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In the past 100 years, although Korea Buddhism and Taiwan Buddhism have been gone through similar processes that included domination by Japan for several decades, Kaiserism during the state of siege, anti-communism policy and pro- American domination as well as the historical scar of Buddhists’ Sufferings, nowadays totally different styles and features have presented between the Buddhist circles of the two countries.’ Over several decades of development and vicissitude Taiwanese Buddhism has completely self-innovated through self-examin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in that Terrestrial Buddhism has become the main trend which represents 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Buddhist and Layman. At the same time, Taiwanese Buddhism also focuses on academic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bright people. Because of this diversified, modern and international path, Buddhism has occupied the leading position among Taiwanese religious circles.Korean Buddhist circles realized the need for change in a globalized age, too late. Some illuminates appealed fo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ttached alms deeds, and called for open and progressive foresight to carry the modernizations of Korea Buddhism forward. However, most illuminates continue to preserve tradition and in two minds without of ensuring consciousness of subject but only worrying about ‘Religious ceremonies could not be succeed if not relying on the lord protector’. This subtle relation with politics made the masses dare not get to close to Buddhism. If Korean Buddhism wants to develop further and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the first thing to do is to thoroughly reform, eliminate the traditional mode, reflect on the past and get to the public and society; the next is to learn diversified Terrestrial Buddhism’s way of preaching moral principles and study modernization experiences from Taiwanese Buddhism to establish Buddhism’s system of alms deeds and welfare.
본 논문은 근대 이후 타이완불교가 성취한 발전모델에 대한 분석 을 통하여 한국불교가 지향해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 참조해보자는 데 목적이 있다. 과거 100여 년을 회고해보면, 한국불교와 타이완불교는 매우 유사 한 역사적인 과정과 환경을 겪어왔다. 20세기 초, 일본으로부터 수 십 년간 식민통치를 받은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1945년 해방 후에는 독재치하에서 똑같이 계엄통치를 오랫동안 받은 적이 있었다. 동시 에 철저한 반공정책과 친미정책이라는 국가차원의 노선도 함께 경 험한 적이 있었고, 게다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法難事件이라는 아 픈 상흔도 똑같이 공유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역사적 배경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과 타이완 양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불교의 면모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타이완불교는 지난 수십 년간 전통불교에 대한 반성과 변혁을 통해서 철저한 개혁을 진행하여 “人間佛敎”가 타이완불교의 새로운 주류를 형성하면서 사회변혁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 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양성평등이나 승속 간의 평등을 지향하 면서 우선적으로 학술교육 및 인재양성을 중심으로 불교학의 발전 을 적극 추진해왔다. 또한 포교의 방법과 영역에 있어서도 전면적이 고 다원화된 방식으로 민중 속으로 파고들어 불교의 다원화, 현대화, 국제화라는 진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로써 타이완의 여러 종교 중에서 불교가 주도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이에 따라 정치 사회적인 영향력이 크게 증대하였다. 동시에 전통만을 고수하고, 보 수적인 불교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시대의 조류를 주도하여 타 이완불교의 소프트역량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들어와 한국불교도 개혁의 당위성에 공감하며 변혁과 혁 신을 지향하면서 한국적 특징을 갖춘 불교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왔 다. 하지만, 한국불교가 진일보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보수 중심의 관념에 대한 철저한 변혁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 인 불사중심의 사원에서 탈피하여 시민계층뿐만 아니라 소외된 민 중과 함께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변화와 변혁을 이끌어 갈 수 있 는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불교계가 스스 로의 단점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토대로, 타이완불교의 탈근대화 경 험과 다원화된 “인간불교”의 포교방식의 경험을 빌어서 민중의 삶과 조화를 이루고, 시대를 리드하는 선진적인 불교의 형상을 건립하는 것만이 21세기 한국불교가 발전해갈 첩경일 것이다.
Click the PDF butt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0
- Pages :537 ~ 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