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불교

31 March 2019. pp. 61∼88
Abstract
Leng Yan Jing has been known as a invaluable sutra throughout the history of Zen Buddhism, but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utra, mind is divided into three layers: vijñāna /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 Illuminating Mind. The vijñāna refers to the consciousness established by karma. It is the mind created by the object, which creates the subject at a certain point in the sensory perception, and then manipulates and constructs the self and the world. Since the vijñāna and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share its territory,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m. The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means six kinds of sensory organ independent of the function of the vijñāna. The nature of the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does not change with its object, nor is it reduced to a particular ‘locus.’ It is, however, not ‘Illuminating Mind.’ This is not entirely false, because it is the state that affliction(klesha) has not yet been completely extinguished, and when affliction is exhausted, this is real and true as it is. ‘Illuminating Mind’ is not returned to any point and cannot be reduced. The discourse on nature and function in Zen Buddhism can be further understood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the mind on these three levels.
『능엄경』은 선종의 초기부터 선의 핵심적 가치를 담보하는 것으로 알려진 문헌이지만 양자의 사상적 관계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는 『능엄경』의 특수한 심성설이 놓여 있다. 특히 견문각지는 󰡔능엄경󰡕에서 진망을 구분하는 맥락에서 이해되어 왔는데, 이것은 진심과 망심 모두와 일정한 영역을 공유하되 그것들 자체는 아니다. 이러한 구조를 이해하지 않으면 견문각지는 단순한 감각 지각이나 실체적인 본래성으로 오인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능엄경』에서 마음은 크게 식/견문각지/진심의 세 가지 층위로 구분된다. 식은 행업에 의해 구성된 의식작용 전체를 지시한다. 이 마음은 대상을 반연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음이고, 견문각지 안에서 특정한 지점을 중심으로 주인공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서 자아와 세계를 조작하고 구성한다. 식과 견문각지는 영역을 공유하므로 미세하게 관찰하지 않으면 분리하기 어렵다. 견문각지는 식의 작용과 독립된 감각기관이다. 견문각지의 본질은 대상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며, 특정한 지점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그러나 견문각지 자체가 본심은 아니다. 이것은 아직 번뇌가 완전하게 소진되지 않은 상태로서 그것이 소진되면 그대로 진실한 본심이 되므로 완전히 허망한 것이 아니다. 진심은 어떠한 지점으로도 환원되지 않으며, 환원할 수 없다. 선사상에서 견문각지에 대한 담론은 이러한 세 가지 층위의 중간 지대에 있는 견문각지의 미묘한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더욱 풍부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당송대 선사들에게 보이는 견문각지에 대한 중시와 경계의 이중적 태도 역시 견문각지의 이러한 중간적 지위를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References
    원전류
  1.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大正藏19).
  2. 『首楞嚴義疏注經』(大正藏39).
  3. 『楞嚴經集註』(卍續藏17).
  4. 『楞嚴經正脈疏』(卍續藏18).
  5. 『楞嚴經箋』(卍續藏88).
  6. 『傳心法要』(大正藏48).
  7. 『玄沙廣錄』(卍續藏126).
  8. 『景德傳燈錄』(大正藏51).
  9. 『宗鏡錄』(大正藏48).
  10. 2차 문헌 단행본
  11. 常盤大定, 續支那佛敎の硏究, 東京: 春秋社, 1941.
  12. 望月信亨, 佛敎經典成立史論, 京都: 法藏館, 1978.
  13. 柳田聖山, 語錄の歷史-禪文獻の成立史的硏究, 京都: 花園大學 禪文化硏究所, 1985.
  14. 鈴木哲雄, 唐五代禪宗史, 東京: 山喜房佛書林, 1997.
  15. 논문
  16. 노권용, 「楞嚴經의 禪思想연구」, 『韓國佛敎學』 18, 서울: 한국불교학회, 1993, pp.91-117.
  17. 박영희, 「禪宗에서의 『楞嚴經』의 사상적 위치」, 『韓國禪學』 11, 서울: 韓國禪學會, 2005, pp.43-85.
  18. 박찬영, 「주희의 철학과 불교의 관계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東洋哲學』 31, 서울: 한국동양철학회, 2009, pp.63-93.
  19. 조명제, 「14세기 高麗思想界의 楞嚴經 성행과 그 思想的 性格」, 『伽山學報』 5, 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가산학회, 1996, pp.9-33.
  20. 신규탁, 「李資玄의 선사상」, 『동양철학연구』 39, 서울: 동양철학연구회, 2004, pp.211-235.
  21. 정영식, 「禪宗史에 있어서 昭昭靈靈 批判의 전개」, 『佛敎硏究』 41,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2014, pp.149-173.
  22. 주성옥, 「『능엄경』에 나타난 마음의 논증 분석」, 『불교학연구』 13, 2006, 서울: 불교학연구회, pp.97-128.
  23. 최법혜, 「楞嚴經의 成立過程과 傳譯의 資料에 관한 考察」, 『佛敎學報』 34, 서울: 東國大學校 佛敎文化硏究院, 1997, pp.201-224.
  24. 한정길, 「朱子의 佛敎批判:作用是性'說과 '識心'說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東方學志』 116, 서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2, pp.1-35.
  25. 石井修道, 「南宗禪頓悟思想の展開」, 『白蓮佛敎論集』, 慶南:白蓮佛敎財團, 1993, pp. 375-475.
  26. 石井修道, 「袁州楊岐山をめぐる南宗禪動向」, 『印度學佛敎學硏究』 38-2, 東京:印度學佛敎學會, 1990, pp.198-204.
  27. 石井修道, 「南陽慧忠の南方宗旨の批判について」, 『中國の歷史と文化:鎌田茂雄博士還曆記念論集』, 東京:大藏出版, 1988, pp.315-344.
  28. 小川隆, 「唐代禪宗の思想-石頭系の禪-」, 『東洋文化』 83, 東京: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2003, pp.99-126.
  29. 土屋太祐, 「玄沙師備の昭昭靈靈批判再考」, 『東洋文化硏究所紀要』 154, 東京: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2008, pp.33-69.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Publisher(Ko) :불교학연구회
  • Journal Titl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Journal Title(Ko) :불교학연구
  • Volume : 58
  • No :0
  • Pages :6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