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30 June 2024. pp. 49∼78
Abstract
The doctrinal taxonomy of Huayan exhibit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s of “the one vehicle teaching” and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The one vehicle teaching represents a comprehensive view that evolved from critiquing “the lesser vehicle teaching.” It subsequently came to incorporate “the lesser vehicle teaching” in a manner that aligns with the objectives of “the great vehicle.”The “dharma realm” is understood either as “a world perceived from a single perspective”or as “a world governed by a singular law.”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describes a state where these diverse perspectives converge and harmonize.
In doctrinal taxonomy, various Buddhist teachings are consolidated into the one vehicle teaching, which is described as a process of encompassment. This represents a higher-level perspective that integrates more specific aspects into a comprehensive explanatory framework, offering a broad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world as an object of recognition.
Here, an infinitely open system of truth is proposed, rather than a single, uniform truth that explains the world. Additionally, in the one vehicle teaching, not only does this upward encompassment exist, but there is also a recursive structure where lower-level perspectives encompass higher-level perspectives. In this way, the concept of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does not assert a uniform truth as a whole. Instead, it suggests that truths view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complement each other, providing a truth that is suitable for the given situation. The structure of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also underpins the creation of each level of the doctrinal taxonomy. This approach to doctrinal taxonomy subsequently gives rise to the theory of the four realms of reality, thereby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hilosophical system.
화엄 교판은 화엄의 핵심 사상인 일승교·법계원융의 구조와 표리관계를 이룬다. 일승교는 소승을 비판하면서 나타난 대승의 관점이 그 ‘큰 수레’라는 취지에 적합하게 소승을 포용하게 된 넓은 시각을 말한다. 법계는 ‘하나의 관점에서 인식되는 세계’ 혹은 ‘하나의 법칙이 통하는 세계’를 말하고, 법계원융은 이런 다양한 관점들이 서로 중첩되어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교판의 최상위에 있는 원교는 이런 다양한 관점을 하나로 융합하는 방편적인 메타시각을 말한다. 교판은 동아시아 불교가 이런 입장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다양한 관점에 대한 통합의 체계이다.
다양한 불교의 법문이 하나의 일승교로 모아지는 체계는 포월(包越)의 과정으로 설명된다. 그것은 상위 관점이 하위 관점을 부정하면서 최종적인 ‘절대적인 전체의 진리’를 제시하는 위계의 체계가 아니라, 상위 관점이 하위를 더 넓은 설명 체계 안에 융합시키면서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세계에 대한 폭넓은 설명 방법을 제시하는 체계이다. 여기에서는 세계를 설명하는 단 하나의 획일적 진리가 아닌 무한히 열린 개방적인 진리 체계가 주장된다. 또한 일승교에서는 이런 상향의 포월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위 관점이 다시 상위 관점을 역으로 포월하는 재귀순환구조(Recursive structure)도 설정된다.
그러므로 일승교에서는 가장 하위 단계의 소승이 최상승의 일승과 동일한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법계원융은 ‘획일적인 전체의 진리’를 주장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본 진리들이 서로를 도와서 ‘상황에 맞는 방편적 진리’를 제공한다. 교판의 각 분위도 이러한 법계원융의 구조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런 교판은 사종법계설로 이어져서 완전한 철학적 체계를 이룬다.
References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1. 『妙法蓮華經』 T262.
  2. 『大方廣佛華嚴經』 T278.
  3. 『大般涅槃經』 T374.
  4. 『攝大乘論』 T1595.
  5. 『攝大乘論釋』 T1595.
  6.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T1732.
  7. 『華嚴經探玄記』 T1733.
  8.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T1736.
  9. 『大華嚴經略策』 T1737.
  10. 『大乘起信論義記』 T1846.
  11. 『華嚴一乘教義分齊章』 T1866.
  12. 『華嚴一乘十玄門』 T1868.
  13. 『華嚴經内章門等雜孔目章』 T1870.
  14. 『華嚴法界玄鏡』 T1883.
  15. 『華嚴一乘法界圖』 T1887A.
  16. 『華嚴一乘成佛妙義』 T1890.
  17. 『續高僧傳』 T2060.
  18. 『華嚴經傳記』 T2070.
  19. 『華嚴五教章名目』 T2338.
  20. 『竺僊和尚語録』 T2556.
  21. 『指月錄』 X1578.
  22. 「敎理集成文獻 (S. 613)」 Aoki Takashi, et al. ed. 2013 참조.
  23. 『禪家龜鑑』 H138.
  24. 『莊子』
  25.  

  26. T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正新修大藏經, eds. by TAKAKUSU Junjirō 高楠順次郞 and WATANABE Kaikyoku 渡邊海旭, 100 vols. Tokyo: Daizōkyōkai, 1924-1935.
  27. X     Manji shinsan Dainihon zokuzōkyō 卍新纂大日本續藏經, eds. by KAWAMURA Koshō 河村孝照, et al., 90 vols. Tokyo: Kokushokankōkai, 1967-1989.
  28. H     Han’guk Pulgyo chŏnsŏ 韓國佛敎全書, ed. by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Complete Works of Korean Buddhism, 14 vols. Seoul: Dongguk Univ. Press, 1979-2004.
  29.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30. ACZEL, Amir 애머 액젤, SHIN Hyung Yong 신현용 and SEUNG Yeong Jo 승영조, trs. 2002. 『무한의 신비: 수학, 철학, 종교의 만남』 (Mystery of Aleph: Mathematics, the Kabbalah, and the Search for Infinity), Seoul: Seung San 승산.
  31. Aoki, Takashi 靑木 隆, et al., eds. 2013. 『藏外地論宗文獻集成續集』 (*The Sequal to the Collected Works of the Dilun Schcool from the Dunhuang Fragments), Seoul: CIR.
  32. ARAKI, Kengo 아라키 겐고 (荒木見悟), SIM Kyung Ho 심경호, tr. 2000. 『불교와 유교-성리학, 유교의 옷을 입은 불교』 (『仏教と儒教』 [*Buddhism and Confucianism]), Seoul: Yeomoonseowon 예문서원.
  33. ATSUSHI, Ibuki 이부키 아츠시 (伊吹敦), CHOE Yeon Shik 최연식, tr. 2005. 『새롭게 다시 쓰는 중국 선의 역사』 (『禪の歷史』 [*History of Zen]), Goyang: Daesupbaram 대숲바람.
  34. CHANG, Garma C. C. 까르마 츠앙, YI Chan Su 이찬수, tr. 1990. 『화엄철학』 (The Buddhist Teaching of Totality: The Philosophy of Hwa Yen Buddhism), Seoul: Gyeongseowon 경서원.
  35. CHO, Bae gyun 조배균. 2019. 「화엄사상의 포월 구도–사사무애설을 중심으로」 (“The Subsume-transcendency Composition of Huayan Thought: Focusing on Non-obstruction between Phenomena”), 『동아시아불교문화』 (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vol. 37, 191-213.10.21718/EABC.2019.37.08
  36. EINSTEIN, Albert and L. INFLED. 1938. The Evolution of Phisics: The Growth of Ideas from Early Concepts to Relativity and Quant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HOFSTADTER, Douglas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PARK Yeo Sung 박여성, tr. 1999. 『괴델,에셔,바흐–영원한 황금노끈』 (Gödel, Escher, Bach: An Eternal Golden Braid), Seoul: Kachi 까치.
  38. ISHII, Kosei 이시이 코세이 (石井公成), KIM Cheon hak 김천학, tr. 2020. 『화엄사상의 연구』 (『華嚴思想の硏究』 [*Study of Huayan Thought]), Seoul: Minjoksa 민족사.
  39. KAJIYAMA Yuichi 가지야마 유이치 (梶山雄一), YUN Jong gab 윤종갑, tr. 1995. 「중관사상의 역사와 문헌」 (*“History and Literature of Madhyamaka Thought”), in 『중관사상』 (『中觀思想』 [*Madhyamaka Thought]), ed. by KAJIYAMA Yuichi, et al., Seoul: Gyeongseowon 경서원, 52.
  40. KIM, Do gong 김도공. 2006. 「법장의 교판에 대한 문제제기」 (“A Suggetion of Issues on Bubjang’s Thought Schema”), 『범한철학』 (Pan-Korean Philosophy), vol. 43, no. 4, 131-154.
  41. KIM, Seong cheol 김성철. 2023. 「원효의 ‘일심불성’론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Some Problems Concerning on Wonhyo’s Theory of Buddha Nature as One-Mind”), 『불교학보』 (Journal for the Buddist Studies), vol. 102, 255-280.10.18587/bh.2023.7.102.253
  42. KIMURA, Kiyotaka 기무라 키요타가 (木村淸孝), JUNG Byung Sam 정병삼, tr. 2005. 『중국화엄사상사』 (『中國華嚴思想史』 [*A History of Chinese Huayan Thought]), Seoul: Minjoksa 민족사.
  43. KOH, Seung hak 고승학. 2017. 「화엄사상에서 ‘부분’과 ‘전체’의 의미」 (“The Meaning of ‘Part’ and ‘Whole’ in Huayan Thought”), 『철학논총』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vol. 88, no. 2, 393-412.10.20433/jnkpa.2017.04.88.393
  44. MAOR, Eli 엘리 마오, JEON Dae Ho 전대호, tr. 1997. 『무한, 그리고 그 너머: 무한의 문화사』 (Infinity and Beyond: A Cultural History of Infinite), Seoul: Science Books 사이언스북스.
  45. MATSUMOTO, Shiro 1994. 松本史朗. 『禪思想の批判的硏究』 (*A Critical Study of Zen Thought), Tokyo: Daizo Shuppan 大藏出版.
  46. OTAKE, Susumu 大竹晉. 2000. 「摂論学者智儼」 (“Chih-yen as a She-lun Scholar”), 『哲学·思想論叢』 (Miscellanea philosophica), vol. 18, 49.
  47. ________. 2007. 『唯識說を中心とした初期華嚴敎學の硏究; 智儼·義湘から法藏へ』 (A Study of Early Huayan Buddh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Consciousness-only Doctrine), Tokyo: Daizo Shuppan 大藏出版.
  48. PARK, Su huyn 박수현. 2014. 「규봉종밀의 홍주종 비판 연구 - 화엄 사법계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Gu Feng Zong Mi’s Criticism of Hung Chou school”), MA Thesis, Dongguk University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9. ________. 2022. 「지엄의 법계관 연구 - 교판해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Zhiyan’s Concept of Dharma-realm - With the Focus on the Interpretation of doctrinal”),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0. REID, Constance 콘스탄스 리드, LEE Il hae 이일해, tr. 1989. 『힐버트: 수학과 삶』 (Hilbert), Seoul: Minumsa 민음사.
  51. TAKEMURA, Makio 다케무라 마키오 (竹村牧男), JUNG Seung suk 정승석, tr. 1989. 『유식의 구조』 (『唯識の構造』 [*Structure of Vijñapti-mātratā]), Seoul: Minjoksa 민족사.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79
  • No :0
  • Pages :4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