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31 December 2023. pp. 43∼71
Abstract
Food is considered a cause of greed in Indian Buddhist texts and is also view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world of desire. In Indian Buddhist treatises, the nature of food i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smell, taste, and touch. These are the factors that sentient beings crave in daily food. According to modern scientists, among these three factors in food, smell is the most closely and strongly related to the cause of craving for food, and the olfactory system is a unique sense organ that is related to the emotional system in our brain. Thus, both Buddhist texts and modern neuroscience consider the three factors of smell, taste, and touch as the pivotal factors in food. However, Buddhist texts regard these factors as objects that should be controlled, whereas modern science considers them as positive characteristics to be utilized in daily life.
인도 불교 문헌은 음식을, 욕계를 본질적으로 규정짓는 요소로 사고한다. 『아비달마구사론』은 십팔계(十八界) 분류에서 욕계와 색계를 구분짓는 요소로 향(香), 미(味), 비식계(鼻識界), 설식계(舌識界), 네 가지를 설하고 있다. 또한 음식을 음식으로 규정짓는 핵심적 요소로, ‘향·미·촉’, 즉 식체(食體)를 언급하고 있다.
『성실론』에서 음식은 모든 번뇌를 야기하는 근원으로 설해지는데, 음식에 대한 탐욕은 음욕을 야기하고 반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며 끝없는 번뇌를 야기하는 근원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음식에 대한 탐욕에 대하여 『유가자시론』은 음식의 맛에 대한 욕망인 미식탐(美食貪)과 음식의 양에 대한 욕망인 다식탐(多食貪)으로 식탐을 구분한다.
욕망을 야기하는 음식의 핵심적 요소를 언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술어인 식체, 즉 향·미·촉의 종합적인 기능과 역할과 더불어 셋 중 어떤 요소가 욕망을 야기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는가에 대한 고찰은 음식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작업이다.
불교 문헌이 미식탐과 다식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음식에 대한 맛과 양에 대한 탐착을 다루고 있고 또 두타행이나 염식상(厭食想)을 통해 그 두 가지 음식에 대한 탐욕 제거를 체계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음식에 대한 탐착과 관련하여 ‘향과 맛’에 대한 분석적 언급은 만나기 어렵다.
현대과학은 음식의 풍미와 관련하여 불교의 식체 개념과 동일하게 ‘향·맛·촉감’을 핵심적 요소로 간주한다. 또한 이 세 가지 요소 중 ‘향’이 하나의 음식을 다른 음식과 구분짓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일상의 언어적 습관에서 ‘음식 맛’으로 표현되는 ‘음식 풍미’를 결정짓는 요소로 파악한다.
음식에 대한 욕망을 야기하는 음식 풍미에 대한 집착의 제어는, 다른 요소에 대한 파악과 더불어 무엇보다 음식의 향에 대한 파악이 보다 중요하며, 이는 염처수행과 같은 근본정의 수행을 통한 미식탐과 다식탐의 근본적인 제어에 기여할 것이다.
References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1. Jātaka   E. B. COWELL ed. , H. T. Francis tr., London: Pali Text Ssociety, 1981.
  2. MN   Majjhima Nikāya, ed. TRENCKNER, V. and R. CHELMERS, 3 vols., London: Pali Text Society, 1979, 1925 & 1951 respectively (reprints).
  3. T   大正新修大藏經 [Revised Buddhist Canon compiled during the Taishō reign period]. Eds. TAKAKUSU, Junjirō (高楠順次郞) and Kaikyoku WATANABE (渡邊海旭) et. al., 100 vols., Tokyo: Nihon Tōkyō Daizōkyō Kankōkai., 1924-1935.
  4. 成實論』   T32.
  5. 『阿毘達磨俱舍論』   T29.
  6. 『阿毘達磨順正理論』   T29.
  7. 『瑜伽師地論』   T30.
  8. 『長阿含經』   T1.
  9.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10. BARWICH, Ann Sophie (앤 소피 바위치), KIM, Hong Pyo, tr. (김홍표 역). 2020. 『냄새: 코가 뇌에게 전하는 말』 [Smellosophy], Seoul: 세로 (Sero).
  11. CHOI, Nakoen (최낙언). 2018. 『물성의 원리』 [Principle of Rheology], Seoul: 예문당 (Yemundang).
  12. HERZ, Rachel (레이첼 허즈), CHANG, Ho Yeon, tr. (장호연 역). 2013. 『욕망을 부르는 향기』 [The Scent of Desire], Seoul: 뮤진트리 (Mujintree).
  13. LEE, Suyong and KIM, Yongno (이수용·김용노). 2017. 『식품물성학 원리와 응용』 [Food Rheology: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Food Rheology], Seoul: 수학사 (Suhaksa).
  14. PARK, Taehyun (박태현). 2021. 『냄새와 맛의 과학』 [Science of Smell and Taste], Seoul: 자유아카데미 (Freedom Academy).
  15. PROUST, Marcel (마르셀 프루스트), KIM, Hee Young, tr. (김희영 역). 201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Seoul: 민음사 (Minumsa).
  16. RYU, Jae han (류재한). 2023. 「“프루스트의  마들렌”(Madeleine  de  Proust)과  감성마케팅의  관계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deleine de Proust” and Emotional Marketing”], 『용봉인문논총』 (Yongbong Journal of Humanities), vol. 62, 93-121. 10.35704/YJH.62.4
  17. SPENCE, Charles (찰스 스펜스), YUN, Sin Young, tr. (윤신영 역). 2018. 『왜 맛있을까?』(Gastrophysics), Seoul: 어크로스 (Across).
  18. STEVENSON, Richard J. 2009. The Psychology of Flavour, Oxford: University of Oxford. 10.1093/acprof:oso/9780199539352.001.0001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77
  • No :0
  • Pages :4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