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13. pp. 63 ~ 102
Abstract
In the Tang Dynasty, Zhiguang 智廣 (760?-830?) wrote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悉曇字記, pioneering 'siddhaṃ study'. The text is comprised of 18 chapters and 51 characters (12 mātṛkā, 4 nānā-mātṛkā, and 35 characters of vyañjana).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12 characters of mātṛkā. The 14 sounds of fundamental characters 字本十四音, out of a total foundation of 16 vowels, were already known before the composition of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This is recorded in the translations of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佛説大般泥洹經 by Faxian 法顯 (337?-422?) and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大般涅槃經 by Dharmarakṣa 曇無讖 (385-433). In these scriptures there are a total of 16 vowels, of which 14 sounds are considered fundamental characters, excluding aṃ and aḥ. However, the 12 mātṛkā of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includes the sounds aṃ and aḥ, and excludes the 4 sounds of nānā-mātṛkā 別摩多. Thus this is simply a redefinition of the 16 vowels that were already known. The Record describes the 12 mātṛkās from 短阿字 to 長痾字, and defines their length, either short or long. That is, in the matter of the 12 mātṛkās,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Zhiguang classified ㆍㆍㆍㆍㆍ as short sounds, and ㆍㆍㆍㆍㆍ as long sounds. Yijing 義淨 (635-713) argued that ㆍㆍㆍㆍㆍ are short in front and long in the rear, in agreement with Zhiguang. However, regarding ㆍㆍㆍㆍㆍ, Yijing provided ㆍㆍ are long sounds and ㆍㆍ are short sounds. Among these, later commentaries mention that aṃ and aḥ cannot be categorized as either Zhiguang's short front and long end, or Yijing's long front and short end. In other words, it may be the most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se two characters that they may or may not have a distniction of length. Later commentaries on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said that this disparity stems from the different customs, geographic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Southern India 南天竺 and Central India 中天竺 [Madhyadeśa].
당의 지광(智廣, 760?-830?) 쓴 󰡔悉曇字記󰡕는 ‘실담학’의 효시이다. 이 책은 전후 兩段으로 모두 1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마다(摩多, mātṛkā)12자[通摩多]와 별마다(別摩多, nānā-mātṛkā)4자, 그리고 체문(體文, vyañjana)35자의 총 51자를 들고 있는데, 본 논고에서는 마다12자에 초점을 두었다. 실담문자에서 字本十四音은 󰡔실담자기󰡕가 저술되기 이전부터 전해왔던 것으로, 그 근본에는 16의 모음이 있다. 그 전거로는 법현(法顯, 337?-422?)역의 󰡔佛説大般泥洹經󰡕과 담무참(曇無讖, 385-433)역의 󰡔大般涅槃經󰡕을 들 수 있다. 이들 경전에서는 총 16의 모음을 밝히면서 이 중 aṃㆍaḥ 2음을 제외한 14음이 바로 ‘자본14음’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실담자기󰡕의 12마다는 자본14음에서 제외된 aṃㆍaḥ 2음은 포함하고 별마다4자는 제외시킨 12모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오래전부터 전해졌던 16모음의 새로운 정의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담자기󰡕에서는 ‘短阿字’로부터 ‘長痾字’까지의 12마다를 설명하면서 각각의 음에 대한 ‘장단(長短)’을 규정하고 있다. 즉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의 12마다에 대해서, 지광은 ㆍㆍㆍㆍㆍ은 단음[前短]으로, ㆍㆍㆍㆍㆍ는 장음[後長]이라는 것이고, 의정은 ㆍㆍㆍㆍㆍ는 ‘前短後長’으로 지광과 일치하지만 ㆍㆍㆍㆍㆍ음에 대해서 ㆍㆍ은 장음[前長]으로, ㆍㆍ는 단음[後短]이라는 것이다. 이 가운데 특히 계반자(界畔字)인 과 는 지광의 ‘전단후장’으로도 의정의 ‘전장후단’으로 규정할 수 없는 것이라고 후대의 주석서에서는 말하고 있다. 즉 이들 2자는 장단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는 것이 가장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南天竺과 中天竺의 지역적ㆍ언어적 관습 등에서 오는 차이로 󰡔실담자기󰡕를 주석한 후대의 여러 주석서에서는 밝히고 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7
  • No :0
  • Pages :63 ~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