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논문

30 September 2021. pp. 95-125
Abstract
The reform of the Jogye Order in 1994 completed the current order structure. Since then, the ideology and performance of the Reform Order have been regarded as absolute and negative evaluation has been forbidden. However, in recent years, objective evaluation of the Reform Order has been gradually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present the limitations and tasks of the Jogye Ord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ambience and structure of order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a new era. This paper presented the limits of the Reform Order in the following four ways: First, due to the factions that emerged with the start of the Reform Order, politics has overflowed within the order, while religiosity has been lost. Second, the democratization and independence aimed by the Reform Order are the absolute values ​​of secular organizations, not of religious organizations. Third,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y occurred in the saṃgha as the Reform Order was devoted to the liquidation of opponents and the settlement of the electoral system. Fourth, the Reform Order focused on administrative reform, not on religious reform.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four tasks: First, the present Jogye Order should focus on the renewal of the saṃgha spirit, not on the institutional reform. Second, the harmony of the saṃgha must be pursued through 1) the dissolution of the factions, while strengthening positive function of them, 2) reconsideration of the disciplinary punishment in 1994, and 3) the realization of equality in possession and distribu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bhikṣu-centered order management so that bhikṣuṇīs and lay believers can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Order and templ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entral organizations so that higher priority can be given to spiritual practice and propagation, not to administrative system.
1994년 개혁불사는 개혁회의라는 혁명기구를 통하여 현재의 조계종 종단구조를 수립하고, 개혁종단을 출범시켰다. 이후 조계종에서 1994년 개혁불사와 개혁종단의 이념과 성과는 절대시 되어왔다. 그에 대한 평가는 긍정 일변도였으며, 부정적 평가는 금기시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근래 들어서는 개혁종단의 종단개혁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개혁종단의 한계와 과제를 객관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에 맞는 종단운영의 풍토와 구조의 형성에 기여하는데 있다. 개혁종단의 한계로는 종책모임의 대두와 종단정치의 과잉, 종단개혁의 세속성, 승가의 갈등과 분열, 행정 중심 종단운영을 제시하였다. 종책모임의 대두와 종단정치의 과잉은 개혁종단의 출범과 함께 대두된 계파로 인하여 종단에 정치가 넘쳐나면서 종교성이 상실되었다는 것이다. 종단개혁의 세속성은 개혁종단이 지향한 민주화와 자주화가 종교조직이 아닌 세속 조직의 절대 가치라는 것이다. 승가의 갈등과 분열은 개혁종단이 인적 청산과 선거제도 정착에 천착하면서 승가에 정치적・경제적 불평등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행정 중심 종단운영은 개혁종단이 종교적 개혁이 아닌 행정적 개혁에 치중했다는 것이다. 개혁종단의 과제로는 종교적 정체성의 회복, 화합공동체의 실현, 비구니와 재가자의 참종권 확대, 종단조직의 재정비를 제시하였다. 종교적 정체성의 회복은 개혁종단이 제도개혁에서 나아가 승풍진작과 종풍쇄신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화합공동체의 실현은 계파의 해체 또는 순기능 강화, 1994년 징계자 재심, 소유와 분배의 평등 등을 통하여 승가의 화합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구니와 재가자의 참종권 확대는 비구 중심의 종단 운영에서 변화하여 비구니와 재가자가 종단과 사찰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종단조직의 재정비는 중앙기구를 현재의 행정 우위에서 수행과 전법이 우위에 놓일 수 있도록 다시 정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References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1. BEOB-AN (법안). 2014. 「종단 정치 권력구조의 흐름과 과제」 ["*The flow and tasks of Jogye Order's political power structure"], 『종단개혁 20주년 기념 2차 세미나 / 개혁불사20년, 무엇이 변했는가』 (*2nd Seminar in Commemo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Jogye Order's Reform / What Has Changed in 20 Years of Buddhist-work for Reform), Seoul: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94년 개혁불사 2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The 20th Anniversary Commemoration Promotion Committee of Jogye Order's Administrative Headquarters for 1994 Reform Buddhist-Work), 27-43.
  2. CHO, Ki ryong (조기룡). 2017. 「한국불교의 파승 원인과 한국승가의 화합 방안-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Causes of Disharmony of Korean Buddhism and Measures for Promoting the Harmony of Korean Saṃgha-From the Perspective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불교학연구』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vol. 52, 59-84.
  3. CHO, Ki ryong (조기룡). 2018. 「대한불교조계종 개혁종단의 이념 정체성과 승가교육의 정향」 ["Ideological Identity of the Reform Order withi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the Educational Orientation for the Community of Monks and Nuns"], 『선학』 (Journal of Seon Studies), vol. 50, 9-40. 10.22253/JSS.2018.8.50.9
  4. HYUN-EUNG (현응). 2014. 「조계종단의 미래와 과제」 [*"The future and tasks of the Jogye Order"], 『종단개혁 20주년 기념 3차 세미나 / 종단 개혁불사의 과제와 전망』 (*3rd Seminar in Commemo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Jogye Order's Reform / Challenges and Prospects of Jogye Order's Reform Buddhist-Work), Seoul: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94년 개혁불사 2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The 20th Anniversary Commemoration Promotion Committee of Jogye Order's Administrative Headquarters for 1994 Reform Buddhist-Work), 11-26.
  5. JOGYE Order's Committee for Reform of the Order (대한불교조계종 종단쇄신위원회). 2013. 『대비원력의 발심과 실천을 위한 승가청규』 [*Saṃgha Pure Rules for Conversion and Practice of the Great Compassion and Aspiration], Seoul: 대한불교조계종 출판사 (Jogye Order Publishing).
  6. JOGYE Order's Headquarters for Centennial Big Plan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2019. 『대한불교조계종 화합과 혁신위원회 '한국불교, 새로운 100년 설계를 위한 제안-화합과 혁신위원회 기획위원회 활동 최종 보고서』 [*Jogye Order's Committee for Harmony and Innovation 'Korean Buddhism, Proposal for a New 100-year Design: Activities Final Report of Planning Committee], Seoul: 백년대계본부 (Headquarters for Centennial Big Plan).
  7. KIM, Bong jun (김봉준). 2001. 「94년 불교개혁운동의 반성적 점검」 [*"Review of the Buddhism Reform Movement in 1994"], 『불교평론』 (The Buddhist Review), vol. 8, 216-234.
  8. KIM, Kwang sik (김광식). 2018. 「94년 '종단개혁'의 재인식-휴암의 '개혁세력 비판의 문건'을 중심으로」 [*"Re-awareness of 'Jogye Order's Reform' in 1994-Focusing on Hu-am's Document of Criticism to Reformers"], 『조계종단의 개혁과 정화의 제문제』 (*Problems of reform and purification of Jogye Order), Seoul: 도서출판 중도 (Jungdo Publishing), 131-162.
  9. LEE, Ja rang (이자랑). 2012. 「초기불교승가의 소유와 분배」 ["Possession and Distribution in the Early Buddhist Saṃgha"], 『불교학연구』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vol. 33, 7-43. 10.21482/jbs.33..201212.7
  10. LEE, J. 2018. 「종단 화합 조치의 필요성」 [*"The Need of Measures for Jogye Order's Harmony"], 『조계종단의 개혁과 정화의 제문제』 (*Problems of Reform and Purification of the Jogye Order), Seoul: 도서출판 중도 (Jungdo Publishing), 355-371.
  11. PARK, Gyeong jun (박경준). 2012. 「휴암(休庵, 1941~1997) 불교의 세속화, 기복화를 막아라」, [*"Hu-am(休庵), Stop the Secularization and the Praying for Blessing of Buddhism"], 『불교평론』 (The Buddhist Review), vol. 50, 296-318.
  12. PARK, Gyu tae (박규태) tr. 2010. 『세계종교사상사 3』 [Histories des Croyances et des Idées Religieuses Ⅲ], 서울: 이학사 (Ehak Publishing).
  13. SEOL-JEONG (설정). 2014. 「개혁의 완성 그리고 불교의 미래」 [*"The Completion of Reform and the Future of Buddhism"], 『종단개혁 20주년 기념 2차 세미나 / 개혁불사20년, 무엇이 변했는가』 (*2nd Seminar in Commemo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Jogye Order's Reform / What Has Changed in 20 Years of Buddhist-work for Reform), Seoul: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94년 개혁불사 2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The 20th Anniversary Commemoration Promotion Committee of Jogye Order's Administrative Headquarters for 1994 Reform Buddhist-Work), 5-15.
  14. The 20th Anniversary Commemoration Promotion Committee of Jogye Order's Administrative Headquarters for 1994 Reform Buddhist-Work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94년 개혁불사 2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2016. 『종단개혁 20주년 기념 94년 종단개혁 백서』 [*A White Paper on 1994 Order Reform for Celebrating the 20th Anniversary], Seoul: 대한불교조계종 출판사 (Jogye Order Publishing).
  15. 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3854
  16. http://www.buddhism.or.kr/jongdan/sub1/sub1-3-t2.php
  17.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7347
  18.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3423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68
  • No :0
  • Pages :95-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