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September 2013. pp. 271 ~ 325
Abstract
With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the new government adopted a strong anti-Buddhist attitude, and a movement to eradicate Buddhism and bring Shinto to ascendancy arose throughout the country due to the strong connections of Buddhism to the Shoguns. During the Edo Period of Tokugawa (1600-1868) Buddhism was supported by the state. The new Meiji government established a government bureau, the ShintōWorship Bureau (神祇事務局) to oversee religious affairs and to administer the government-ordered separation of Buddhism from Shintō. Through this process, the Meiji Restoration restored the power of the Imperial Household, which had been under the shadow of successive military governments in previous years. The haibutsu kishaku (廢佛毁釋; literally "abolish Buddhism and destroy Shākyamuni")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the most famous instance of the phenomenon, was an event triggered by the official policy of separation of Shinto and Buddhism and caused great damage to Buddhism in Japan. It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images and texts, and Buddhist monks were forced return to secular life. The Buddhist traditions, however, fought hard to overcome national suppression, eventually earning equal status with Shinto by the mid-Meiji Period. Meanwhile, Japan opened its door to the world and encountered the impact of Western culture and technology, forging a modern nation. Together with a series of wars, a militaristic ideology developed in the Empire of Japan: that the military should dominate the political and social life of the nation, and that the strength of the military is equal to the strength of the nation. This militarism came to a climax in the Second World War and eventually to defeat in 1945.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Japanese Buddhism overcame the haibutsu kishaku and what kinds of roles it played to support Japanese militarism by focusing on the matter of war.Zen at War focuses o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and Japanese militarism from the time of the Meiji Restoration through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postwar period. It describes the influence of state policy on Japanese Buddhism, and particularly the influence of Zen philosophy on the Japanese military. Brian Daizen Victoria, an American-born Sōtō priest, draws from his own study of original Japanese documents, but also uses the publications of Ichikawa Hakugen (市川白弦, 1920-1986), a Rinzai-monk and a scholar. In The War Responsibility of Buddhists (Bukkyosha no Senso Sekinin , 1970), Hakugen himself had been "a strong advocate of Japan's 'holy war'," to which he later confessed, “I should not forget to include myself as one of those modern Japanese Buddhists who did these things.”Victoria's book exploded onto the Western Zen scene in 1997 and has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ever since. Statements of some of Western Zen's most revered teachers and masters supported Japanese militarism and nationalism.A re-evaluation of Zen Buddhism's role in the Japanese wars of the Twentieth Century is long overdue and Victoria's book is but a first step in a long and ultimately painful process of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Zen. The book’s great contribution is that it has succeeded, where others scholars have not, in bringing to public attention the largely unquestioning support of Japanese Buddhists for their nation’s militarism. In response to “Zen at War ” Japanese Buddhism started a campaign to receive apologies from leading parties within the Japanese Buddhist schools since 2001. This involvement was not limited to the Zen schools, as all orthodox Japanese schools of Buddhism confessed on supporting the militarist state. In the process, Japanese Buddhist academia demonstrated their reflection and responsibility on the matter, while Japanese scholars traditionally refused to face the existence of their social issues. It is also important for Koreans because it gives u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flect upon the present reality and how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complex context of Japanese colonial rule. Beyond Buddhist ethical discussion, this raises important questions that connect to a new paradigm of ethics that transcends the views of both politics and history, across any sect, border, or country between Japan and Korea.
메이지유신으로부터 시작되는 일본의 근대에 있어 불교는 역사상 초유의 탄압을 받는다. 곧 메이지유신 이전 도쿠카와 막부의 에도시대에 國敎의 지위를 가지고 있던 불교가 근대의 初頭부터 국가에 의한 탄압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압의 배경에는 권력의 중심을 천황에 두고 그 천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神道에 국교적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메이지정부의 방침이 있었던 것이지만, 국가에 의한 불교탄압은 역사상 초유의 일로서 불교계는 큰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불교탄압이 廢佛毁釋이라 불리어 진행되지만 불교계 또한 그러한 난관을 극복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한 노력의 대표적인 모습이 폐불훼석 초기 결성된 諸宗同德會盟의 모임이며, 그와 같은 불교계의 노력이 결실을 거두어 메이지 중기이후에 불교계는 신도와 동등한 종교적 지위를 갖게 된다. 이렇게 불교계는 메이지유신이후 국가적 탄압을 극복하는 과정을 갖게 되는 반면, 일본 국가는 근대초기의 서구문물의 유입을 통한 체제정비 이후 천황중심의 강력한 국가체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국가적 체제는 근대 중기이후의 일련의 전쟁을 통해 군국주의의 형태를 띄게 되고, 그러한 군국주의 체제는 태평양전쟁까지 이어져 결국 1945년 패전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본고는 근대 폐불훼석을 극복한 불교계가 이러한 군국주의 일본의 사회체제와 어떻게 관계하고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를 살펴본 것으로 특히 전쟁과 관련된 불교계의 입장을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위해 近年 근대 일본불교계와 전쟁의 관계를 다루어 전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브라이언 빅토리아의 『선과 전쟁(Zen At War)』을 근거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빅토리아에게 큰 영향을 끼쳤던 이치카와 하쿠겐(市川白弦, 1902-1986)에 대해 살펴보았다. 빅토리아는 미국인으로 일본에 와 曹洞宗의 禪僧으로서 수행을 하는 일면 불교와 전쟁에 대해 오랫동안 고뇌와 사색을 바탕으로 그 자료를 모아 이와 같은 저서를 공간하였지만, 그러한 문제의식을 갖게 된 데에는 이치카와 하쿠겐의 영향이 컸다고 밝히고 있다. 이치카와는 臨濟宗의 승려로서 전후 불교계의 전쟁에 대한 책임과 반성을 촉구한 『佛敎者의 戰爭責任』(春秋社, 1970)을 출간한 불교계의 양심적인 인물로 간주되지만, 실제 그의 저술들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빅토리아의 『선과 전쟁』이 출간된 이후의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치카와를 비롯한 불교계의 전쟁책임 규명을 위한 노력에 의거해 일본의 불교계는 終戰이후 거의 4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전쟁에 대한 반성을 교단별로 밝혔지만, 빅토리아의 저술이 일본어 번역판으로 출간된 2001년 이후 보다 많은 불교교단이 전쟁에 대한 반성을 표명하였고 더불어 일본의 불교학계에서도 전쟁과 사회의 책임에 대해 학술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그간 사회적인 문제에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하던 불교학계의 자세에 대해서도 반성과 책임을 촉구하는 입장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본불교학계의 전쟁책임이나 사회윤리에 대한 학술적인 조명은 단순히 일본불교계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에 의해 식민지를 경험한 우리에게도 중요한 현실인식을 가져다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것은 단순히 불교계의 윤리의식을 넘어 우리사회의 역사적, 정치적 의식과도 관련되는 폭넓고 중요한 문제제기로, 여전히 불편하게 지속되는 한일관계에 새로운 사회인식과 도덕의식을 제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6
  • No :0
  • Pages :271 ~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