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2 Vol.31
30 April 2012. pp. 7 ~ 34
Abstract
Tibetan Medicine is a medicine which succeeded and developed in Tibet and other Himalayan regions. So Tibetan medicine is one of the regional medicine in Asia, but we Buddhists regard it as a Buddhist medicine for several reasons. First, the basic Tibetan medical text, The Four Tantras was explained by the medicine Buddha. So the Buddha is the main source of all knowledge pertaining to Tibetan medicine. Second, the science of medicine is one of the five sciences. These five sciences were taught and studied in Nalanda University in India, and this tradition was brought to Tibet. Third, Tibetan medicine was mostly promoted by the Buddhist monks.When we examine the Tibetan medical systems, the medical authors explain Buddhist practices here and there in the Four Tantras. In general bodhisattvas who practice the mahāāa teaching must know the five sciences, such as the sciences of medicine, language, dialectics, mechanical arts and Buddhism. By studying and learning these bodhisattva can accumulate merits and wisdom. Through this practice bodhisattvas achieve the Buddhahood. So learning the science of medicine is prerequisite for the bodhisattvas.Also we can find many mind only teachings which a main stream in Mahāāa buddhism in the Four Tantras. There might be many reasons. One of the possible reasons is that knowing about our mind is essential to cure the illness of the mind and body. This is because the body and the mind are closely connected, and this mind is regarded as the vijňāa in Buddhism. In the Four Tantras it is written: “This vijňāa is driven by karma and klesa.” According to the commentators of the Four Tantra this vijňāa is explained by the āaya vijňāa.Today Tibetan medicine is popular around the world. So it’s not a regional medicine any more. Also we have to work more to establish Buddhist medicine through Tibetan medicine. This is because in a Buddhist view point we regard medicine as a method of full enlightenment, not just science.
티벳의학은 티벳을 중심으로 형성된 의학체계를 말한다. 티벳은 지리적으로 인도와 중국과 국경을 이루고 있으면서, 이 두 거대한 아시아의 문화축으로부터 불교와 의학 등을 받아들였다. 이 티벳의학의 결정체가 『사부의전』이다. 티벳의학을 불교의학으로 규정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사부의전』을 설하는 주체가 부처님이다. 부처님께서 화현한 의생이 『사부의전』을 설하고 있다. 둘째, 의학은 오명 중의 하나다. 티벳불교의 근원처인 인도의 날란다대학은 오명을 가르치고 배우는 곳이다. 따라서 여기서 전승된 의학은 불교의학이다. 셋째, 전통적으로 티벳의학은 출가자를 중심으로 전승된 의학이다. 『사부의전』에서는 의학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여기저기에서 불교의 실천행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대승불교의 실천자인 보살이 오명을 배워야 하는 근거는 『보은경』에서 “만약 보살이 오명을 배우지 않는다면 결코 위없는 깨달음을 올바로 깨닫지 못한다. 따라서 위없는 깨달음을 깨닫기 위해서는 오명을 배워야한다”라고 하는 것을 근거로 한다. 『사부의전』에서는 “아프지 않고, 아픈 것을 치료하고, 장수와 법보의 안락을 증득하기 위해”라고 하여 증상생과 결정승의 안락을 설명하고 있다. 『사부의전』에서는 대승불교 중에서 유식의 가르침과 관련이 많다. 왜냐하면 몸의 병은 마음의 병과 관련이 많고, 마음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마음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사부의전』에서는 “식이 업과 번뇌에 의해 인발되어”라고 하여, 이 식을 주석가들은 아뢰야식으로 설명한다. 또 “몸과 마음의 병은 자성으로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 무아인 빈 것의 의미를 오랫동안 살펴보아야 한다”라고 하는 것에서도 ‘자성으로 성립하지 않는 것’을 주석가들은 ‘소취와 능취가 다른 실질로 성립하지 않음’으로 설명하고 있다. 티벳의학을 지역적인 의학으로 고착화시키는 것은 그 가치에 대한 몰이해에 기인한다. 그렇기 때문에 티벳의학을 불교의학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궁극적인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방편으로 삼아야 한다. 보살은 오명을 통해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1
  • No :0
  • Pages :7 ~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