙『高麗史 』.
  22. ∙『世宗實錄 』.
  23. ∙『五臺山事蹟記 』.
  24. ∙『元史 』.
  25. ∙『擇里志 』.
  26. ∙『漢書 』.
  27. ∙柳善慶 撰, 〈海州神光寺事跡碑〉.
  28. ∙장동익 編, 〈危素 撰-高麗海州神光寺碑〉, 『元代麗史資料集錄 』, 서울: 서울大 出版部, 1997.
  29. ∙安震湖 編, 『釋門儀範 』, 서울: 法輪社, 檀紀4294.
  30. ∙韓國學文獻硏究所 編, 「楓嶽山長安寺事蹟記-跋文」, 『乾鳳寺本末事蹟・楡岾寺本末寺誌 』, 서울: 亞世亞文化社, 1977.
  31. ∙張彦遠, 『歷代名畵記 上 』, 조송식 譯, 서울: 時空社, 2008.
  32. 2. 2차자료 <단행본류>
  33. ∙최몽룡, 『한국미술의 자생성 』, 서울: 한길아트, 1999.
  34. ∙구보 노리따다, 『道敎史 』, 崔俊植 譯, 서울: 분도출판사, 2000.
  35. ∙리쩌허우, 『中國古代思想史論 』, 정병석 譯, 서울: 한길사, 2005.
  36. ∙바이화원, 『中國寺院 文化紀行 』, 배진달 譯, 서울: 예경, 2001.
  37. ∙샐리 하비 리긴스, 『玄奘法師 』, 신소연・김민구 譯, 서울: 民音社, 2010.
  38. ∙K. S. 케네쓰 첸, 『中國佛敎 上 』, 박해당 譯, 서울: 民族社, 1991.
  39. ∙토오도오 교순・시오이리 료오도, 『中國佛敎史 』, 차차석 譯, 서울: 대원정사, 1992.
  40. ∙袁冰凌, 『支提山華嚴寺誌 』, 福建: 福建人民出版社, 2013.
  41. ∙長部和雄, 『唐代密敎史雜考 』, 神戶: 神戶商科大學學術硏究會, 1971.
  42. <논문류>
  43. ∙郭磊, 「新羅 五臺山文殊信仰 研究」, 서울: 東國大 博士學位論文, 2016.
  44. ∙梁正錫, 「新羅 中古期 皇龍寺의 造營과 意味」, 서울: 高麗大 博士學位論文, 2001.
  45. ∙廉仲燮, 「慈藏의 傳記資料 硏究」, 서울: 東國大 博士學位論文, 2015.
  46. ∙安良圭, 『붓다의 入滅에 관한 硏究 』, 서울: 民族社, 2009.
  47. ∙崔成烈, 「天冠寺와 天冠菩薩 信仰」, 『天冠寺의 歷史와 性格 』, 長興: 長興郡, 2013.
  48. ∙洪潤植, 「新羅 華嚴思想의 社會的 展開와 曼茶羅」, 『(千寬宇先生還曆紀念) 韓國史學論叢 』, 서울: 正音文化社, 1985.
  49. ∙김아름, 「觀音・地藏竝立 圖像의 淵源과 唐・宋代의 觀音・地藏竝立像」, 『講座美術史 』 제45호, 서울: 佛敎美術史學會, 2015, pp.307-333.
  50. ∙金一權, 「唐宋代의 明堂儀禮 變遷과 그 天文宇宙論的 運用」, 『宗敎와 文化 』, 제6집, 서울: 서울大學校 宗敎問題硏究所, 2000. pp.209-244.
  51. ∙朴魯俊, 「五臺山信仰의 起源硏究-羅・唐 五臺山信仰의 比較論的 考察」, 『嶺東文化 』 제2호, 江陵: 關東大學校 嶺東文化硏究所, 1986, pp.51-69.
  52. ∙신동하, 「新羅 五臺山信仰의 구조」, 『人文수學硏究 』 제3호, 서울: 同德女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7, pp.1-28.
  53. ∙廉仲燮, 「魯英 筆 高麗 太祖 曇無竭菩薩 禮拜圖의 타당성 검토」, 『國學硏究 』 제30집, 安東: 韓國國學振興院, 2016, pp.553-598.
  54. ∙ , 「新羅五臺山의 정립에 있어서 文殊信仰과 華嚴」, 『淨土學硏究 』 제29집, 서울: 韓國淨土學會, 2018, pp.315-348.
  55. ∙ , 「五臺山 文殊華嚴 신앙의 특수성 고찰」, 『韓國佛敎學 』 제63호, 서울: 韓國佛敎學會, 2012, pp.7-40.
  56. ∙ , 「五臺山史庫의 立地와 四溟堂」, 『東國史學 』 제57집, 서울: 東國大學校 東國歷史文化硏究所, 2014, pp.1-42.
  57. ∙ , 「『地藏經 』의 중국 유행시기와 인도문화권 찬술의 타당성 검토」, 『東아시아佛敎文化 』 제37호, 釜山: 東아시아佛敎文化學會, 2019, pp.165-189.
  58. ∙ , 「한국불교 聖山인식의 시원과 전개-五臺山・金剛山・寶盖山을 중심으로」, 『史學硏究 』 제126호, 서울: 韓國史學會, 2017, pp.81-118.
  59. ∙윤세원, 「轉輪聖王의 개념형성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東洋社會思想 』 제17집, 서울: 東洋社會思想學會, 2008, pp.173-202.
  60. ∙장동익・권영배, 「危素의 神光・普光寺碑文에 대한 검토」, 『慶北大學敎 論文集 』 제51권, 大邱: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1, pp.281-288..
  61. ∙정병삼, 「新羅 藥師信仰의 성격」, 『佛敎硏究 』 제39호, 서울: 韓國佛敎硏究院, 2013, pp.57-88.
  62. ∙黃金順, 「觀音・地藏菩薩像의 來世救濟 信仰」, 『美術史硏究 』 제19호, 서울: 美術史硏究會, 2005, pp.59-86.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62
  • No :0
  • Pages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