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58

초기/인도불교

31 March 2019. pp. 1∼32
Abstract
In early Buddhism, paṭiccasamuppāda is understood as a process of mental conditioning associated with suffering irrelevant to rule of things. This article proceeds towards seek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ether this contemplation is only limited to 12-links dependent-origination. The writer of this article has revealed in the previous study that various parts of paṭiccasamuppāda also explain the emergence and the extinction of suffer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examples of suffering variously explained in Nikāya, this 'suffering' is found out to mean not only the rebirth suffering but also the existential suffering. Subsequently, by considering avijjā, the first part of the 12-links dependent- origination, this article once again reveals that each varied part of paṭiccasamuppāda is the procedure of the emergence and extinction of suffering from mental conditioning. Since avijjā corresponds to the content of suffering, its examples also correspond to the teaching of dependent-origination. Avijjā is the situation in agony, which includes both the rebirth suffering and the existential suffering. Avijjā corresponds to agony as well as to various parts of dependent-origination. Whether it is the rebirth suffering or existential suffering, it is necessary that we get rid of avijjā to eliminate suffering. This study focuses on paññā among the methods to remove avijjā. Paññā is the wisdom for the extinction of all kinds of suffering and it is said that we can get over the distress when we see the parts of dependent-origination through paññā. As above mentioned, this research has confirmed once more that different parts of dependent-origination also explain the emergence and extinction of agony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examples of suffering and pañña. This writer would like to clarify that different parts of dependent-origination teaching forms are not just unfinished but there also exists the lesson to convey by itself.
초기불교에서 연기설(paṭiccasamuppāda)은 사물에 대한 법칙성과는 무관한 괴로움에 대한 정신적 조건화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고찰이 12지연기에 국한된 것인가라는 질문에 해답을 찾는 과정으로 본 고는 진행된다. 다양한 지분들의 연기설 또한 괴로움의 발생과 소멸과정임을 밝히기 위해 니까야(Nikāya)에 다양하게 설해진 괴로움의 용례를 다룬다. 여기에서 괴로움은 재생에 의한 괴로움만을 의미 하지 않으며, 현실에서 맞닥뜨린 실존적 괴로움의 문제를 함께 포함한다. 이어서, 연기의 12지분 중에서 첫 번째 지분에 해당하는 무명(avijjā)을 고찰함으로써 다시 한 번 다양한 지분들의 연기설이 정신적 조건화에 의한 과정임을 밝힌다. 무명은 괴로움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으며 무명의 다양한 용례들은 다양한 지분들의 연기 가르침과 함께 고찰된다. 무명은 괴로움에 빠진 상황이며, 여기에서 괴로움은 재생적 괴로움과 실존적 괴로움을 모두 포함한다. 무명은 괴로움과 상관성을 가지면서 아울러 다양한 지분들의 연기설과도 함께 고찰된다. 재생적 괴로움이든 실존적 괴로움이든 괴로움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무명을 소멸하면 된다. 필자는 무명을 제거하는 방법 중에서 반야(paññā)에 주목하여, 반야의 용례 또한 무명과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고찰한다. 반야는 모든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지혜(ñāṇa)로서, 연기의 각각의 지분들을 반야로 분명하게 본다면 괴로움의 출구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설해진다. 이상과 같이 무명에 초점을 맞추어 괴로움과 반야의 용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다양한 지분들의 연기설도 괴로움의 발생과 소멸과정을 드러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필자는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다양한 지분들의 연기설이 단순히 미완성된 형태가 아니라,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르침들이 분명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References
    약호
  1. AN : Aṅguttaranikāya, PTS.
  2. DN : Dīghānikāya, PTS.
  3. MN : Majjhimanikāya, PTS.
  4. SN : Saṁyuttanikāya, PTS.
  5. 원전자료
  6. 각묵스님, 『상윳따 니까야 1』,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3.
  7. 각묵스님, 『상윳따 니까야 2』, 울산: 초기불전연구원, 2013.
  8. 각묵스님, 『상윳따 니까야 3』,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3.
  9. 각묵스님, 『상윳따 니까야 4』,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3.
  10. 각묵스님, 『상윳따 니까야 5』,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3.
  11. 각묵스님, 『상윳따 니까야 6』,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3.
  12. 각묵스님, 『디가 니까야 2』,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5.
  13. 대림스님, 『맛지마 니까야 1』,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3.
  14. 대림스님, 『맛지마 니까야 2』,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3.
  15.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1』,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2.
  16.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5』,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6.
  17. 대림스님, 『앙굿따라 니까야 6』, 울산 : 초기불전연구원, 2016.
  18. 단행본류
  19. Collins, Steven,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āda Buddhism. New york : the Press Syndicate of University of Cambridge, 1982.
  20. Johansson, Rune E.A, The Dynamic Psychology of Early Buddhism, London and Malmö : Curzon Press, 1985.
  21. 뿔리간둘라, 『인도철학』, 이지수 역, 서울 : 민족사, 1993.
  22. 임승택, 『초기불교, 94가지 주제로 풀다』, 안성 : 종이거울, 2013.
  23. 페터, 『초기불교의 이념과 명상』, 김성철 역, 서울 : 씨아이알, 2009.
  24. 후라오봘르너, 『원시불교』, 박태섭 역, 서울 : 고려원, 1991.
  25. 논문류
  26. Cox, Collet, “Dependent Origination: Its Elaboration in Early Sarvāstivādin Abhidharma Texts”, In R. K. Sharma (Ed.), Researches in Indian and Buddhist philosophy: Essays in honour of Professor Alex Wayman, Delhi : Motilal Banarsidass, 1993, pp.119-141.
  27. Schmithausen, Lambert, “The Early Buddhist Tradition and Ecological Ethics”, Journal of Buddhist Ethics Vol.4, London : University of Oxford, 1994, pp.1-74.
  28. Shulman, Eviater, “Early Meaning of Dependent-Originatio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Vol.36, Boston : Springer, 2008, pp.297-317.
  29. Wayman, Alex , “The Meaning of Unwisdom(Avidyā)”, Philosophy east and west Vol.7, No.1-2, Honolulu :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57, pp.11-16.
  30. 김용환, 「초기불교의 사상적 구조와 실천수행」, 『동아시아불교문화』제22집, 부산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pp.383-424.
  31. 남수영, 「초기불교의 중도 개념 재검토」, 『남아시아연구』제21집,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인도연구소, 2015, pp.57-86.
  32. 박경준, 「초기불교의 연기상의설 재검토-불교의 사회화를 위한 이론적 정초」, 『한국불교학』제14집, 서울 : 한국불교학회, pp.117-141.
  33. 슈미트하우젠, 「12지 연기형식에 관하여」, 안성두 역, 『불교학리뷰』제3집, 논산 : 금강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2008, pp.163-206.
  34. 이영진, 「초기불교 텍스트에 나타난 상수멸의 불일치와 모순」, 『인도철학』제19집, 서울 : 인도철학회, 2005, pp.91-121.
  35. 이은정, 「연기설을 둘러싼 쟁점에 관한 고찰-초기불교를 중심으로」, 『불교연구』제48집, 서울 : 한국불교연구원, 2018, pp.41-75.
  36. 임승택, 「반야의 치유, 그 원리와 활용-초기불교를 중심으로」, 『범한철학』제80집, 광주 : 범한철학회, 2016, pp.1-29.
  37. 임승택,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불교학연구』제32집, 서울 : 불교학연구회, 2012, pp.83-128.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8
  • No :0
  • Pages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