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논문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Cho Chong hyŏn’s Buddhist scholarship and his proposals for reforming the Sangha education system, as presented in the Buddhist journal Pulgyo .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his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 (Daesunggisinrongangeui) and “Education and Institutional Reform in Monk’s Academy” (Ganwon-gyoyukgwa jedogaesin).
The “Lectures on the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 were published in seven installments in Pulgyo between 1932 and 1933. Analyzing these lectures reveals Cho Chong hyŏn’s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his unique teaching approach. Each lecture typically consisted of four parts: the original text, a Korean translation, an explanation, and a set of terminology notes. Notably, he focused on psychological and cognitive elements over observable phenomena, reflecting both the period’s interpretative tendencies and his own Yogācāra background.
In “Education and Institutional Reform in Monk’s Academy,” Cho Chong hyŏn criticized seven aspect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education system, suggesting changes in both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He proposed updating the traditional four-level curriculum to a three-tier system-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hile incorporating Buddhist history and introducing modern methods such as regular testing and specialized instructors in various subjects.
The “Lectures on the
In “Education and Institutional Reform in Monk’s Academy,” Cho Chong hyŏn criticized seven aspect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education system, suggesting changes in both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He proposed updating the traditional four-level curriculum to a three-tier system-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hile incorporating Buddhist history and introducing modern methods such as regular testing and specialized instructors in various subjects.
본 연구는 불교잡지 『불교』에 게재된 조종현의 저술을 통해 그의 교학과 강원교육 개혁안을 고찰한다. 특히 「大乘起信論講義」와 「講院敎育과 制度改新」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그의 사상과 개혁론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강의」는 1932년부터 1933년까지 『불교』에 총 7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강의」는 원문, 국문번역, 설명, 용어풀이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현상적 특징보다는 심리적 측면과 식(識)을 강조하는 해석이 돋보인다. 이는 당시 『기신론』에 대한 시대적 이해와 함께 유식학을 전공한 조종현의 학문적 배경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정장』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종현이 사용한 『기신론』 텍스트의 특징을 살펴보고, 원효와 법장의 주석서 영향 관계도 검토하였다.
「講院敎育과 制度改新」에서는 전통 강원교육의 일곱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교과과정과 교수방법의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사미과, 사집과, 사교과, 대교과 체계를 초등과, 중등과, 고등과의 3단계로 재편성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불교사 과목을 신설하고 근대식 교육방식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과목별 전담 강사제, 균형 있는 시간 배분, 시험제도 도입 등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세기 초 한국불교의 교육개혁 논의에서 교육개혁가로서의 면모를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강의」는 1932년부터 1933년까지 『불교』에 총 7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강의」는 원문, 국문번역, 설명, 용어풀이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현상적 특징보다는 심리적 측면과 식(識)을 강조하는 해석이 돋보인다. 이는 당시 『기신론』에 대한 시대적 이해와 함께 유식학을 전공한 조종현의 학문적 배경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정장』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종현이 사용한 『기신론』 텍스트의 특징을 살펴보고, 원효와 법장의 주석서 영향 관계도 검토하였다.
「講院敎育과 制度改新」에서는 전통 강원교육의 일곱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교과과정과 교수방법의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사미과, 사집과, 사교과, 대교과 체계를 초등과, 중등과, 고등과의 3단계로 재편성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불교사 과목을 신설하고 근대식 교육방식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과목별 전담 강사제, 균형 있는 시간 배분, 시험제도 도입 등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세기 초 한국불교의 교육개혁 논의에서 교육개혁가로서의 면모를 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大正新脩大藏經 (Taishō shinshū daizō kyō) T
- 『大乘起信論 (Dasheng qixin lun)』 T32
- 『起信論疏 (Kisillon so)』 T44
- 『大乘起信論義記 (Dasheng qixinlun yiji)』 T44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2. 「講院敎育과 制度改新」 [*“Education and Institutional Reform in Monk’s Academy”], 『불교』 (*
Pulgyo ), vol. 93, 35-39.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2. 「大乘起信論講義(一)」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1)”], 『불교』 (*Pulgyo ), vol. 94, 26-32.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2. 「大乘起信論講義(二)」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2)”], 『불교』 (*Pulgyo ), vol. 95, 49-53.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2. 「大乘起信論講義(三)」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3)”], 『불교』 (*Pulgyo ), vol. 98, 41-47.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2. 「大乘起信論講義(四)」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4)”], 『불교』 (*Pulgyo ), vol. 99, 26-32.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2. 「大乘起信論講義(五)」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5)”], 『불교』 (*Pulgyo ), vol. 102, 40-43.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3. 「大乘起信論講義(六)」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6)”], 『불교』 (*Pulgyo ), vol. 104, 19-22. - CHO, Chonghyŏn 조종현. 1933. 「大乘起信論講義(七)」 [*“Lectur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7)”], 『불교』 (*Pulgyo ), vol. 105, 40-43. - CHOI, Myoungpyo 최명표. 2016. 「조종현의 동요연구」 [“A Study on Jo Jong-hyeon’s Children’s Songs”], 『한국지역문학연구』 (*
Han’gukchiyŏngmunhakyŏn’gu ), vol. 5, 61-92. - CHONG, Byongsam 정병삼. 2020. 『한국불교사』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eoul: 푸른역사(Bluehistory).
- JANG, Youngwoo 장영우. 2015. 「철운 조종현의 시세계」 [“Jo, JungHyun’s Poetic Worlds”], 『비평문학』 (
Literary Criticism ), vol. 58, 207-229. - KIM, Gwangsik 김광식. 2000. 「趙宗玄‧許永鎬의 불교 교육제도 인식과 대안」 [*“Cho Chong hyŏn and Hŏ Yŏng ho’s Perception of the Buddhist Education System and Alternatives”], 『충북사학』 (*
Chungbuk Historical Studies ), vol. 12, 615-640. - KIM, Gwangsik 김광식. 2016. 「조종현의 불교 사상과 한용운」 [“Jo Jonghyeon’s Buddhist Thought and Han Yong’un”], 『불교학보』 (
Journal of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vol. 75, 203-230.10.18587/bh.2016.06.75.203 - KIM, Jiyun 김지연. 2021. 「中國에서 法藏 『起信論疏』의 流通에 대해서」 [“The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Fazang’s
Qixinlun shu in China], 『불교학보』 (Journal of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vol. 94, 61-88.10.18587/bh.2021.3.94.61 - KIM, Jongjin 김종진. 2022. 『근대 불교잡지의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Modern Buddhist Magazines], Seoul: 소명출판(Somyongbooks).
- KIM, Jongjin 김종진 · PARK, Sangran 박상란 · KIM, Seongyeon 김성연. 2023. 『산간에서 가두로 승려로서 대중에-근대 잡지 《불교》의 문화지형』, [*From the Mountains to the Streets, as a Monk to the Masses: Cultural Landscape of the Modern Magazine <
>], Seoul: 올리브그린(Olivegreen). - LEE, Dongsoon 이동순. 2013. 「조종현의 불교개혁론과 동요의 상관성」 [“The Correlations Between Buddhism Reform Movement and Children’s Song of Cho Jonghyeon”], 『한국아동문학연구』 (
Korea Children’s Literature ), vol. 24, 89-110. - LEE, Kiwoon 이기운. 2008. 「근대기 僧伽의 교육체제 변혁과 자주화운동」 [“A change, independence and movement of Joseon modern temple’s educational system”], 『불교학보』 (
Journal of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vol. 48, 177-204. - NAM, Doyoung 남도영. 1988. 「근대불교의 교육활동」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Modern Buddhism”], 『근대한국불교사론』, [*Kǔndaehan’gukpulgyosaron], Pulgyosahak’oe ed. (불교사학회 편), Seoul: 민족사(Minjoksa), 209-263.
- NAM, Kilsun 남길순. 2004. 「시조시인 조종현의 삶과 문학」 [*“The Life and Literature of the Shijo Poet Cho Chong hyŏn”], 『남도문화연구』 (
The Journal of Namdo Area Studies ) vol. 10, 135-162. - PARK, Kyǒnghun 박경훈. 1988. 「近世佛敎의 硏究」 [*“The Study on Modern Buddhism”], 『근대한국불교사론』, [*Kǔndaehan’gukpulgyosaron], Pulgyosahak’oe ed. (불교사학회 편), Seoul: 민족사(Minjoksa), 15-68.
- YOO, Suungho 유성호. 2020. 「철운조종현 시조 연구」 [“A Study on Sijo by Cheolun Cho, Jong-hyun”], 『시조학논총』 (*
Shijohangnonch’ong ), vol. 53, 134-155.10.35610/keosls.2020.07.53.133
◆ 약호 및 일차 문헌 Abbreviations and Primary Sources
◆ 이차 문헌 Secondary Literature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82
- Pages :105∼141
- DOI :https://doi.org/10.21482/jbs.82..202503.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