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August 2012. pp. 485 ~ 525
Abstract
This paper shows a class of Goseung-jeon (高僧傳, highly virtuous Buddhist stories) and a collection and reference of Goseung-munjip (高僧文集, highly virtuous Buddhist story books). A class of Goseung-jeon are just like the『 Haedonggoseung-jeon (海東高僧傳)』 and 『Samguk-yousa (三國遺事)』 in the Koryöynasty and 『Dogguk-seongni-rok (東國僧尼錄)』 and 『Dongsa-yoel-jeon (東師列傳)』 in the Chosõ dynasty but most of them are Buddhist monks(高僧) after the middle ages. In the case of ancient Buddhist monks, they can supplement in Japan’s and China’s Goseung-jeon . And a quotation books from Buddhist monks after the Koryöynasty, a collection of Goseung-munjip or a monumental inscription of Buddhist monks after the middle ages should be classified, translated and republished on the Tripitaka and『 Hangukbulgyojeonsû(韓國佛敎全書)』. So we need to focus on the fact that Buddhist monk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Buddhism and expanded the Korean history.
본고는 고승전류와 고승문집의 집성과 자료에 대하여 살펴본 연 구이다. 고승전류는 고려의 『해동고승전』 및 『삼국유사』, 조선의 『동국승니록』과『 동사열전』 등이 있지만 대개 중세 이후의 고승들 의 것이다. 고대 고승들의 경우 중국과 일본의 고승전류에 실린 한 국고승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고려 이후 등장하는 고승어록이 나 조선시대 고승문집류, 중세이후의 고승비문 등도 고승 관련 자 료 등이 추가 정리되어『 대장경』과『 한국불교전서』에 집성 번역되 어 추가 간행되어야 한다. 고승이야말로 한국역사를 전개하고 한국 불교를 주도하였던 주역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32
  • No :0
  • Pages :485 ~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