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December 2010. pp. 123 ~ 153
Abstract
This paper establishes a desirable translation mechanism for Buddhist scriptures contemplating the action of Toe(in this paper Kukyol and Toe are used interchangeably as the meaning of the former is similar to the latter) on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e correlation between Hyeonto and translation will be analyzed focusing on ‘Category and Segment’ and ‘Format and Metaphor’ in investigating my translation of Chimungyeonghun, amongst other Buddhist scriptures(of which learners are monks at the initial stage of training). ChapterⅠpresents post position and conjugation ending words that appear in translated versions published of Chimungyeonghun and Gangyeongdogam. The implication of Hyeonto on the governing scope of the verb, complement structure, and concord of the main predicate is studied in ChapterⅡ that discovers that not only the meaning and the role of verbs are ambiguous as many of the scriptures accommodate the precedent Hyeonto as it is; in addition, the lengthened sentences lower legibility. ChapterⅢ investigates the impact of Hyeonto on an antithesis, the style of metaphor and this reveals that the style of original ones are distorted and it is uneconomical that post-modification were adequately translated into Chinese. Hyeonto helps i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exposes an obstacle for translation of itself. I may be better to translate the Buddhist scriptures after marking which well expresses post-modification and antithesis analyzing Baekmoon(白文; unpunctuated Chinese composition) after deleting Hyeonto although; however, the value of Hyeonto(a precedent achievement) cannot be neglected.
쫑카빠(Tsong kha pa, 1357―1419)는 Lam rim chen mo(이하 LR) 샤마타章 중 소연과 관련한 기술에서 관상법과 관련한 내용을 일부 설명하고 있다.본고는 이 문헌에 나타나는 승해작의와 연관이 있는 관상법과 관련한 기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LR의 관상법과 관련한 내용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의의를 일정 부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LR에서 샤마타와 비빠샤나의 다양한 인식대상들을 고찰하였다. 쫑카빠는 『성문지』〈제2유가처〉에 의거해서 4가지 인식대상을 설명하였다. 그는 4가지 인식대상 중 4가지 충만한 인식대상을 능연, 소연, 결과의 측면으로 나누고 있다. 쫑카빠는 샤마타를 수습하기 이전에 먼저 샤마타의 구체적인 인식대상을 올바르게 이해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으며, 아울러 돌·풀·나무 등을 인식대상으로 삼아서 선정을 완성할 수 있다는 견해와 모든 인식대상을 취하지 않는 것이 空性의 수습이라고 주장하는 두 가지 견해의 양극단을 배척하였다.아울러 그는 인식대상과 관련된 항목에서 眞實作意로서가 아닌 勝解作意로서의 如來 및 붓다의 신체에 대한 관상적인 기법을 긍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쫑카빠는 LR에서 『성문지』〈제2유가처〉를 토대로 언급하고 있는 전통적인 4가지 인식대상보다 붓다 및 여래의 신체를 가지고 관상하는 방식의 장점을 기술하고 있다. 헤아릴 수 없는 공덕이 일어난다는 점, 그리고 죽음에 임박했을 때 붓다를 기억하기 때문에 퇴실하지 않는다는 점, 아울러 LR의 삼사도 수행체계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딴뜨라불교의 핵심적인 수행인 본존유가를 실천함에 있어서 많은 이익이 드러난다는 점 때문에 쫑카빠는 승해작의를 토대로 하는 관상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그리고 쫑카빠는 대승초기경전인 『반주삼매경』, 까말라씰라의 『수습차제』의 비빠샤나와 연계된 관상법을 언급하고 있지 않은데, 이는 중관의 귀류논증을 비빠샤나 수행의 가장 핵심적인 방식으로 이해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쫑카빠가 LR에서 여래의 신체에 대한 관상방식과 관련해서 딴뜨라 수행의 핵심 중의 하나인 본존유가를 언급하는 이유는, 수행자를 딴뜨라 수행으로 이끌기 위한 쫑카빠의 의지일 것이다.그리고 수행자가 여래의 신체를 세밀하게 현전시키고자 의도적으로 노력해서는 안 되며, 보고 들은 그대로 관상의 대상인 여래 및 붓다를 현전시켜야만 한다는 사실을 쫑카빠가 지적하고 있는데, 이것은 삼매의 성취가 샤마타 수행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기 때문이다. 수행자가 어느 정도의 삼매를 성취한 후에 비로소 세밀하고 명료하게 관상의 대상을 현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쫑카빠가 지적하고 있음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References
Sorry, not available.
Click the PDF button.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27
  • No :0
  • Pages :123 ~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