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rough the declaration that “cetanā is karma,” the Buddh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ntion, which occurs before action. Intention is a major process in humans, and it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area of practice in the literature of early Buddhism. Nonetheless, research on this topic is somewhat lacking. In meditation practice, the focus is often restricted to the body or breath, with recommendations favoring body-centered techniques. As practitioners grow and develop, however,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scope of their practice.
In examining the process of perception as describe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concepts of contact (phassa ) and feeling (vedanā ) play a role in giving rise to negative such as longing, obsession, or delusion in the process of human perception. Buddhist practice intervenes in this process and helps to adjust the development of negative psychological flow. In particular, intention appears before and after feelings and perceptions, and even before the occurrence of y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ractitioner to apply intention as the object of practice in order to control yearning.
By focusing on intention, we can proceed to the practice of recognizing the areas of the body and mind together. The practitioner should be aware of and observe the intention that precedes an action.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progress of practice. In early Buddhism, inten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object of practice to prevent the expansion of yearning and pave the way for liberation.
In examining the process of perception as describe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concepts of contact (
By focusing on intention, we can proceed to the practice of recognizing the areas of the body and mind together. The practitioner should be aware of and observe the intention that precedes an action.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progress of practice. In early Buddhism, inten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object of practice to prevent the expansion of yearning and pave the way for liberation.
붓다는 의도(思, cetanā )가 곧 업이라는 선언을 통해 행위 이전에 일어나는 의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간에게 있어 의도는 주요한 인식 과정의 하나이며, 또한 초기불교의 다양한 문헌적 배경을 통해 의도는 수행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역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의도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며, 수행의 차원에 있어서도 그 대상은 자신의 몸이나 호흡에 한정되어 신념처(身念處, kāyanūpassanā ) 중심의 수행이 권장되어 왔다. 그러나 수행자의 성장과 발전에 따라 수행의 범주 또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의도는 몸과 마음의 작용 모두에 관여하며, 마음의 오염과 윤회, 해탈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 또한 의도와 업은 상호적 관계에서 작동하기도, 의도가 업을 추동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역동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인식 과정을 살펴보면, 접촉과 느낌은 인간의 인식 과정에서 갈애와 집착 혹은 희론 등의 부정적인 결말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불교 수행은 이 과정에 개입하여 부정적인 흐름으로의 전개를 조정하도록 돕는다. 특히 의도는 느낌과 지각의 이전과 이후, 혹은 갈애의 발생 전에도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수행자는 갈애 등을 다스리기 위해 의도를 수행의 대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마음을 관찰하는 것보다 몸을 관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는 시각으로 인해, 몸의 감각과 동작을 관찰하는 수행이 권장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의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통해, 몸과 마음의 영역을 함께 알아차리는 수행으로 나아갈 수 있다. 수행자는 행위 이전에 나타나는 의도를 관찰하고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는 곧 수행의 진보와 직결된다. 초기불교에서 의도는 갈애로의 확장은 막고, 해탈로 향하는 길을 닦기 위한 중요한 수행의 대상이다.
의도는 몸과 마음의 작용 모두에 관여하며, 마음의 오염과 윤회, 해탈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 또한 의도와 업은 상호적 관계에서 작동하기도, 의도가 업을 추동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역동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인식 과정을 살펴보면, 접촉과 느낌은 인간의 인식 과정에서 갈애와 집착 혹은 희론 등의 부정적인 결말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불교 수행은 이 과정에 개입하여 부정적인 흐름으로의 전개를 조정하도록 돕는다. 특히 의도는 느낌과 지각의 이전과 이후, 혹은 갈애의 발생 전에도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수행자는 갈애 등을 다스리기 위해 의도를 수행의 대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마음을 관찰하는 것보다 몸을 관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는 시각으로 인해, 몸의 감각과 동작을 관찰하는 수행이 권장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의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통해, 몸과 마음의 영역을 함께 알아차리는 수행으로 나아갈 수 있다. 수행자는 행위 이전에 나타나는 의도를 관찰하고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는 곧 수행의 진보와 직결된다. 초기불교에서 의도는 갈애로의 확장은 막고, 해탈로 향하는 길을 닦기 위한 중요한 수행의 대상이다.
- AN
Aṅguttaranikāya , ed. by R. MORRIS, 6 vols. London: The Pali Text Society, 1961. - MN
Majjhimanikāya , ed. by V. TRENCKNER, 4 vols. London: The Pali Text Society, 1979. - SN
Saṃyuttanikāya , ed. by M. L. FEER, 6 vols. London: The Pali Text Society, 1991. - DN
Dīghanikaya , ed. by T.W. RHYS DAVIDS and Carpenter ESTLIN, 3 vols. London: The Pali Text Society, 1975. - Vism
Visuddhimagga , ed. by C.A.F. RHYS DAVIDS and D. LITT. London: The Pali Text Society, 1975. - AN, Ok-sun 안옥선. 2009. 「불교덕윤리에서 성품의 중심으로서의 ‘행’(
saṅkhāra )」 (“Saṅkhāra as the Central Concept of Character in Buddhist Virtue Ethics”), 『불교학연구』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vol. 23, 221-260.10.21482/jbs.23..200908.221 - ________. 2009. 「행(
saṅkhāra )의 그침’에 대한 한 이해」(“An Understanding ofSaṅkhāra Cessation”), 『대동철학』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 vol. 49, 115-138. - CHEON, Jae Seong 전재성, tr. 2009. 『맛지마니까야』 (
Majjhimanikaya ), Seoul: Korea Pāli Text Society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________. 2011. 『디가니까야』 (
Dīghanikaya ), Seoul: Korea Pāli Text Society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________. 2018. 『앙굿따라니까야』 (
Aṅguttaranikāya ), Seoul: Korea Pāli Text Society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________. 2014. 『쌍윳따니까야』 (
Saṃyuttanikāya ), Seoul: Korea Pāli Text Society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________. 2018. 『청정도론-비쑷디막가』 (
Visuddhimagga ), Seoul: Korea Pāli Text Society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DEVDAS, Nalini. 2004.
A Study of Cetanā and the Dynamics of Volition in Theravāda Buddhism , Montreal: Library and Archives Canada. - GHOSE, Lynken. 2007. “Karma and the Possibility of Purification: An Ethic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Doctrine of Karma in Buddhism”,
Journal of Religious Ethics , vol. 35, no. 2, 259-290. 10.1111/j.1467-9795.2007.00306.x - GUENTHER, Herbert. 1976.
Philosophy and Psychology in the Abhidharma , Delhi: Motilal Banarsidass. - HAN, Ja kyoung 한자경. 2008. 「지와 관, 선정과 사념처에 관한 고찰」 (“A Study on Buddhistic Practice: Samatha and Vipassanā,
Sati-paṭṭhāna andJhāna-samādhi ”), 『불교학연구』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vol. 19, 81-117.10.21482/jbs.19..200804.81 - HEIM, Maria. 2018. “The Aesthetics of Exces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 vol. 71, no. 3, 531-554.10.1093/jaarel/lfg076 - JEONG, Jun Young 정준영. 2003. 「대념처경(
Mahāsatipaṭṭhāna-sutta )에서 보이는 수념처(受念處)의 실천과 이해」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mplation of feelings (Vedanānupassana )”), 『불교학연구』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vol. 7, 183-242. - ________. 2019. 『있는 그대로』(*
As It is ), Seoul: Editor 에디터. - ________. 2020. 「현대 위빠사나 수행법 비교-순룬, 고엔카, 마하시, 쉐우민을 중심으로」(“A Comparative Study on the Modern
Vipassanā Meditations: Focusing on SunLun, Goenka, Mahasi, ShewoominVipassanā Masters”),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 vol. 26, no. 2, 63-82. 10.34281/KABP.26.2.4 - LEE, Mojung 이모정. 2018. 「‘동작에 대한 분명한 앎’과 삼빠잔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lear Comprehension of Movement (
Kāyānupassanā sampajāna )’ andSampajañña ”), 『불교학연구』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vol. 56, 305-332.10.21482/jbs.56..201809.305 - LEE, Pil won 이필원. 2021. 「의지, 레고 조각을 이어 세상을 만들다」 (*“
Cetanā , Building the World with Lego Bricks”), in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Cetanā, Is It Volitional or Not? ), Seoul: Unjusa 운주사, 45-102. - LIM, Seung Taek 임승택. 2007. 「업(
karma )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 제식주의에서부터 초기불교까지」 (“On the Development of Karma Conception: From the Ritualism to Early Buddhism”), 『철학연구』 (Philosophia ), vol. 103, 150-180. - Mahāsi Sayadaw. 2016.
Manual of Insight , Somerville: Wisdom Publications. - MALASEKERA, G. P. 1979-1989.
Encyclopedia of Buddhism, vol. 4 , Homagama: Government of Sri Lanka. - McDERMOTT, James Paul. 1984.
Developments in the Early Buddhist Concept of kamma/karma , New Delhi: Munshiram Monoharlal Publishers. - NAM, Il-hi 남일희. 2019. 「마음작용에서 촉발(
phuṭṭha )의 역할에 관한 연구- 상좌부 불교수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phuṭṭha in thecetasikā ”), Ph.D. Dessertation,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Nyanaponika Thera. 1996.
The Heart of Buddhist Meditation: Satipaṭṭhāna: A Handbook of Mental Training Bbased on the Buddha’s Way of Mindfulness , Sri Lank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 Nyanatiloka Thera. 1972.
Buddhist Dictionary , Sri Lanka: Buddhist Pulication Society. - PARK, Jae Yong 박재용. 2022. 「니까야에 나타난 업설(業說) 고찰: 업설의 용례와 유형.」(“A Study on Karma Theory in
Nikāya : Focusing on the Usage and Types of Karma Theory”), 『종교교육학연구』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Religious Education ), vol. 71, 193-209. 10.58601/kjre.2022.12.30.11 - RHYS DAVIDS, T. W. and William STEDE. 1993.
Pali-English Dictionary .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 - SIRIMANNE, Chand. 2018. “The Unique Perspective On Intention (
Cetanā ), Ethics, Agency, and the Self in Buddhism,” inApplied Ethics in the Fractured State , ed by Bligh Grant, Joseph Drew, and Helen E. Christensen, Bingley: Emerald Publishing, 31-44.10.1108/S1529-209620180000020003 - U Ba Khin Sayagyi. 1995.
The Essentials of Buddha-Dhamma in Meditative Practice , Berkeley: The Dharma Net International.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79
- No :0
- Pages :1∼22
- DOI :https://doi.org/10.21482/jbs.78..2024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