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September 2015. pp. 101~127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 of the Abhayagiri monastery in ancient Sri Lanka. According to the Mahāvaṃsa, which has been transmitted by the Mahāvihāra fraternity, the Abhayagiri Monastery was built by the king Vaṭṭagāmani Abhaya, and is where a Jain ascetic named Giri dwelt. Since then, for over a thousand years, the dwellers of Abhayagiri Monastery had been a main rival to those of Mahāvihāra. The verses described in the Dīpavaṃsa, however, have quite different information from that of Mahāvaṃsa. While the Mahāvaṃsa is a Mahāvihāra-centred chronicle, the Dīpavaṃsa, the oldest chronicle among the extant Pāli texts, is a collection of unofficial history. Therefore, the descriptions from the latter possibly illuminate the origin of a fascinating monastery, rather than the advent of an evil monastery of the Mahāvihāra fraternity. Chapter 19 of Dīpavaṃsa describes not only the origin of the name for (paññatti, vohāro), but also the stone stupa (silāthūpa) of Abhayagiri. Nevertheless, the origin of Abhayagiri Monastery is still ambiguous since the verses are awkward in Pāli grammar and structure. Hermann Oldenberg, who edited and translated the Dīpavaṃsa in 1879,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atic passages by comparing them to the Mahāvaṃsa. Lance Cousins criticised the Oldenberg interpretation, and suggested alternative understandings for them. This article, in order to reveal the actual evidence of the origin of the Abhayagiri Monastery, scrutinizes the relevant verses of chapter 19 in the Dīpavaṃsa by critically examining the understandings of Oldenberg and Cousins.
마하왕사(Mahāvaṃsa)를 비롯한 빠알리 문헌들은 스리랑카 테라와다 내부분열의 원인을 아바야기리 사원(Abhayagiri-vihāra)의 등장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아바야기리 사원은 왓따가마니 아바야 통치기에 건립되었으며, 왕권의 후원을 받아 인도본토의 급진적인 사상을 수용하면서 당시 기득권이었던 마하위하라 세력을 압도했다고 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빠알리 문헌을 제외하면, 1,000년 이상 독자적인 교단을 형성했다고 알려진 아바야기리 사원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빠알리 문헌을 제작한 것이 마하위하라 세력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아바야기리 사원과 관련된 일반론들은 면밀한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존에 통용되던 역사관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 논자가 선택한 텍스트는 디빠왕사(Dīpavaṃsa)이다. 현존하는 빠알리 문헌 중 최초로 ‘Abhayagiri’라는 고유명사를 언급하고 있는 이 텍스트는 여타의 빠알리 문헌들과 달리 당대의 상황을 비교적 건조한 관점으로 담아내고 있다. 이를 정리해보면, 자이나 수행자 ‘기리’가 살던 곳에 ‘아바야기리’라는 명칭이 붙여졌고, 이후 왓따가마니 아바야가 이 지역 수행자들을 후원했다고 한다. 그러나 디빠왕사는 Abhayagiri라는 지명만을 언급할 뿐, ‘아바야기리 사원(Abhayagiri-vihāra)’이라는 복합어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있음은 물론, 이 사원이 정확히 언제, 누구에 의해 건립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아무런 단서를 남기지 않고 있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왓따가마니 통치기에 아바야기리 사원이 분파의 거점으로서, 그리고 독립된 사원세력으로서 인식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44
  • No :0
  • Pages :1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