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April 2010. pp. 239 ~ 28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Sejong’s (1418-50)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in Confucian Korea. To this end, the issues of King Sejong and Buddhist texts, the king’s view of Buddhism based on these works, an evaluation of the king’s Buddhist view, and the king’s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were analyzed. This research led me to conclude that King Sejong’s Buddhist view, which focused more on creating merit than on Buddhist doctrine, had close relation with his politics in Confucian society; and the king supported by his strong kingship promoted his Buddhist activities, which were official in character, in opposition to anti-Buddhist Confucian subjects. This research hopes contribute to clarifying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in particular, and by extension, East Asian Buddhism in general.
이 논문의 목적은 세종(1418-50)의 불교관과 유교사회에서 그의 치국과의 관계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세종과 관련된 불전 및 『세종실록』을 분석하고, 이 자료들에 나타난 세종의 불교관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세종의 불교 이해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 그의 불교관이 유교 사회에서 그의 정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불교에 대한 세종의 일차적 관심은 교학보다는 인과설에 바탕을 둔 공덕 짓기에 있었으며, 그는 이를 통해 유교 사회의 백성들에게 효를 비롯한 당시의 사회적 가치를 강조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의 인과설에 대한 이해는 초기 불교의 인생관에 바탕을 둔 것은 아니었다. 세종은 많은 유신들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불사 행위를 추진하였으며, 그는 자신의 불교관 관철을 위해 선위 시도 등의 정치적 조치까지 취하였다. 세종의 불사는 그 자신의 견해, 참가자들, 참가자들의 직급 및 소속 부서, 재정원 등을 고려할 때, 공적인 행사로 나타났다. 세종의 불교관은 유교 사회에서 그의 정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으며, 적어도 세종은 그의 치세 마지막까지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러한 종교적 신념을 실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25
  • No :0
  • Pages :239 ~ 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