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Ven. Donggok Ilta’s (1929-1999) teaching of prayer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about the culture of prayers for particular things in Korean Buddhism. In post-modern Korean society, the religious culture related to petitionary prayers has been denied as part of the pre-modern cultural heritage. Buddhism is not an exception to this trend. Petitionary prayers have been criticized as a negative custom that needs to be overcome. However, Ven. Ilta expressed a different position. This then leads to the questions of how the mainstream discourse on this topic has developed, and what Ven. Ilta’s position was. This paper examines how Ven. Ilta’s perspective on this issue was embodied in reality and how it influenced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Section II examines the history of Buddhist discourse about petitionary prayers in Korean Buddhism, focusing on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the academic arguments made in the journal of The Buddhist Review in 2001. This discussion shows that the views of petitionary prayers in Korean Buddhism have remained negative. Section III summarizes two reasons why Ven. Ilta took a positive attitude toward petitionary prayers in Korean Buddhism. The first reason is his background—namely, that 41 of his relatives, including all his close family—became bhikkhus or bhikkhunīs . The second reason is his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Koreans' religious psychology. Section IV examines Ven. Ilta’s teaching of prayer and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본 논문에서는 동곡 일타(東谷 日陀, 1929-1999)의 기도지도법이 갖는 특징과 의의를 한국에서 이루어진 기복불교 담론의 맥락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근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기복적 문화는 전근대적 문화유산으로 부정된다. 불교계 상황도 다르지 않다. 기복적 성격의 불교문화는 극복해야 할 부정적 관습으로 비난받는다. 하지만 일타는 이와 같은 기복에 대한 주류 의견과 다른 입장을 표명한다. 그렇다면 기복불교에 대한 주류 담론은 어떻게 전개되고, 일타의 입장은 이와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기복에 대한 그의 관점이 어떤 방식으로 현실 속에서 구현되고, 한국불교계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에 대해 의견을 개진해 보았다.
II장에서는 한국불교계 내에서 기복에 대한 담론이 특히 활발했던 세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의 기복적 성격에 대한 담론의 흐름을 짚어보았다. 개항기, 불교정화운동기, 학계에서 논장(論場)이 펼쳐졌던 2001년이다. 이 과정에서 개항 이후 현재까지도 한국불교계에서는 기복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우세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II장에서는 일타가 한국불교 기저에 놓인 기복신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 원인을 추적해 보았다.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는 41명이나 되는 친인척이 출가한 특별한 가족력 등 일타의 성장 배경이고, 둘째는 한국인의 종교심리에 대한 그의 공감적 이해이다.
일타는 불교 내에 기복신앙을 적합하게 수용하기 위해 한국에서 전해져 온 전통 수행법을 기반으로 기도법을 정비하고, 이를 통칭하여 ‘법다운 기도’라고 지칭하였다. IV장에서는 그가 제시한 기도법을 개략하고, 기도지도법의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것이 당시 한국불교계에 미친 영향을 세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근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기복적 문화는 전근대적 문화유산으로 부정된다. 불교계 상황도 다르지 않다. 기복적 성격의 불교문화는 극복해야 할 부정적 관습으로 비난받는다. 하지만 일타는 이와 같은 기복에 대한 주류 의견과 다른 입장을 표명한다. 그렇다면 기복불교에 대한 주류 담론은 어떻게 전개되고, 일타의 입장은 이와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기복에 대한 그의 관점이 어떤 방식으로 현실 속에서 구현되고, 한국불교계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에 대해 의견을 개진해 보았다.
II장에서는 한국불교계 내에서 기복에 대한 담론이 특히 활발했던 세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의 기복적 성격에 대한 담론의 흐름을 짚어보았다. 개항기, 불교정화운동기, 학계에서 논장(論場)이 펼쳐졌던 2001년이다. 이 과정에서 개항 이후 현재까지도 한국불교계에서는 기복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우세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II장에서는 일타가 한국불교 기저에 놓인 기복신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 원인을 추적해 보았다.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는 41명이나 되는 친인척이 출가한 특별한 가족력 등 일타의 성장 배경이고, 둘째는 한국인의 종교심리에 대한 그의 공감적 이해이다.
일타는 불교 내에 기복신앙을 적합하게 수용하기 위해 한국에서 전해져 온 전통 수행법을 기반으로 기도법을 정비하고, 이를 통칭하여 ‘법다운 기도’라고 지칭하였다. IV장에서는 그가 제시한 기도법을 개략하고, 기도지도법의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것이 당시 한국불교계에 미친 영향을 세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 BTN. 2019. “45명의 스님들이 모두 한가족?” [Are all 45 monks part of the same family?]. https://www.youtube.com/watch?v=n3sGbdk3EtM (2022.7.8. 검색).
- BTN. 2019. “인터뷰 다큐 <인연 그리고 법연 3> 19회: 일타스님” [The Interview Documentary
Episode 19: Ven. Ilta Sunim]. http://www.btn.co.kr/btntv/detail.asp?ls_StSbCode=CATPR_05&PID=P1120&DPID=81036 (2022.8.15. 검색). - CHO, Joonho (조준호). 2001. 「기복불교는 ‘불교’인가」 [*“Can Petitionary Buddhism be Called Buddhism?],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7, 16-41. - CHO, Ki-ryong (조기룡). 2017. 「해인총림 결성의 배경과 현재적 의의」 [“Background and Present-day Significance of the Formation of the Haein Monastic Complex(海印 叢林)”], 『선학』 (
Journal of Seon Studies ), vol. 48, 123-159. 10.22253/JSS.2017.12.48.123 - Choi, Jung-ho (최정호). 2010. 『복에 관한 담론-기복사상과 한국의 기층문화』 [*
Discourse on Fortune: Thought of Petitionary Prayers &, Korean Indigenous Culture ], Paju; 돌베개 (Dolbegae). - Donggok Ilta (東谷 日陀), INOUE, Atsushi, tr. (井上 厚史 역). 1997. 『不安を希望に変えた仏教の祈り』 [*
Buddhist Prayer That Turned Anxiety into Hope ], Kyoto: 法藏館 (Hozo-kan). - HAN, Myung woo (한명우). 2001. 「기복불교의 실태와 문제점」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Petitionary Buddhism”],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7, 65-85. - HONG, Sa seong (홍사성). 2001.「불설과 비불설을 결택하자」[*“Let’s Choose Real Buddha’s Teaching in Buddhist Culture”],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7, 10-14. - Hyeam (혜암). 2013. “일타대종사 법문 살아오신 이야기 1” [The Teachings and Life Stories of Ilta Daejongsa]. https://www.youtube.com/watch?v=KN1dk50lGvY (2021.6.25. 검색).
- HWANG, In gyu (황인규). 2001. 「기복불교는 왜 생겨났는가」 [*“The Origin of Petitionary Buddhism”],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7, 42-64. - Ilta (일타). 1999a. 『기도』 [*
Prayers ], Seoul: 효림 (Hyorim). - _______. 1999b. 『생활 속의 기도법』 [*
How to Pray in Daily Life ], Seoul: 효림 (Hyorim). - _______. 2013a. 『불자의 마음가짐과 수행법』 [*
Buddhist Mindset & Practice ], Seoul: 효림 (Hyorim). - _______. 2013b. 『선수행의 길잡이』 [*
Guide to Seon Practice ], Seoul: 효림 (Hyorim).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ed. 1997. 『한국불교사상개관』 [*
An Overview of Korean Buddhist Thought ], Seoul: 한국언론자료간행회 (*Korean Press Publish Association). -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대한불교조계종). 2015. “종헌” [Monastic Regulations] http://elaw.buddhism.or.kr/jsp/lkms3/jsp/regulation/regulationMain.jsp (2022.9.30. 검색).
- KANG, Eun ae (강은애). 2015. 『한국선불교 수행론-공안참구(公案參究)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al Theory of Sŏn in Korean Buddhism: Focusing on the Kongan(Kōan) Study ]. Seoul: 해조음 (Haejo-eum). - _______. 2019. 「만해 한용운의 신행관(信行觀)-『조선불교유신론』을 중심으로」 [“Manhae Han Yong-un’s View of Faith and Practice: Focusing on the
Joseonbulgyoyushinron ”], 『불교연구』 (Bulgyo-yongu), vol. 51, 235-269. 10.34275/kibs.2019.51.235 - KBS. 2021. “큰스님 성철 2부: 그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추억의 영상] KBS (1994.1.16.)방송” [Great Monk Seongcheol Part 2: What Did He Leave for Us? (Memorable Video) KBS Broadcast on January 16, 1994]. https://www.youtube.com/watch?v=wkGf7O Pfmdo (2022.9.30. 검색).
- KIM, Hyun joon (김현준). 2015. 『아! 일타 큰스님』 [*
Oh! Great Ven. Ilta ], Seoul: 효림 (Hyorim). - KIM, Jong-in (김종인). 2006. 「1960년대 한국불교와 성철의 활동: 봉암사결사와 해인총림」 [*“Korean Buddhism and Seongcheol’s Activities in the 1960s: Bongamsa Association and Haein Chongnim”], 『백련불교논집』 (
White Lotus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vol. 16, 89-125. - KIM, Jong myung (김종명). 2020. 「고대 한국의 세속불교: 기원, 전개 및 배경」 [“Secular Buddhism in Ancient Korea: Its Origins, Development, and Background”], 『한국불교학』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vol. 93, 255-283. 10.22255/JKABS.93.9 - KIM, Kwang Sik (김광식). 2017. 「일타의 지성적 노선과 조계종단의 좌표」 [“The Reverend Ilta’s Intellectual Line and the Guideline of the Jogye Order”], 『불교연구』 (
Bulgyo-yongu ), vol. 46, 277-312. - KIM, Kyung-Jib (김경집). 2016. 「東谷 日陀의 생애와 수행」 [*“Life and Practice of Ven. Donggok Ilta”], 『2016 추계전국불교학술대회 : 동아시아의 선, 그리고 동곡 일타스님』 (
2016 Autumn National Buddhist Conference: Easten Asian Seon and Ven. Donggok Ilta ), Seoul: 한국불교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199-219. - KIM, Tak gen (김택근). 2017. 『성철 평전』 [*
Biography of Ven. Seongcheol ], Seoul: 모과나무 (Mogwanamu). - KO, Young seop (고영섭). 2009. 「조계종 五大 叢林의 재검토-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Reexamination on Five Comprehensive Temples, General Ascetic Centers of Jogye School: Focused on History and Culture”], 『보조사상』 (
Journal of Bojo Jinul ), vol. 31, 1-45. - LEE, Sung woon (이성운). 2016. 「논평: 「동곡당 일타 큰스님의 교화행과 그 의의」를 읽고」 [*Review of “Ven. Donggok Ilta’s Edification and Its Significance”], 『2016 추계전국불교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선, 그리고 동곡 일타스님』 (
2016 Autumn National Buddhist Conference: Easten Asian Seon and Ven. Donggok Ilta ), Seoul: 한국불교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309-313. - Maslow, Abraham (에이브러햄 매슬로), OH, Hye kyoung, tr. (오혜경 역). 2021. 『동기와 성격』 (
Motivation and Personality ), Seoul: 연암서가 (Yeonamseoga). - MOON, Mu wang (문무왕). 2016. 「퇴옹 성철의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시론적 접근」 [*“The Initial Approach to the Social Influence of Ven. Toeong Seongcheol(退翁 性徹)”], 『불교문화연구』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Social Affairs ), vol. 16, 69-88. - Myeongbeop (명법). 2011. 「여성불교의 관점에서 본 기복불교」 [*“Petitionary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Buddhism”],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49, 276-295. - Myojoo (묘주). 2016. 「동곡당 일타 큰스님의 교화행과 그 의의」 [*“Ven. Donggok Ilta’s Edification and Its Significance”], 『2016 추계전국불교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선, 그리고 동곡 일타스님』 (
2016 Autumn National Buddhist Conference: Easten Asian Seon and Ven. Donggok Ilta ), Seoul: 한국불교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283-307. - PARK, Jae hyeon (박재현). 2005.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Kanhwa Chan (看話禪) and the Formation of Orthodoxy in Korean Seon Buddhism”], 서울대학교 철학박사 학위논문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_______. 2023. 「한국 선(禪)의 역사와 특징」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eon”], 『불교학밀교학연구』 (
Journal of Esoteric and Buddhist Studies ), vol. 3, 205-234. - RYU, Seung moo (류승무). 2015. 「현대 한국불교 10대 논쟁-기복불교 논쟁」 [*“Ten Major Topics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Discussion of Petitionary Prayers in Korean Buddhism”],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62, 101-117. - SEO, Jae yeong (서재영). 2007.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퇴옹성철의 역할」 [“The Spirit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nd the Monk Seongcheol’s Role”], 『선학』 (
Journal of Seon Studies ), vol. 18, 5-30. 10.22253/JKSS.2007.12.18.11 - SHIN, Gyoo tag (신규탁). 2016. 「동곡 일타 대종사의 선사상」 [“Seon Thought of Ven. Donggok Ilta”], 『2016 추계전국불교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선, 그리고 동곡 일타스님』(
2016 Autumn National Buddhist Conference: Easten Asian Seon and Ven. Donggok Ilta ), Seoul: 한국불교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345-370. - *The Institute for Studies of Il-Yŏn (일연학연구원), ed. 2000. 『일타화상수월명』 [*
Ven. Ilta’s Words Inscripted on Water and Moon ], Seoul: 불교시대사 (Bulgyosidaesa ). - *White Lotus Seon Publication Society (백련선서간행회), ed. 1993. 『성철스님 법어집: 영원한 자유의 길』 [*
Words of Ven. Seongcheol: the Path to Eternal Freedom ], Gyeongnam: 장경각 (Janggyeonggak). - Wonyoung (원영). 2016. 「동곡일타율사의 계율사상」 [*“Vinaya Master Donggok Ilta’s Thought on
Śīla & Vinaya ”], 『2016 추계전국불교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선, 그리고 동곡 일타스님』 (2016 Autumn National Buddhist Conference: Eastern Asian Seon and Ven. Donggok Ilta ), Seoul: 한국불교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 227-248. - YEOM, Jung seop (염중섭). 2018. 「한국불교의 계율적인 특징과 현대 조계종의 계율전통-자운(慈雲)과 일타(日陀)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Precepts in Korea and the Preceptive Traditions of the Modern Jogye Order: Focusing on Jaun(慈雲) and Ilta(日陀)”], 『종교문화연구』 (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e ), vol. 30, 97-127. - YOO, Dong ho (유동호). 2001. 「기복주의를 넘어 공덕주의로」 [*“Beyond Petitionary Prayers, Making Merits”],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7, 86-107. - YOON, Nam jin (윤남진). 2003. 「기복불교 논쟁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for the Discourse on Petitionary Prayers in Korean Buddhism”], 『불교평론』 (
The Buddhist Review ), vol. 16, 162-179.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77
- No :0
- Pages :155∼182
- DOI :https://doi.org/10.21482/jbs.77..20231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