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12. pp. 271 ~ 309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focus on looking into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five anu-smṛti, which are the main thesis of Pureland Buddhism by Vasubandhu. It is presumed that the research can play a pivotal role to draw out a new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f Pureland Buddhism at the same time, which has been criticized as heresy by Nagarjuna.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Vasubandhu has considered that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come from Śunya.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it, there has been salvation for all living beings, and resulting in nirvāṇa. Next, concerning to the subject of the rebirth, the question is that a person reborn and worldly one is the same or not. Vasubandhu has also found out the answer in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and inconsistency, which is combined with theories of five skandha and pratītya samutpāda. In other words, as the correlation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 single person, who has attained the Buddha nature in nirvanic liberation be incarnated in the pure land as a person reborn. If so, how can living beings attain the level of nirvana in the pure land? The critical key to attain nirvana lies mainly in the eka-citta and five anu-smṛti. Vasubandhu has suggested other forms of ascetic practices such as five anu-smṛti, the principles of bodhisattva, instead of six paramīta. He has also established the bodhisattva practices, consisting of bowing and chanting along with śamatha and vipaśyāna. That is gradual practices showing the essence of Yogācāra school, which is really different from the common buddhism of pure land centered on salvation from outside. The proof is the fact that five anu-smṛti are the ascetic practices of karma. That the simple chanting of Amitabha Buddha and the insight of the pure land can lead to the attainment of nirvāṇa is the main idea of Pure land Buddhism by Vasubandhu. Under this understanding, the present writer has classified four types of ascetic practices into pre-practices and main ones. thus, five anu-smṛti are viewed as easy and hard practices to follow respectively. Finally, Vasubandhu has completed his theory with dedication of merits, returning all the merits attaining from supplication to all living beings. Vasubandhu has mainly applied his theory to ten bhumi. He is solely remarkable in a way that the attainment of anuttaraṃ sammāsambodhi can be achieved through practicing five anusmṛti thoroughly. This is mainly based on his intention to set up the Yogācāra doctrin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ive anu-smṛti leading to the pure land along with Yogācāra are firmly established on the phase of ten bhumi.
본 논문은 유식논사인 세친(Vasubandhu)이 보는 정토불교의 주요 주제인 정토 왕생과 그 왕생의 도 五念門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목적 이 있다. 이 작업은 용수에 의해 易行道로 지목되어온 정토불교에 대 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작업 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정토 왕생의 원리에 살펴보면, 세친은 정토에 태어나는 생을 無生의 生 즉 생즉무생의 이치로부터 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원리 의 근저에는 절대공이 있다. 이 절대공에 입각한 원리로부터 중생 구 제의 활동이 있게 되며, 왕생자는 열반의 妙果를 얻게 된다. 다음으로 왕생의 주체 문제와 관련해 예토인과 왕생자가 같은가 다 른가? 세친은 그 답을 오온이 가화합한 인연생으로서의 不一不異의 원 리에서 찾았다. 곧 멸이 곧 생(滅卽生)이며, 생이 곧 멸(生卽滅)의 구 조 즉 비연속의 연속관계로서 예토의 가명인이 정토의 가명인으로 왕 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정토에 왕생할 수 있을까? 그 왕생 行道의 구성의 핵심은 一心(eka Citta)과 오념문이다. 세친은 오념문이라는 육바라밀 과는 다른 형태의 대승보살도를 제시하였다. 일심에 바탕한 오념문이 다. 세친은 이행도 형태의 정토불교 수행법인 예배, 찬탄 그리고 염불 (억념)에 유식불교의 止觀(śamatha, vipaśyāna)을 덧붙여 보살의 행도 로서 정립시켰다. 이는 점차적 수행 즉 점수적 행으로서 타력중심의 상 식적인 정토불교와는 다른 唯心的 정토불교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 증거가 오념문은 업을 닦는 수행도라는 데에 있다. 논자는 이 자 리적 수행 네 가지를 예비 수행과 본 수행으로 나누어 봤고, 그 결과 오 념문은 이행도와 난행도의 결합으로 이해해 봤다. 마지막으로 세친은 회향문으로 마무리 하고 있다. 회향문은 이름 그대로 智業 方便인데 네 가지 수행으로 얻은 지혜와 복덕을 타인 일체중생에게 되돌려 보내 는 것이다. 세친은 위와 같이 반야와 방편의 보살도 유가행의 계위를 십지의 단 계에 대입해서 설하고 있다. 세친이 오념문을 통한 정토 왕생(제 8지) 을 무상정등각의 깨달음의 성취로 보고 있는 점은 매우 독특하다. 이 것은 정토불교라는 有相의 교리를 세우려했던 세친의 의도에 따른 것 이다. 따라서 정토 왕생과 오념문은 유식불교와 더불어 보살 십지의 단계에 따라서 상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3
  • No :0
  • Pages :271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