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31 March 2022. pp. 81∼107
Abstract
In modern psychiatry,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s viewed as the result of cognitive function and is classified as an emotio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In Buddhism, anger is treated as a basic defilement, and it is believed that a meditative practitioner can control anger by sati. This paper examines when and how sati can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anger.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anger generation is considered based on the Pali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 process of controlling anger is discussed based on the Salla sutta in the Majjhima Nikāya.
Anger is the first arrow that occurs naturally when there are corresponding conditions. However, if one does not properly deal with the anger that has already occurred, one will be hit with a second arrow. The second arrow is not anger; instead, its main characteristic is the thought of anger. To be swayed and depressed by such ideas is to create a fertile soil that sprouts anger.
The first arrow of anger is inevitable. However, by controlling the perception of anger, sati allows anger itself to be experienced as it is and prevents an unwholesome flow of perception.
Even if one fails to stop this unwholesome flow and is hit by a second arrow, the patient application of sati weakens the influence of thoughts about anger and prevents the seeds of anger from being sown. Thus, when an emotion that has already occurred is itself the subject, a question arises: will one just let its power weaken itself, or will one’s thoughts against the emotion become the subject and be swept away by it?
According to this study, sati seems to be able to control anger if i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ger. However, considering the fiery nature of anger, it does not seem easy for modern people to practice sati towards ang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ays that modern people can engage in this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 challenging exploration of whether the intense emotion of anger can be controlled by sati according to the Pali literature and confirmed this possibility.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역기능적 분노 표현이 인지 작용의 결과이며, 관리가 힘든 정서로 분류한다. 불교에서는 분노를 주요 번뇌로 취급하고, 수행자가 사띠(sati)로 분노를 조절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분노의 과정에 사띠가 언제 어떻게 개입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빨리(Palī) 문헌 및 관련 연구를 토대로 분노의 발생 과정을 고찰한다. 그리고 분노의 조절 과정에 대한 논의는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의 「화살 경(Salla sutta)」을 근거로 한다.
분노는 상응하는 조건이 있을 때,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첫 번째 화살이다. 그러나 이미 일어난 분노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면, 두 번째 화살을 맞게 된다. 두 번째 화살은 분노가 아닌 이미 분노에 대한 생각이 주인공이다. 이와 같은 생각에 휘둘리고 함몰되는 것은 분노의 싹을 틔우는 기름진 토양을 만드는 것이다.
분노의 첫 화살은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사띠는 분노에 대한 인식을 통제함으로써 이미 일어난 분노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경험하게 하고, 인식의 불건전한 흐름을 막는다. 설령 이러한 불건전한 흐름을 막지 못하고 두 번째 화살을 맞게 되더라도, 인내심을 발휘한 사띠는 분노에 대한 생각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분노의 씨앗을 뿌리지 않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 일어난 감정 그 자체가 주체일 때, 단지 그것의 힘이 저절로 약해지도록 둘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감정에 대항하는 생각이 주체가 되도록 하여, 그것에 휩쓸릴 것인가를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띠는 분노를 인식해 나가는 과정 동안 개입된다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분노의 불같은 특성을 고려한다면, 현대인이 이를 실천한다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들이 실천 가능한 방식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노라는 강렬한 감정을 사띠로 조절 가능한가에 대한 도전적 탐구를 남방불교 문헌을 통해 시도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References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1. MN    Majjhimanikāya, ed. TRENCKNER, V. and R. CHELMERS, 3vols., London: Pali Text Society, 1979, 1925 & 1951 respectively (reprints).
  2. SN    Saṁyuttanikāya, ed. FEER, M. L., 5vols., London: Pali Text Society, 1991, 1989, 1975, 1990 & 1976 respectively (reprints).
  3.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4. DAELIM (대림) tr. 2012. 『맛지마 니까야 1』 [Majjhima Nikāya 1],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5. ______. 2012. 『맛지마 니까야 2』 [Majjhima Nikāya 2],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6. DAELIM (대림) tr. 2009. 『앙굿따라 니까야 1』 [Aṅguttara Nikāya 1],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7. ______. 2009. 『앙굿따라 니까야 4』 [Aṅguttara Nikāya 4],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8. ______. 2009. 『앙굿따라 니까야 5』 [Aṅguttara Nikāya 5],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9. DAELIM (대림) tr. 2004. 『청정도론 2』 [Visuddhimagga 2], Seoul: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10. DAELIM (대림) and GAKMOOK (각묵) tr. 2004. 『아비담마 길라잡이 上』 [Abhidhammattha Sangaha, vol. 1], Seoul: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11. GAKMOOK (각묵) tr. 2009. 『상윳따 니까야 2』 [Saṁyutta Nikāya 2]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12. ______. 2009. 『상윳따 니까야 4』 [Saṁyutta Nikāya 4]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13. ______. 2009. 『상윳따 니까야 5』 [Saṁyutta Nikāya 5] Ulsan: 초기불전연구원 (Chogi Buljeon Yeongu weon).
  14. BECK, Aaron T. 2019. “A 60-Year Evolution of Cognitive Theory and Therapy,”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vol. 14, no. 1, 16-20. 10.1177/1745691618804187 30799751
  15. ANĀLAYO, Bhikkhu (아날라요), LEE, Pil won, Hyang sook KANG and Hyun jung RYOO tr. (이필원, 강향숙, 류현정 공역). 2014. 『Satipaṭṭhāna: 깨달음에 이르는 알아차림 명상수행』 [Satipaṭṭhāna], Seoul: 명상상담연구원 (Meditation Counseling Research Institute).
  16. OLENDZKI, Andrew (앤드류 올렌즈키), PARK, Jae yong and Byung hwa KANG tr. (박재용, 강병화 공역). 2018. 『붓다 마인드』 [Unlimiting Mind], Kyeonggi: 올리브그린 (Olive green).
  17. AN, Yang gyu (안양규). 2008. 「부정적인 사고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과 아론 벡의 인지치료」 [Negative Thoughts in terms of Teachings of the Buddha and Aaron Beck’s Cognitive Therapy], 『명상심리상담』 (Journal of Meditation 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vol. 1, 93-134.
  18. ÑĀNANANDA, Bhikkhu (냐냐난다), ANULA, Bhikkhu tr. (아눌라 역). 2006. 『위빠사나 명상의 열쇠 빠빤차』 [Concept And Reality], Seoul: 한언 (Haneon).
  19. CHON, Kyum koo, Kyung hyun SUH, Han gee SEONG, Young sook YOOK and Kwuy im JUNG (전겸구, 서경현, 성한기, 육영숙, 정귀임). 2021. 「다면적 분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phasic Anger Inventor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26, no. 1, 125-144.
  20. VAN KLEEF, Gerben A., Eric van DIJK, Wolfgang STEINEL, Fieke HARINCK & Ilja van BEEST. 2008. “Anger in social conflict: Cross-situational comparis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Group Decision and Nogotiation, vol. 17, 13-30. 10.1007/s10726-007-9092-8
  21. BENSON, Herbert (허버트 벤슨), YANG, Byeong chan tr. (양병찬 역). 2020. 『이완반응』 [The Relaxation Response], Seoul: 페이퍼로드 (Paper road).
  22. KABAT-ZINN, John. 1994. Wherever you go, there you are:Mindfulness meditation in everyday life, New York: Hyperion.
  23. KIM, Kyung-Ho (김경호). 2013. 「분노로부터 마음의 평정 – 분노의 동역학을 중심으로」 [from Anger to Composure - focusing on The Dynamics of Anger], 『철학탐구』 (Philosophical Investigation), vol. 34, 37-64.
  24. LIM, Seung taek (임승택). 2012. 「인문치료와 불교명상」 [Humanities therapy and Buddhist meditation], 『철학연구』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22, 245-26.
  25. ______. 2004. 「위빠사나 수행의 원리와 실제」 [On the Principle and Practice of Vipassanā], 『불교연구』 (Bulgyo-Yongu), vol. 20, 183-213.
  26. MON, Mehm Tin (멤 틴 몬), KIM, Jong su tr. (김종수 역). 2016. 『체계적으로 배우는 붓다 아비담마』 [The Essence of Budda Abhidhamma], Seoul: 불광출판사 (Bulkwang Media).
  27. MOON, Hyun mee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3동향」 [The Third Wave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7-1, 15-33.
  28. NA, Taejun and Jae hee PARK (나태준, 박재희). 2004. 『갈등해결의 제도적 접근』 [Institutional approach to conflict resolution], Seoul: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m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9. PARK, Ho sook (박호숙). 2006. 「심리적 갈등의 유형과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and Patterns of Psychological Conflict], 『한국조직학회보』 (Korean Review of Orgarnizational Studies), vol. 3-1, 27-62.
  30. SCHMITHAUSEN, Lambert (람버트 슈미트하우젠). 2016. 「선(kuśala)과 불선(akuśala)-불교 정신과 윤리에 관련한 한 쌍의 기초 용어의 고유 의미와 초기 유가행파에 이르는 발전에 대한 재검토」 [“Kuśala and Akuśala. Reconsidering the Original Meaning of a Basic Pair of Terms of Buddhist Spirituality and Ethics and Its Development up to Early Yogācāra”], 최진경 역, 『요가수행자의 불교적 바탕』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Seoul: 씨아이알(CIR), 3-91.
  31. SEO, Su gyun (서수균). 2004.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anger and their therapeutic implications]. Seoul: University of Seoul.
  32. SEO, Su gyun and Seok man KWON (서수균, 권석만). 2005. 「비합리적 신념, 자동적 사고 및 분노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irrational beliefs, automatic thoughts and anger], 『한국임상심리학회지』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4-2, 327-339.
  33. KUAN, Tse-fu. 2008. Mindfulness in Early Buddhism, NewYork: Routledge. 10.4324/9780203936146
  34. VETTER, Tilmann (틸만 페터), KIM, Seongcheol tr. (김성철 역). 2009. 『초기불교의 이념과 명상』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ces of early Buddhism], Seoul: 씨아이알(CIR).
  35. KWAK, Keumjoo (곽금주). 2014. 「성취 욕구의 원천, 분노」 [*The Source of Desire for Achievement, Anger], <>, Mar. 8. 2022. https://news.samsung.com/kr/%EC%A0%84%EB%AC%B8%EA%B0%80-%EC%B9%BC%EB%9F%BC-%EC%84%B1%EC%B7%A8-%EC%9A%95%EA%B5%AC%EC%9D%98-%EC%9B%90%EC%B2%9C-%EB%B6%84%EB%85%B8.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70
  • No :0
  • Pages :8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