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08. pp. 297 ~ 337
Abstract
The Mt. Saja Sanmun (Mountain Gate=Seon Family), one of the important nine Seon lineages that prospered in Goryeo dynasty, was alleged to have been founded by a great Seon master Doyun(道允, 798-868) and his disciple Jeoljung(折中, 826-900) in the 9th century. However, the Mt. Saja Sanmun was not the direct successor of the Mt. Saja Sanmun founded by Jeoljung in the late 9th century. The Mt. Saja Sanmun in his time was just a single Seon monastery where he practiced together with his disciples; Mt. Saja Sanmun, after the 11th century, comprised of a group of monasteries inhabited by the disciples of Doyun and of Jeoljung. The former can be understood as a ’Seon Place’ which means just a monastery, while the latter is a ’Seon lineage’ consisting of many Seon families and monasteries. The denotation of Sanmun(=Seon family) was changed in the early 11th century when the nine Sanmun system was established. The change coinci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dynasty’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aristocratic families. Following the change of the Sanmun’s meaning, Doyun, who originally had no direct relation with Mt. Saja Seon monastery, came to be regarded as the founding father of the Saja Sanmun, while Jeoljung, the original founder of the Mt. Saja Seon monastery was merely regarded as the disciple of the founder.
이 논문은 근대 불교계에서 민족의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두 단계 로 구분하고 시기별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수용기의 특징은 서구 문물과 일본 불교계에서 파견된 포교사들로부터 또는 개화승들의 일본 방문을 통하여 민족을 자각하여 가는 시기지만 뚜렷하게 인식 하지는 못하였다. 형성기는 일본 불교계의 위장된 친절과 단계적이 고 교묘한 침략 정책에 불교계가 회유되는 모습이 나타기도 하지만 민족인식이 성숙되어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임제종 설립운동과 같은 불교계 내부에서 일종의 민족운동이 일어난 사실에서 민족의 식이 형성되어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교계의 민족의식은 3·1운동이라는 거족적인 항일운동을 거치 면서 선명한 모습으로 발현된다. 1919년 상해에서 발행된「 대한승 려연합회선언서」는 일본의 침략 행위를 강력하게 규탄하였다. 한용 운은 옥중에서「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이라는 명논설을 집필한다. 이 논설에는 일본의 침략 행위는 도의와 정의에 위반된다 점을 지적 하였다. 조선이 독립하는 것은 하늘의 뜻이며 그것은 세계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전제조건임을 천명하였다. 이러한 사상은 민족주의의 틀을 넘어서 세계평화를 지향하는 것이다. 민족이란 말은 세계평화 라는 단어 앞에는 무력해진다. 다만 개별적인 주체성을 가지고, 전 체적인 조화를 이룬다는 측면에서 제한적인 의미를 가질 뿐이다. 결국 민족주의는 불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극복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21
  • No :0
  • Pages :297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