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Since modern times,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have explor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in various ways. In 1930, Choe Namseon defined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as Tong Bulgyo (Unified Buddhism) and used it as a basis for asserting the superiority of Korean Buddhism over Chinese or Japanese Buddhism. Choe Namseon (1890-1957) aimed to forge a distinct Joseon minjok (Korean nation) identity early on, and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is national identity, he emphasized the excellence of ancient Korean Buddhist culture. After liberation, during the search for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essence of Korean Buddhism, the government and academia once again turned to Choe Namseon’s doctrine of Tong Bulgyo , attempting to establish it as the defining identity of Korean Buddhism. Subsequently, some intellectuals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continued to circulate and modify the concept of Tong Buddhism. In this process, several notion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idea of Tong Bulgyo, such as Hoetong Bulgyo (Syncretic Buddhism) and Chonghwa Bulgyo (Total Unity Buddhism), were proposed. Such discussions aimed at exploring “national identity” or “national excellence” can b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realm of ‘nationalist Buddhist discourse.’
However, apart from Choe Namseon’s perspective, another theory calledChonghwa Bulgyo, with different origins, also contributes to this discussion. This theory was introduced by Jo Meonggi (1905-1988). In 1940, during the period of oppressive Japanese fascist rule in colonial Korea, the Buddhist intellectual Jo Meonggi presented the concept of Bulgyo jeonchejuui (Buddhist totalitarianism) and characterized Korean Buddhism as a form of totalitarianism. After liberation, in the 1960s, Jo Myeongki renamed Bulgyo jeonchejuui as Chonghwa Bulgyo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scourse of national Buddhism using this theory. In essence, Jo Myeonggi's theory of Chonghwa Bulgyo retained the content of Bulgyo jeonchejuui . His views on Buddhism and philosophy, which were develop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persisted strongly even after liberation. This paper reveals that in addition to Choe Namseon’s “Nationalist Buddhism,” there was another colonial Buddhism theory called Bulgyo jeonchejuui within the discourse of Tong Bulgyo after liberation. Consequently, it highlights how colonial modernity continued even after liberation.
However, apart from Choe Namseon’s perspective, another theory called
근대 이후 한국 불교계 지식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탐구했다. 1930년 최남선은 「조선불교: 그 동방문화사 상에서 그 지위」에서 한국불교의 성격을 ‘통불교’로 규정하고, 그것을 한국불교의 우수성으로 간주했다. 해방 이후 학계에서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찾는 과정에서 일부 학자는 최남선의 통불교론을 소환한다. 이후 불교학계에서 많은 학자가 통불교론을 지속적으로 유통시키거나 변주했다. 그 결과 ‘통불교’ 뿐만 아니라 회통불교・총화불교 등 몇몇 개념과 이론이 함께 유통됐다. 한국 불교 전통 속에서 ‘민족의 주체성’을 탐색하는 이런 논의는 그 의도와 계기를 불문하고 분명 ‘민족주의 불교 담론’이라고 할 법하다.
1970년대와 80년대 논의된 통불교론이 ‘1930년 최남선’이라는 하나의 연원에서 유래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전혀 다른 또 하나의 연원이 존재했는데, 바로 조명기(1905-1988)의 불교전체주의이다. 1940년 일본 파시즘이 식민지 한국에서도 강력하게 작동하던 시기, 불교계 지식인 조명기는 불교전체주의 개념을 제시했고, 또한 그것을 한국불교의 성격으로 규정했다. 해방 이후 1960년대 조명기는 불교전체주의를 ‘총화불교’로 개칭하였고, 이 총화불교론으로 이후 민족불교 담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조명기의 총화불교론은 그가 해방 이전 확립한 불교전체주의의 연장이다. 식민지 시기 형성된 그의 불교관과 세계관은 해방 이후에도 대단히 강고하게 지속됐다. 대표적인 불교학자로서 또한 학교 행정가로서 영향력을 고려하면 통불교론 담론 지형에서 그의 역할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해방 후 통불교론에는 최남선의 ‘민족주의 경향의 불교론’ 외에 ‘불교전체주의’라는 다분히 ‘식민주의 경향의 불교론’이 한 연원으로 존재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식민지 시기 형성되고 작동한 ‘식민지 근대성’(colonial modernity)이 해방 이후까지 여전히 지속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1970년대와 80년대 논의된 통불교론이 ‘1930년 최남선’이라는 하나의 연원에서 유래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전혀 다른 또 하나의 연원이 존재했는데, 바로 조명기(1905-1988)의 불교전체주의이다. 1940년 일본 파시즘이 식민지 한국에서도 강력하게 작동하던 시기, 불교계 지식인 조명기는 불교전체주의 개념을 제시했고, 또한 그것을 한국불교의 성격으로 규정했다. 해방 이후 1960년대 조명기는 불교전체주의를 ‘총화불교’로 개칭하였고, 이 총화불교론으로 이후 민족불교 담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조명기의 총화불교론은 그가 해방 이전 확립한 불교전체주의의 연장이다. 식민지 시기 형성된 그의 불교관과 세계관은 해방 이후에도 대단히 강고하게 지속됐다. 대표적인 불교학자로서 또한 학교 행정가로서 영향력을 고려하면 통불교론 담론 지형에서 그의 역할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해방 후 통불교론에는 최남선의 ‘민족주의 경향의 불교론’ 외에 ‘불교전체주의’라는 다분히 ‘식민주의 경향의 불교론’이 한 연원으로 존재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식민지 시기 형성되고 작동한 ‘식민지 근대성’(colonial modernity)이 해방 이후까지 여전히 지속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 BEASLEY, William Gerard. JANG, Inseong tr. (장인성 역). 2004. 『일본근현대사』 [
The Rise of Modern Japan ], Seoul: 을유문화사 (Eulyu Munhwasa). - CHO, Eunsu. 2004. “The Uses and Abuses of Wonhyo and the ‘Tongbulgyo’ Narrative”,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vol. 9, no.1, 33-59. 10.1353/jks.2004.0005 - CHOE, Namseon (최남선). 1930. 「조선불교: 동방문화사 상의 그 지위」 [“Korean Buddhism and Her Position In The Cultural History of The Orient”], 『불교』 (
Bulgyo ), vol. 74, 1-51. - CHOE, Byeongheon (최병헌). 2013. 「한국불교사의 체계적 인식과 이해 방법론」, [“Systematic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Methodology of Korean Buddhist History”], 『한국불교사연구입문』 상 [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Korean Buddhist History , Part 1], Seoul: 지식산업사 (Jisik-sanup Publications Co., Ltd). - EDA, Toshio (江田俊雄). 1940. 「일본불교에 나타난 일본적 성격」 [“Japanes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Buddhism”], 『불교』 (
Bulgyo ), vol. 28. - HAKAMAYA, Noriaki (袴谷憲昭). 1990. 「‘和’の反仏教性と仏教の反戦性」 [“The Anti-Buddhist Nature of
Wa (integration) and the Antiwar Nature of Buddhism”], 『批判佛敎』 (Critical Buddhism ), Tokyo: 大藏出版 (Daizo Shuppan). - HAROOTUNIAN, Harry. YUN Yeongsil and Jeong-eun SEO tr. (윤영실, 서정은 공역). 2006. 『역사의 요동』 [History’s Disquiet]. 24-38. Seoul: 휴머니스트 (Humanist).
- JO, Myeonggi (조명기). 1937. 「元曉宗師의 『十門和諍論』硏究」 [“A Study on Master Wonhyo’s
Simmun hwajaeng ron ”], 『금강저』 (Journal of Vajra ), vol. 22, 18-36. - __________. 1940. 「조선불교와 전체주의」 [“Korean Buddhism and Totalitarianism”], 『불교』 (
Bulgyo ), vol. 20, 25-33. - __________. 1955. 「東洋思想史上의 佛敎의 地位」 [“The Status of Buddhism in the History of Oriental Thought”], 『大學新聞』 (
The Seoul University Newspaper ) 7. Reprinted in 『한국불교사학논집』 [Collected Essays on History of Korean Buddhism ], Seoul: 민족사 (Minjoksa). 1989. - __________. 1962a. 『新羅佛敎의 理念과 歷史』 [
The Thought and History of Silla Buddhism ], Seoul: 경서원 (Gyeongseowon). - __________. 1962b. 「종교의 본질에서 본 불교」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ssence of Religion”], 『불교사상』 (
The Philosophy of Buddhism ), vol. 10. Reprinted in 『한국불교사학논집』 [Collected Essays on History of Korean Buddhism ], Seoul: 민족사 (Minjoksa), 1989. - __________. 1964. 『高麗大覺國師와 天台思想』 [
National Master Daegak and Cheontae Thought in Goryeo Dynasty ], Seoul: 경서원 (Gyeongseowon). - __________. 1970. 「韓國佛敎思想史」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in Korea”], 『한국문화사대계』 [
An Outline of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 6. Reprinted in 『한국불교사학논집』 [Collected Essays on History of Korean Buddhism ], Seoul: 민족사 (Minjoksa). 1989. - __________. 1972. 「한국불교와 화의 사상」 [“Korean Buddhism and the Thought of Unification and Harmony”], 『자유』 (
Freedom ), vol. 147. Reprinted in 『한국불교사학논집』 [Collected Essays on History of Korean Buddhism ], Seoul: 민족사 (Minjoksa). 1989. - __________. 1975. 「총화의 불교적 이해」 [“Buddhist Understanding of Total Unity”], 『동대신문』 (
The Dongguk University Newspaper ), Reprinted in 『한국불교사학논집』 [Collected Essays on History of Korean Buddhism ], Seoul: 민족사 (Minjoksa). 1989. - JORGENSON, John. 1997. 「한국불교의 역사 쓰기-미래를 위한 과거의 교훈」 [“Korean Buddhist Historiography: Lesson from the Past for the Future”], 『불교연구』 (
Buddhist Studiese ), vol. 14, 187-217. - KIM, Sangyoung (김상영). 2022. 「조계종의 통불교 인식과 그 문제점-‘통불교’ 담론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Perception of the Jogye Order towards the Syncretic Buddhism (
t’ongbulgyo 通佛敎) and Its Related Issues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f the Syncretic”], 『대각사상』 (Maha Bodhi Thought ), vol. 33, 8-41. 10.35736/JCS.33.1.6 - KIM, Yeongtae (김영태). 1968. 『한국불교사개설』 [
Introduction to History of Korean Buddhism ], Seoul: 경서원 (Gyeongseowon). - KIM, Youngjin (김영진). 2010.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한국학 연구』 (
Journal of Korean studies ), vol. 22, 49-74. - MARUYAMA, Masao. 1964. 『現代政治の思想と行動』[
Thought and Behavior in Modern Japanese Politics ], Tōkyō: 未來社 (Miraisha). - NISHIDA, Kitaro (니시다 기타로). SEO, Seokyeon tr. (서석연 역). 2001. 『선의 연구』 [
An Inquiry into the Good ], Seoul: 범우사 (Bumwoosa). - ONCHENHAGIN (온천학인). 1935. 「全體主義의 本質과 宗敎」 [“The Essence of Totalitarianism and Religion”」, 『사해공론』 (
Public Opinion of Four Reservoirs ), vol. 1, no. 4, 36-40. - OZEKI, Masakazu (大關將一). 1941. 「全體主義」 [“Totalitarianism”], 『文敎の朝鮮』 (
Korea of Education ), vol. 185, 29-39. - RÄBER, Hans. KAZAMI, Kenjiro tr. (風見謙次郞譯). 1941. 『シュパンの全體主義哲學』 [
Othmar Spann’s philosophy of universalism ], Tokyo : 理想社 (Risosha). - SHIM, Jaeryong (심재룡). 1990. 「한국불교 연구의 한 반성-한국불교는 회통적인가?」 [“A reflection on the study of Korean Buddhism-Is Korean Buddhism Syncretic?”], in 『동양의 지혜와 선』 [
Eastern Wisdom and Zen ], Seoul: 세계사 (Segyesa). - __________. 2000. 「한국불교의 오늘과 내일」 [“Today and Tomorrow of the Korean Buddhism”], 『철학사상』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 vol. 11, 1-20. - SHIN Ilcheol (신일철). 1966. 「발간사」 [“Publishing Statement”], 『한국사상사』 [
History of Korean Thought ], Seoul: 일신사 (Ilsinsa). - SON, Jihye (손지혜). 2012. 「韓国近代における元暁認識と日本の通佛教論」 [“A Relationships Between Korea’s Wonhyo Rediscovery and Japan’s ‘Tsubutkyoron’ in the Modern”], 『東アジア文化交渉研究』 (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Interaction Studies ), vol. 5, 225-242. - SONG, Hyun Ju (송현주). 2015. 「근대 한국불교 통불교론의 두 유형-초종파주의 통불교론과 선종파주의 통불교론」 [“Two Types of the Modern Discourses of the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of Korea: Trans-sectarian United Buddhism and Son-sectarian United Buddhism”], 『종교문화연구』 (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al ), vol. 24, 149-184. - SPANN, Othmar, AKIZAWA Shuji tr. 1938. 『全體主義の原理』 [
Kämpfende Wissenschaft ], Tokyo: 白揚社 (Hakuyōsha). - TERADA, Yakichi (寺田彌吉). 1943. 『日本總力戰の哲學』 [
Philosophy of Total War in Japan ], Tokyo: 二見書房 (Futami Shobo). - VICTORIA, Brian Daizen. 2006.
Zen at War ,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 WATANABE, Shinji (渡邊信治). 1939. 「全體主義の思想と敎育」 [“The Thought and Education of Totalitarianism”], 『朝鮮の敎育硏究』 (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vol. 125, 1-5. - YI, Gwangsu (이광수). 1932. 「옛 朝鮮人의 根本道德, 全軆主義와 구실主義 人生觀」 [“Totalitarian and Functionist View of Life as The Fundamental Morals of Old Korea”], 『동광』 (
Donggwang ), vol. 34, 2-4. - YOSHIDA, Kumaji (吉田熊次). 1940. 「全體主義の槪念」 [“The Concept of Totalitarianism”], 『朝鮮及滿洲』 (
Korea and Manchuria ), vol. 386, 30-33. - YUN, Deukyong (윤득용). 1940. 「황도문화와 불교이상」 [“Imperial-Way Buddhism and Buddhist Ideal”], 『불교』 (
Bulgyo ), vol. 26, 32-33.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76
- No :0
- Pages :105∼133
- DOI :https://doi.org/10.21482/jbs.76..202309.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