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16. pp. 255~283
Abstract
The views of self in Buddhist Studies can be summed up as non-self (無我) in early Buddhism and true self (眞我) in Mahayana Buddhism. According to the notion of non-self, ‘self’ is the compound of five-aggregates (五蘊); matter(色) •feeling(受) •sensation(想) •volition(行) •consciousness(識), so there is no self present as a static and unchangeable substance. In other words, non-self which Buddha preached about is to break the notion that one considers ‘false self (假我),’the compound of five-aggregates, as self, and to be freed from pain. Therefore, distinguished from ‘false self,’ true self [眞我] not identified with five-aggregates (五蘊) can be established, and it can lead to Mahayana Buddhism’s idea about true self. Maha parinirvana Sutra declares that ‘all living things are equipped with the nature of Buddha (一切衆生悉有佛性),’ and the nature of Buddha is often defined as self in Maha parinirvana Sutra. Self does not mean only one thing in Maha parinirvana Sutra. It is realized in various ways as self, absolute self (大我), true self (眞我), non-self (無我) or self of tirthika (外道). This self can be examined separately as affirmed self and negated self. Affirmed self can be explained separately by self of Buddha, described as true self, Buddha, nature of Buddha, or tathagatagarbha and by absolute self [大我] equipped with eight materials which form the grounds for nirvana. Negated self is five-aggregates of sentient beings’ self and ātman of tirthika, that is, the self of living things. Self that Mahayana Buddhism describes in Maha parinirvana Sutra is the nature of Buddha, and this nature of Buddha corresponds to true self [眞我] opposite to false self. Here, true self falls into a different category from non-self that initial Buddhism refers to; therefore, they do not collide, and it is different from understanding of ātman of tirthika.
불교학에서 자아관은 초기불교의 무아사상과 대승불교의 진아사상으로 압축할 수 있다. 무아사상은 ‘나’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인연 화합물이기에 고정적・불변적인 실체로서의 아(我)가 없다는 것이다. 즉 붓다가 설한 무아는 오온의 결합물인 ‘가아(假我)’를 자아로 여기는 것을 깨뜨려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가아’와 구분하여 오온(五蘊)과 동일시되지 않는 참된 자아의 존재인 진아(眞我)가 성립되고, 자연스레 불성과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불성사상은 모든 중생은 부처와 똑같이 부처의 성품을 가지고 있어서 언제든 성불할 수 있지만, 번뇌에 가려지고 더럽혀져 깨닫지 못할 뿐이라고 말한다. 대반열반경은 ‘일체의 중생은 모두 불성을 갖는다[一切衆生悉有佛性]’라고 선언하고 있고, 이러한 붓다가 되는 원인인 불성은 대반열반경 곳곳에서 자아로 정의된다. 대반열반경에서의 아(我)는 하나의 의미만을 나타내지 않는다. 아(我), 대아(大我), 진아(眞我), 무아(無我), 외도의 아로 다양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자아는 긍정되는 자아와 부정되는 자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긍정되는 자아는 진아와 부처, 불성, 여래장 등으로 표현되는 여래성(如來性)의 나와 대열반의 근거가 되는 여덟 가지 자재함을 갖는 나[大我]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부정되는 자아는 중생의 자아인 오음과 외도의 아뜨만이다. 대반열반경을 통해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자아는 불성이고, 이 불성은 가아에 반대되는 진정한 자아[眞我]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진아는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무아와는 다른 범주에 있으므로 서로 상충되지 않으며, 외도의 아뜨만에 대한 이해와도 또한 다른 것이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49
  • No :0
  • Pages :255~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