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September 2014. pp. 139 ~ 181
Abstract
Is it possible to unify the private achievement of benefit for oneself with bringing this benefit to others? Wonhyo 元暁 (617-686) answered this question through his philosophy of Seon 禪. His view is that true insight 正觀 provided by Seon practice through the principles of Yogacara 唯識 is the core condition of the union. Wonhyo's viewpoint provides these following insights on Seon. First, S... 더보기초록(영어)Is it possible to unify the private achievement of benefit for oneself with bringing this benefit to others? Wonhyo 元暁 (617-686) answered this question through his philosophy of Seon 禪. His view is that true insight 正觀 provided by Seon practice through the principles of Yogacara 唯識 is the core condition of the union. Wonhyo's viewpoint provides these following insights on Seon. First, Seon practice is comprised of two modes. One is the 'mode of intellectual practice’ which is focused on destroying the delusions of existence through changing one's understanding and viewpoint. The other is the 'mode of mind practice’ which centers on shifting the mind's aspect from one that grasps onto the category/structure/system of delusive cognition to a non-grasping aspect of mind. The latter mode of practice follows the principles of Yogacara. Second, the ‘mode of intellectual practice’ has the status of an instrument of insight 方便觀 in the sense that it becomes a precondition to contact the original aspect of existence. This has two meanings. One is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nnect the true aspect of existence with only the mode of intellectual practice; the other is that a sufficient development of the intellectual faculty to change one's understanding and viewpoint is a precondition necessary to directly experience the true aspect of existence. Third, the ‘mode of mind practice’ allows the practitioner to experience the true aspect of existence directly. Thus, the 'mode of mind practice,' following the principles of Yogacara, has the status of true insight 正觀/真觀. Fourth, the non-dual unification of self-benefit with the bringing benefit to others is possible only through mastering the mode of mind practice. It is insufficient to accomplish the Bodhisattva’s way of life by mere intellectual awakening or the practice of ethical intention; the Bodhisattva’s way of life is to be embodied through the Seon practice of the mind. In this manner, Wonhyo bonded the Mahayana Bodhisattva path with Seon practice.
‘진리다운 이익의 자기성취’(自利)와 ‘그 이익의 타자 회향’(利他)은 같은 지평 위에서 동근원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까? 이 대승불교의 주된 관심사에 대해 원효(617-686)는 선관(禪觀), 다시 말해 선의 철학으로써 응답하고 있다. 요점은 유식(唯識)의 도리를 수용해 가는 선 수행인 정관이 자리/이타 결합의 핵심 조건이라는 것이다. 정관을 통해 성취하는 10지의 초지 이상 경지에서 자리행과 이타행은 둘 아니게 만나게 된다. 유식관에 의거한 정관, 그리고 그 정관에 의해 성취하는 십지의 초지를 자리/이타 결합의 조건이자 분기점으로 삼는 원효의 관점은 선(禪) 내지 정학(定學)의 의미와 관련하여 어떤 통찰을 제시하는 것인가?첫째, 선 수행은 두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그 하나는 이해/관점의 전환을 통해 존재환각(相)을 지적으로 깨뜨려가는 것을 초점으로 삼는 ‘이해방식의 선 수행’이고, 다른 하나는 마음국면의 전환을 통해 존재환각을 전제로 구성된 인식적 문법의 범주/구조/계열에 빠져들지 않는 ‘마음방식의 선 수행’이다. 그리고 마음방식의 선 수행은 유식관을 내용으로 한다. 둘째, ‘이해방식의 선 수행’은 존재 본래의 온전한 지평(본각진여)에 접속하기 위한 조건이 된다는 의미에서 방편관의 위상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 말은, ‘이해방식의 선 수행’으로는 존재의 진실지평에 직접 접속하기가 어렵다는 의미인 동시에, 이해/관점의 전환을 위한 이지적 능력의 충분한 계발은 진여지평을 직접 대면하기 위한 선행조건이라는 의미이다. 셋째, ‘마음방식의 선 수행’이 이루어져야 진여인 진리지평에 직접 맞닿을 수 있으며, 따라서 유식관에 의거한 ‘마음방식의 선 수행’은 정관(正觀, 온전한 선)/진관(眞觀, 참다운 선)의 지위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 말은, ‘마음방식의 선 수행’에 의한 성취가 존재의 참모습과 직접 대면하기 위한 직접조건이며, 그러한 ‘마음방식의 선 수행’이 가능하기 위한 조건은 ‘이해방식의 선 수행’에 의한 이지적 능력의 성취라는 의미를 지닌다. 넷째, 대승불교가 천명하는 자리/이타의 동근원적 결합은 ‘마음방식의 선 수행’이 성취되는 수준에서 비로소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이 말은, ‘진리다운 이익의 자기성취와 타자의 이익성취에 대한 진리다운 기여의 결합’〔自利卽利他〕내지 ‘자신의 진리구현과 타자에 대한 기여를 같은 진리지평 위에서 펼침’〔自他一時成佛〕등으로 천명되는 대승의 보살도는, 지적 개안이나 윤리적 의지의 실천만으로는 불충분하고, 선(禪) 수행 특히 ‘마음방식의 선 수행’에 의해 구현가능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대승 보살도와 선(禪) 내지 정학을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40
  • No :0
  • Pages :139 ~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