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4 Vol.40
30 September 2014. pp. 7 ~ 39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pter on the Co-objectifying of the Four Parts of the Mind 四分相緣門 in Zenju's 善珠 the Determination of the Four Types of Consciousness 唯識分量決. In this case, co-objectifying means that each of the four parts of the mind 四分 objectify each other part. In the hetu-stage, there is no co-objectifying relationship except for between the self-consciousness自証分 and the awareness of the self-consciousness 証自証分. However, in the phala-stage there are two types of co-objectifying relations, which is divided into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lone’ 同體四分 and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同聚異體四分. In the case of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lone 同體四分, Kuiji 窺基 presents two kinds of doctrines, and Woncheuk 圓測 four kinds of doctrines. In the case of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同聚異體四分, Kuiji presents a view that each of the latter three parts 後3分 objectify all of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Woncheuk presents two views: one is the view that the seeing part objectifies all the parts withi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見通緣四, and the other the view that each of the latter three parts 後3分 objectify all of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Dojeung 道証, the disciple of Woncheuk, endorses the view that each of the latter three parts objectify all the four parts in the case of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lone, and that each of the latter three parts objectify all the four parts withi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From this point, we can come to the conclusion that Kuiji and Woncheuk claim the same doctrine. In order to elucidate the difference of the four parts of the mind between the hetu-stage and the phala-stage, Kuiji invents new terms called familiarly gaining 親得 and newly gaining 新得, while Woncheuk creates the terms of primary gaining and secondarygaining 兼.
선주의 『유식분량결』 「사분상연문」은 4분 간의 상연관계를 살펴보는 문(門)이다. 상연(相緣)이란 서로 소연연이 된다는 뜻이다. 선주는 심 또는 심소 단독의 4분을 뜻하는 동체 4분의 경우와, 심과 심소 상호간의 4분 을 뜻하는 동취이체 4분의 경우로 나누어 이 상연관계를 짚어본다. 염위(染位)에서는 4분에 각각 분한이 있어서 동체 4분의 경우든 동취이체 4분의 경우든 상연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데, 선주는 이에 대해 규기를 따라 두 논사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정위(淨位)에서는 동체 4분의 경우든 동취이체 4분의 경우든 상연관계가 성립하는데, 선주는 이를 규기의 두 가지 학설과 원측의 네 가지 학설을 인용하며 소개하고 나서, 동체 4분의 경우는 후3분이 자분(自分)을 포함한 여타의 분(分)들을 모두 연한다는 삼통연사(三通緣四)가, 동취이체 4분의 경우는 심과 심소의 후3분이 각각 자분을 포함한 심과 심소의 모든 분을 연한다는 삼개연사(三皆緣四)가 규기와 원측의 정설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선주는 염위와 정위의 4분의 차이를 규기는 친득(親得)과 신득(新得)의 개념을, 원측은 정(正)과 겸(兼)의 개념을 끌어들여 밝혀내고 있다는 점에서 두 논사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40
  • No :0
  • Pages :7 ~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