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31 March 2025. pp. 77∼104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Chapter 32 of the Avataṃsaka Sūtra in the Mongolian version, titled “samanta badr-a uqaɤuluɤsan neretü bülüg (‘What Samantabhadra preached and enlightened’),” with the Manchurian version of the Samantabhadra Sūtra, and examines how the Sanskrit translation in the Manchurian version corresponds to or differs from the Mongolian Avataṃsaka Sūtra, Chapter 32. The Mongolian version spans Volumes 54 to 59.
In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Avataṃsaka Sūtra, the 32nd chapter appears from line 3 of volume 56, 182a, to line 20 of 188b.
In this paper, the 32nd chapter of the Mongolian Avataṃsaka Sūtra and the Manchurian 『Bohyeonsoseolpum』 are compa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First, comparing the opening and closing sections of the Mongolian and Manchurian versions reveals that their structures and contents differ.
Second, comparing Chapter 32 of the Mongolian Avataṃsaka Sūtra with the Manchurian version shows discrepancies in both content and narrative style, indicating that the translator of the Manchu Samantabhadra Sūtra did not rely on the Mongolian Avataṃsaka Sūtra, Chapter 32.
Consequent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anskrit translation of the Manchurian 『Bohyeonsoseolpum』 differs from the Sanskrit translation of Chapter 32 of the Mongolian Avataṃsaka Sūtra. It appears that the translator of the Manchurian 『Bohyeonsoseolpum』 adhered to a distinct set of translation rules.
본 연구는 몽고문 『화엄경』 제32 「samanta badr-a uqaɤuluɤsan neretü bülüg(‘사만타 바드라(보현)가 설하여 깨닫게 한 것’이라고 이름하는 품)」과 만문 『보현소설경』을 비교하고, 만문 『보현소설경』의 범어 음역어가 몽고문 『화엄경』 제32품의 범어 음역어와 어떻게 같고 다른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몽고문 『화엄경』은 『몽고문대장경』 제54권부터 제59권까지 모두 6권이며, 몽고문 『화엄경』 제32품은 제56권 182a 3행부터 188b 20행까지이다.
몽고문 『화엄경』에는 한역의 「십정품」에 해당하는 제33품 앞에 티베트어 역 「보현소설품」에 해당하는 32번째 품이 있다. 몽고문에는 만문의 서두에 보이는 “‘이와 같이’라고 내 들었다. 한 때에(uttu seme mini donjiha emu forgon de)”라고 한 문구가 없다.
본고에서는 몽고문 『화엄경』 제32품과 만문 『보현소설경』을 다음의 몇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첫째, 몽고문과 만문의 서두와 말미 내용을 비교해 보면, 그 구성과 내용이 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몽고문 『화엄경』 제32품과 만문 『화엄소설경』을 대조해 보면, 내용적으로나 서술 방식에 있어 차이를 보이며, 이는 만문 『보현소설경』의 번역자가 몽고문 『화엄경』 제32품에 의거하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셋째, 만문 『보현소설경』의 번역자는 한역 『대방광보현소설경』을 주요 저본으로 하면서도 범어 음역에 있어서는 한역본에 의거하지 않았는데, 본 연구 결과 만문 『보현소설경』의 범어 음역어는 몽고문 『화엄경』 제32품의 범어 음역어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만문 『보현소설경』의 번역자는 범어 음역에 있어 독자적인 규정이 있었고 이에 따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References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1. T Taishō shinshū daizōkyō 大正新修大藏經, ed. by TAKAKUSU Junjirō 高楠順次郞 and WATANABE Kaikyoku 渡邊海旭, 100 vols. Tokyo: Daizōkyōkai, 1924-1935.
  2.  

  3. 『大方廣佛華嚴經』 T279
  4. 『大方廣普賢所說經』 T298
  5. 『蒙古文大藏經』 제56권(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6. 『滿文大藏經』 제57함(대만 법고불교연수학원 『만문대장경』 전자서고)
  7. 『大淸高宗純(乾隆)皇帝實錄(十九)』 (臺灣華文書局總發行)
  8.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9. GOBAYASI, Zitsgen 小林 實玄. 1960. 「華嚴経の組織に於ける普賢経典の位置-藏訳華嚴経「普賢所說品」に留意して-」 [“The Position of the Samantabhadra Sūtra in the Structure of the Avataṃsaka Sūtr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What Samantabhadra preached and brought about enlightenment of the Avataṃsaka Sūtra translated into Tibetan”], 『印度学仏敎学硏究』 (Indian and Buddhist Studies), vol. 15.
  10. PARK, Boram 박보람·CHON, Haeju 전해주. 2014.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구성에 관한 고찰」 [“On the Structure of the Tibetan BuddhāvataṃsakaSūtra”], 『보조사상』 (Journal of Bojo Jinul and Buddhism), vol. 41.
  11. PARK, Seoyeon 박서연. 2015. 「乾隆帝의 滿文大藏經 序文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ace to the Manchu Buddhist Canon”], 『한국불교학』 (Korean Buddhist Studies), vol. 76, 458-459.
  12. PARK, Seoyeon 박서연. 2023. 「만문(滿文) 『보현소설경(普賢所說經)』의 문헌적 특징과 범어 번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its Sanskrit translation of 『Bohyeonsoseolgyeong』 translated into Manchu”], 『동아시아불교문화』 (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vol. 57. 10.21718/EABC.2023.57.07
  13. PARK, Seoyeon 박서연. 2024. 「몽고문 『금강경』의 번역적 특징에 관한 고찰-범본·한역·티베트어 역과 비교하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of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 Compared with the Sanskrit text, the Chinese and Tibetan versions”], 『선문화연구』 (Journal of Seonculture), vol. 36, 147-148. 10.24956/SSC.36.5
  14. PARK, Eunyong 박은용. 1969. 『滿洲語文語硏究 [제1집]』 (*Manchurian Literature Studies [vol. 1]), Seoul: 형설출판사 (Hyungseol Publishing Company).
  15. PARK, Hyunjin 박현진. 2015. 「화엄경 텍스트 성립사 연구에서의 『팔십화엄』에 대하여」 [“About the Eighty Avataṃsaka Sūtra』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the Avataṃsaka Sūtra”], 『2015 한국불교학회 추계학술대회 “화엄의 사상과 실천”』 (2015 Korean Buddhist Society Fall Academic Conference “The Thought and Practice of Avataṃsaka Sūtra”).
  16. SONG Kijoong 宋基中. 2006. 「조선시대 몽고어 학습과 蒙學三書」 [“Mongolian language learning and Monghaksamseo in the Joseon Dynasty”], 『奎章閣資料叢書 語學篇 蒙語老乞大』 [* Gyujanggak Data Series Language Edition Mong-eo-No-geul-dae], Seou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17. 『만문대장경』 제57함[the 57th box of the Manchu Buddhist Canon] (https://buddhistinformatics.chibs.edu.tw/manchu; 검색일자: 2025.3.16.)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82
  • Pages :77∼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