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불교

31 March 2020. pp. 107∼130
Abstract
Five-fold Ocean Seal Samādhi is the highlight of Single Vehicle theory, which inquires into the true meaning of Buddha’s teaching on Avataṁsaka sūtra and a frame of the interpretation of Dhārma Realm Diagram (法界圖) in Daegi. It’s author borrows three types of Five-fold Ocean Seal Samādhi: the one of Chih-Yen (智儼), the one told by someone, and the one followed by the will of the Monk (和尙). The first reveals the view of Dhārma Realm Diagram by interpreting it’s formal system. It divides enlightenment division (證分) of traditional Hua-yen thought into four stages. The second, the interpretation of thirty phrases of seven-word, is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faculty and doctrinal classification theories. In the former theory, the third Ocean Seal Samādhi is interpreted as Samantabhadra faculty, the fourth as Weykwang (威光)·Sudhana faculties, the fifth as Soryusomok faculty. Because the 14th phrase in dependent arising division (緣起分) is the conclusion from both enlightenment and dependent arising divisions, the third Ocean Seal Samādhi is considered as the boundary of Samantabhadra. He helped Weykwang·Sudhana and Soryu·Somok enlighten. In the latter theory, the third Ocean Seal Samādhi is interpreted as the non-shared and differentiated teaching (不共別敎), the fourth as teaching at will (如意敎), the fifth as shared teaching (同敎) or differentiated teaching for Somok (所目別敎). Teaching at will that includes differentiated and shared teaching is a new doctrinal classification concept. Somok refers to the Single Vehicle-based name. The last comes from the interpretation of four phrases of altruistic practice (利他行), in which they are regarded as another abbreviation of thirty phrases of seven-word. The third Ocean Seal Samādhi means that Buddha makes the rain fall of ten universal dhārmas for Samantabhadra’s benefit. The fourth means that red seal of teaching at will fits the flexion of faculty, The fifth means that various faculties raise faith, understanding,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rough dhārma of speech.
오중해인은 『화엄경 』의 내적직관의 견지에서 부처 교설의 진의를 중층적으로 꿰뚫고 있는 일승론의 백미이다. 『대기 』는 오중해인을 차용하여 『법계도 』 해석의 중요한 준거 틀로 삼았다. 『대기 』에서 차용한 오중해인은 엄사오중해인, ‘유운’오중해인, ‘화상지의’오중해인이다. 엄사오중해인은 『법계도 』의 형식적 체제를 해석하여 『대기 』의 법계도관을 드러내기 위해 차용된 교학이다. 엄사오중해인은 증분을 네 단계로 파악한 것으로서 전통적인 화엄 일승의 증・교분 이중 체계를 오중으로 중층화하였다. ‘유운’오중해인은 7언30구를 해석한 교학으로서 『대기 』의 근기론과 교판론의 토대 중 하나가 되었다. 근기론에서는 제3중해인을 보현기(普賢機), 제4중해인을 위광(威光)・선재(善財), 제5중해인을 소류소목기(所流所目機)로 해석하였다. 연기분에 위치한 ‘십불보현대인경(十佛普賢大人境)’은 증분과 연기분의 통합 결론이며 제3중해인은 ‘보현대인경’이라고 간주한 것이다. 그런데 보현은 팔회(八會) 가운데 ‘교화를 돕는 뜻’을 기준으로 하면 근기가 되지 않는다. 위광과 선재, 소류소목기는 보현이 교화를 돕는 뜻에서의 근기들이다. 교판론에서는 제3중해인을 불공(不共)별교, 제4중해인을 여의교(如意敎), 제5중해인을 동교 혹은 소목별교로 해석하였다. 불공별교의 ‘불공’은 제4중해인・제5중해인과 함께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동교와 별교를 아우르는 여의교는 법계도인의 독창적 해석에서 비롯된 새로운 교판 개념이다. 소목별교의 ‘소목’은 일승을 기준으로 한 명목(名目)을 가리킨다. ‘화상지의’오중해인은 ‘해인’의 해석에 기반을 두고 이타행4구를 7언30구의 또 다른 축약으로 간주하여 오중으로 해석한 교학이다. 제3중해인은 능화불(能化佛)이 보현기를 이익 되게 하려고 ‘십보법(十普法)의 보배를 비 내리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대기 』는 십보법을 해인 중에 나타나는 삼세간(三世間)으로 정의하였다. 제4중해인은 여의교의 주인(朱印)이 근기의 굴곡에 들어맞는 것으로, 제5중해인은 언설의 법을 통하여 근기들이 신(信)・해(解)・행(行)・증(證)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References
    1. 원전자료
  1. ∙『大方廣佛華嚴經 』 (『大正藏 』 9)
  2.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 (『大正藏 』 35)
  3. ∙『大智度論 』 (『大正藏 』 25)
  4. ∙『法界圖記叢髓錄 』 (『韓佛全 』 6)
  5. ∙『信心銘 』 (『大正藏 』 48)
  6. ∙『十句章圓通記 』 (『韓佛全 』 4)
  7.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 』 (『大正藏 』 45)
  8. ∙『華嚴經探玄記 』 (『大正藏 』 35)
  9. ∙『華嚴五十要問答 』 (『大正藏 』 45)
  10. ∙『華嚴一乘法界圖 』 (『韓佛全 』 2)
  11. 2. 2차자료 <단행본류>
  12. ∙고익진, 『한국고대불교사상사 』,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13. ∙김천학, 『균여화엄사상연구-근기론을 중심으로- 』, 서울: 은정불교문화진흥원, 2006.
  14. ∙전해주, 『의상화엄사상사연구 』, 서울: 민족사, 1993.
  15. ∙전해주 역, 『법계도기총수록 』,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16. ∙木村淸孝, 『初期中國華嚴思想の硏究 』, 東京: 春秋社, 1977.
  17. ∙高峯了州, 『華嚴孔目章解說 』, 奈良: 南都佛敎硏究會, 1964.
  18. ∙湯次了榮, 『華嚴大系 』, 東京: 國書刊行會, 1916.
  19. <논문류>
  20. ∙이미선(정우), 「『대기 』의 오중해인에 대한 소고」, 『동아시아불교문화 』 제35집, 부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pp.181-215.
  21. ∙木村淸孝, 「智儼と義湘系の華嚴思想-五海印說をめぐって-」, 『印度學佛敎學硏究 』 21卷 2號, 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73, pp.323-328.
  22. ∙佐藤厚, 「「大記」の五重海印說について」, 『印度學佛敎學硏究 』 44卷 2號, 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96, pp.286-288.
  23. ∙佐藤厚, 「新羅高麗華嚴敎學の硏究-均如 『一乘法界圖圓通記 』を中心として-」, 博士學位論文, 東洋大學校大學院, 1998, pp.268-275.
  24. ∙佐藤厚, 「의상계 화엄학파의 사상과 신라불교에서의 위상」, 『보조사상 』 제16집, 서울: 보조사상연구원, 2001, pp.126-166.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62
  • No :0
  • Pages :107∼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