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September 2013. pp. 229 ~ 269
Abstract
It is commonly recognized that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thought is largely based on the Diamond Sutra [金剛經]. A considerable number of printings and commentaries attest to the importance of the Diamond Sutra in the history of Buddhism. However, many such commentaries are often written in a pedantic manner and ignore the original text's flow or mode of expression, by emphasizing supramundane principles outside the realm of ordinary conceptual thought [格外道理].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iamond Sutra [金剛經] more clearly by examining the changes in its mode of expression. In this essay, the analysis of the original text is mostly based on the commentary of Kumārajīva (鳩摩羅什:344-413), with references to Jae-Seong Cheon’s (全在星:2003) and Gakmuk's (覺黙:2001) translation. Though some scholars divided the Diamond Sutra [金 剛經] into two parts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this was not due to inevitability but due to convenie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ivide the Sutra into two parts, classifying it as ‘Just-not Speech’ [卽非的 話法] and ‘Just-not butnamed Speech’ [卽非是名的 話法]. I find that the former was mostly composed of ‘Just-not Speech’ [卽非的 話法] and the latter ‘Just-not but-named Speech’ [卽非是名的 話法].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Sutra ’s mode of expression in the two parts conflict with each other.
현대 한국불교의 사상은『 金剛經』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해도 과 언이 아니겠지만, 불교역사에 있어서도 수많은 판본과 주석서가 그 중 요성을 말해준다. 그러나 수많은 주석서들은 지나치게 현학적으로 기 술되어 있거나 格外道理를 강조하다 보니 본문의 흐름이나 표현방식 을 간과하고 있다.이에 본고는『 금강경』 본문의 표현방식의 변화를 살피면서 본문을 좀 더 명확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구마라습역을 중심으로 하고 전재성과 각묵역을 참조하여 본문 분석의 기초를 삼았다. 그리고 『금강경』을 한역하면서 상하로 구분하거나 두 부분으로 구분한 학자 들도 있지만 구분의 필연성보다 편의적 기준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 래서 본고는 卽非的 話法과 卽非是名的 話法을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 『금강경』 본문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더니 전반부는 주로 즉비적 화법으로 표현되어 있었고 후반부는 즉비시명적 화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하였다.이에 본고는 즉비적 화법과 즉비시명적 화법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보임으로써『 금강경』 후반부의 표현방식이 전반부의 표현방식과 배치 되는 입장에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6
  • No :0
  • Pages :229 ~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