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June 2018. pp. 275~298
Abstract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 the mettā(loving-kindness) meditation of Early٠Theravada Buddhism was considered as a stage of development. Today it is accepted as a well-structured process in terms of the modern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Starting from self-love meditation by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it presents the order of objects that has psycho-social implications of mental growth and reveals the positive function of self-love itself. The practice of self-love and its meaning provides the foundation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MSC) which is widely accepted today. Self-love is a healthy willpower to live one’s life well, and it is different from egoism or autism because meditation begins as a way of strengthening life. Until recently, not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on how to explain Buddhist practice about self-love in terms of psychological explan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 by comparing Buddhist scriptur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which suggests self-love meditation, psychotherapy theory, and Kohut’s self psychology among psycho-dynamic theories. Both ‘loving-kindness’ and ‘self-love’ are not only a volitional aspect but also a starting point for the spiritual development, encouraging us to move on from narcissistic emotion. Also, loving-kindness and self-love ar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and strengthen personality. Therefore, it is undeniable that healthy self-love works as an essential instrument in our mental growth.
인간에게 ‘자기 자신’과 ‘사랑(慈愛)’이라는 것은 민감하고 끈질긴 주제이다. 또한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 이기적인 자기도취라고 받아들여져서 자기사랑은 종교적 심성과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기사랑은 붓다의 가르침과 어긋나는 것이 아니며 타인사랑과 반대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 확립되지 못하고 흔들릴 때에 타인에 대한 진정한 사랑도 방해받게 된다. 자기애(自己愛)는 이기주의나 자폐(自閉)성이 아닌 삶에 대한 건강한 자유의지이며 성장의 바탕이다. 붓다의 가르침 안에서 자기 자신은 수행의 주체가 되며 과보의 원인으로 설명된다. 자기 자신이란 절체절명의 의지처가 되며, 타인을 이해하는 본보기가 되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건강한 사랑과 자기에게만 빠져 있는 것은 다른 것이다. 자애수행자는 자신을 자애(mettā)로 확립한 후에, 자기에게만 빠져 있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향해 나아간다. 자기애를 시작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위숫디막가』의 자애수행 순서인, 자기 자신 → 좋아하고 공경하는 스승 → 좋아하는 친구 → 무관한 사람 → 원한 맺힌 사람의 순서는,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 개념인, 자기의 확립→ 이상화 자기대상(idealizedselfobject) → 쌍둥이 자기대상(twinship selfobject) → 성숙한 자기대상의 의미로 설명될 수 있다. 거울 자기대상(mirroring selfobject) 기능의 의미를 지니는 ‘좋아하는’ 대상을 거쳐 무관한 대상과 원한 맺힌 대상에게까지 자애를 보낼 수 있게 되는 과정은 자기심리학의 함의를 지니고, 자기애의 순기능과 인간의 성장을 보여준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5
  • No :0
  • Pages :275~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