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고논문

    의도(思, cetanā)의 수행적 역할과 의의 - 초기경전(Pāli Nikāya)을 중심으로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Intention (cetanā) in Early Buddhist Practice

    곽정은

    KWAK, Jung Eun

    Through the declaration that “cetanā is karma,” the Buddh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ntion, which occurs before action. Intention is a …

    붓다는 의도(思, cetanā)가 곧 업이라는 선언을 통해 행위 이전에 일어나는 의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간에게 있어 의도는 주요한 인식 과정의 하나이며, 또한 …

    + READ MORE
    Through the declaration that “cetanā is karma,” the Buddh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ntion, which occurs before action. Intention is a major process in humans, and it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area of practice in the literature of early Buddhism. Nonetheless, research on this topic is somewhat lacking. In meditation practice, the focus is often restricted to the body or breath, with recommendations favoring body-centered techniques. As practitioners grow and develop, however,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scope of their practice. In examining the process of perception as describe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concepts of contact (phassa) and feeling (vedanā) play a role in giving rise to negative such as longing, obsession, or delusion in the process of human perception. Buddhist practice intervenes in this process and helps to adjust the development of negative psychological flow. In particular, intention appears before and after feelings and perceptions, and even before the occurrence of y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ractitioner to apply intention as the object of practice in order to control yearning. By focusing on intention, we can proceed to the practice of recognizing the areas of the body and mind together. The practitioner should be aware of and observe the intention that precedes an action.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progress of practice. In early Buddhism, inten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object of practice to prevent the expansion of yearning and pave the way for liberation.


    붓다는 의도(思, cetanā)가 곧 업이라는 선언을 통해 행위 이전에 일어나는 의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간에게 있어 의도는 주요한 인식 과정의 하나이며, 또한 초기불교의 다양한 문헌적 배경을 통해 의도는 수행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역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의도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며, 수행의 차원에 있어서도 그 대상은 자신의 몸이나 호흡에 한정되어 신념처(身念處, kāyanūpassanā) 중심의 수행이 권장되어 왔다. 그러나 수행자의 성장과 발전에 따라 수행의 범주 또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의도는 몸과 마음의 작용 모두에 관여하며, 마음의 오염과 윤회, 해탈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 또한 의도와 업은 상호적 관계에서 작동하기도, 의도가 업을 추동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역동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인식 과정을 살펴보면, 접촉과 느낌은 인간의 인식 과정에서 갈애와 집착 혹은 희론 등의 부정적인 결말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불교 수행은 이 과정에 개입하여 부정적인 흐름으로의 전개를 조정하도록 돕는다. 특히 의도는 느낌과 지각의 이전과 이후, 혹은 갈애의 발생 전에도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수행자는 갈애 등을 다스리기 위해 의도를 수행의 대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마음을 관찰하는 것보다 몸을 관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는 시각으로 인해, 몸의 감각과 동작을 관찰하는 수행이 권장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의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통해, 몸과 마음의 영역을 함께 알아차리는 수행으로 나아갈 수 있다. 수행자는 행위 이전에 나타나는 의도를 관찰하고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는 곧 수행의 진보와 직결된다. 초기불교에서 의도는 갈애로의 확장은 막고, 해탈로 향하는 길을 닦기 위한 중요한 수행의 대상이다.

    - COLLAPSE
    30 June 2024
  • 투고논문

    초기불교의 분노: 빠띠가(Paṭigha)의 발생과 제거 - 요니소 마나시까라(Yoniso Manasikāra)를 중심으로

    Anger in Early Buddhism: The Process of Eliminating Paṭigha through Yoniso Manasikāra

    신현숙

    SHIN, Hyon-Sook

    In Early Buddhism, anger is classified into various forms, including paṭigha. Paṭigha is an extended form of dosa arising from a …

    초기불교에서 다루는 여러 분노 중 하나인 빠띠가(paṭigha)는 불만족한 마음(anattamano)을 근원으로 일어난 도사(doṣa)의 확장된 형태이다. 이는 ‘나’라는 …

    + READ MORE
    In Early Buddhism, anger is classified into various forms, including paṭigha. Paṭigha is an extended form of dosa arising from a dissatisfied mind (anattamano). It occurs as the self-concept (the ‘I’) distorts cognitive processes to facilitate human survival as part of the self-defense mechanism. However, most people perceive anger negatively, associating it with aversion, fear, and regret, rather than recognizing its functional aspects. This negative attitude leads to the repression of anger or its projection onto others, causing further suffering. Modern psychotherapeutic techniques apply Buddhist meditation methods, such as loving-kindness meditation, compassion meditation, and mindfulness, to alleviate the emotional distress associated with anger. However, these techniques do not finely differentiate the types of anger or incorporate meditation mechanisms for handling anger, instead often treating anger merely as a negative emotional state. In contrast, Buddhism subdivides anger into forms such as dosa, paṭigha, and vyāpāda,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wisdom that realizes non-self (anatta) alongside meditation for eradicating anger. Buddhism offers various methods to develop a wholesome mind, considering the practitioner’s temperament, meditation mechanisms, and the progression and intensity of anger. Notably, the practice of yoniso manasikāra involves first reflecting on the harmfulness of paṭigha, then examining whether defilements have been removed and understanding impermanence (anicca). This study aims to explore paṭigha, a form of anger in Early Buddhism, and the meditation mechanism of yoniso manasikāra for its removal, hoping to contribute to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related to anger management.


    초기불교에서 다루는 여러 분노 중 하나인 빠띠가(paṭigha)는 불만족한 마음(anattamano)을 근원으로 일어난 도사(doṣa)의 확장된 형태이다. 이는 ‘나’라는 자아 관념이 인지 과정을 왜곡시켜 발생되며, 자기방어 체계의 일부분으로서 인간의 생존 능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분노의 기능을 인지하기보다는 분노에 대해 혐오, 두려움, 후회와 같은 부정적인 인식과 정서를 갖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분노를 충분히 경험하고 흘려보내기보다는 내부로 억압하거나 외부로 투사하여 괴로움의 원인이 된다. 현대의 심리치료기법들은 불교 명상을 응용한 자애 명상, 연민 명상, 마음챙김 등을 활용하여 분노와 연관된 정서적 괴로움을 다루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분노의 의미 및 그것을 다루는 명상 기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있으며, 분노를 부정적 정서의 상태로 제한하여 다루고 있다. 불교에서는 분노를 도사, 빠띠가, 위야빠다(vyāpāda/byāpāda) 등으로 세분화하며, 분노의 제거를 위해 명상 외에 무아를 깨닫는 지혜가 함께 필요함을 강조한다. 불교는 분노의 발생 원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한 마음을 계발할 수 있도록 수행자의 근기, 명상 기제, 분노의 전개 과정 및 강도를 고려한 다양한 방법을 안내한다. 특히 요니소 마나시까라를 일으켜 빠띠가의 해로움에 대해 먼저 성찰한 후, 오염원이 제거되고, 무상함에 대한 이해가 갖추어졌는지를 살피는 것은 이러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초기불교의 분노인 빠띠가와 그것의 제거를 위해 명상 기제인 요니소 마나시까라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분노 조절과 관련된 명상 및 심리치료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COLLAPSE
    30 June 2024
  • 투고논문

    화엄 교판에 나타나는 법계원융과 일승교의 맥락 - 법계의 중첩, 포월과 재귀순환의 구조

    The Context of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法界圓融)” and “the One Vehicle Teaching (一乘敎)” as Shown in the Doctrinal Taxonomy (敎判) of Huayan (華嚴): Overlap of the Dharma Realm (法界) with the Structure of the Encompassing and Recursive Structure

    박수현

    PARK, Su Hyun

    The doctrinal taxonomy of Huayan exhibit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s of “the one vehicle teaching” and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

    화엄 교판은 화엄의 핵심 사상인 일승교·법계원융의 구조와 표리관계를 이룬다. 일승교는 소승을 비판하면서 나타난 대승의 관점이 그 ‘큰 수레’라는 취지에 적합하게 소승을 포용하게 …

    + READ MORE
    The doctrinal taxonomy of Huayan exhibit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s of “the one vehicle teaching” and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The one vehicle teaching represents a comprehensive view that evolved from critiquing “the lesser vehicle teaching.” It subsequently came to incorporate “the lesser vehicle teaching” in a manner that aligns with the objectives of “the great vehicle.”The “dharma realm” is understood either as “a world perceived from a single perspective”or as “a world governed by a singular law.”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describes a state where these diverse perspectives converge and harmonize. In doctrinal taxonomy, various Buddhist teachings are consolidated into the one vehicle teaching, which is described as a process of encompassment. This represents a higher-level perspective that integrates more specific aspects into a comprehensive explanatory framework, offering a broad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world as an object of recognition. Here, an infinitely open system of truth is proposed, rather than a single, uniform truth that explains the world. Additionally, in the one vehicle teaching, not only does this upward encompassment exist, but there is also a recursive structure where lower-level perspectives encompass higher-level perspectives. In this way, the concept of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does not assert a uniform truth as a whole. Instead, it suggests that truths view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complement each other, providing a truth that is suitable for the given situation. The structure of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also underpins the creation of each level of the doctrinal taxonomy. This approach to doctrinal taxonomy subsequently gives rise to the theory of the four realms of reality, thereby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hilosophical system.


    화엄 교판은 화엄의 핵심 사상인 일승교·법계원융의 구조와 표리관계를 이룬다. 일승교는 소승을 비판하면서 나타난 대승의 관점이 그 ‘큰 수레’라는 취지에 적합하게 소승을 포용하게 된 넓은 시각을 말한다. 법계는 ‘하나의 관점에서 인식되는 세계’ 혹은 ‘하나의 법칙이 통하는 세계’를 말하고, 법계원융은 이런 다양한 관점들이 서로 중첩되어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교판의 최상위에 있는 원교는 이런 다양한 관점을 하나로 융합하는 방편적인 메타시각을 말한다. 교판은 동아시아 불교가 이런 입장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다양한 관점에 대한 통합의 체계이다. 다양한 불교의 법문이 하나의 일승교로 모아지는 체계는 포월(包越)의 과정으로 설명된다. 그것은 상위 관점이 하위 관점을 부정하면서 최종적인 ‘절대적인 전체의 진리’를 제시하는 위계의 체계가 아니라, 상위 관점이 하위를 더 넓은 설명 체계 안에 융합시키면서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세계에 대한 폭넓은 설명 방법을 제시하는 체계이다. 여기에서는 세계를 설명하는 단 하나의 획일적 진리가 아닌 무한히 열린 개방적인 진리 체계가 주장된다. 또한 일승교에서는 이런 상향의 포월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위 관점이 다시 상위 관점을 역으로 포월하는 재귀순환구조(Recursive structure)도 설정된다. 그러므로 일승교에서는 가장 하위 단계의 소승이 최상승의 일승과 동일한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법계원융은 ‘획일적인 전체의 진리’를 주장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본 진리들이 서로를 도와서 ‘상황에 맞는 방편적 진리’를 제공한다. 교판의 각 분위도 이러한 법계원융의 구조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런 교판은 사종법계설로 이어져서 완전한 철학적 체계를 이룬다.

    - COLLAPSE
    30 June 2024
  • 투고논문

    뿌즈야빠다의 『사마디딴뜨라』에 나타난 자아의 자기인식

    The Self-awareness Theory of Pūjyapāda in Samādhitantra

    양영순

    YANG, Youngsun

    Investigation into the concept of self (ātman) constitute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emes in the history …

    자아에 관한 탐구는 인도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종교 철학적 주제이다. 불교의 무아론, 베단따의 범아일여론, 상캬의 뿌루샤론등 다양한 자아론 가운데 자이나교는 소박한 실재론에 기반하여 …

    + READ MORE
    Investigation into the concept of self (ātman) constitute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hemes in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Among the diverse perspectives on self found in Indian philosophical traditions, Jainism presents a theory of self (jīva, ātman) rooted in a simple realist ontology. According to Jain doctrine, jīva, as an immaterial entity, is bound within material substances (karmapudgala) and undergoes transmigration, thus aiming for liberation through purification by extinguishing it through ascetic practices. This conception of self is a distinct ontological realism grounded in karma and otherness, emphasizing a substantive self based on clear distinction from others. Conversely, within Jain Agamic traditions, there existed a minority yet heterodox mystical conception of self. Originating in the 2nd to 3rd centuries CE, this conception was systematically expounded by Pūjyapāda’s Samādhitantra within the Jain Digambara sect during the 5th to 6th centuries CE. Comprising 105 verses, this text was later commented upon by Prabhācandra in the 11th century CE. Building upon thi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ontent of the Jain Digambara sect’s conception of self. According to this tradition, the self is depicted as comprising three layers: the external self, the internal self, and the transcendental self. The external self is rooted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body as the self, leading to a sense of ownership and awareness of others. However, the pursuit of the transcendental self begins when one relinquishes identification with the body and turns inward, ultimately reaching the stage where even identification with internal conscious phenomena is abandoned, thus allowing the transcendental self to recognize itself. Puṣpadanta asserts that only through ultimate wisdom, the self-awareness of self, can one attain liberation, emphasizing the futility of attachment and greed through ascetic practices or precepts. Pūjyapāda’s perspectives on self-awareness (svasaṃvedana) transcend the language emphasized by Zen Buddhism, akin to the transmission of enlightenment through mind-to-mind communication (以心傳心) or the lighting of a lamp through contact with the master’s self (傳燈). In essence, Pūjyapāda’s doctrine of self-liberation is nothing but realization of one’s own nature (見性) through Hoegwang banjo (回光返照).


    자아에 관한 탐구는 인도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종교 철학적 주제이다. 불교의 무아론, 베단따의 범아일여론, 상캬의 뿌루샤론등 다양한 자아론 가운데 자이나교는 소박한 실재론에 기반하여 실체적 자아(jīva, ātman)를 인정한다. 지바는 또 다른 실체인 업물질에 속박되어 윤회하므로, 고행으로 이를 소멸하여 해탈을 지향하는 실천적 주체이다. 이는 까르마와 외부 세계라는 분명한 타자(他者)에 기반한 대타(對他)적인 실체적 자아론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대조적으로 자이나 공의파에서 소수지만 이질적인 신비주의적 자아론이 흐름이 있었다. 2-3세기 꾼다꾼다(Kundakunda)에서 드러난 이 자아론은 5-6세기 공의파 학승인 뿌즈야빠다(Pūjyapāda)의 『사마디딴뜨라』에서 시종일관 명료하게 설명된다. 105게송의 이 문헌에 대해 이후 11세기경 쁘라바짠드라(Prabhacandra)가 주석을 달았다. 본 고는 이에 기반하여 자이나 공의파의 자아론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한다. 자아는 세 층차인 외적 자아, 내적 자아, 지고한 자아의 상태로 구분된다. 외적 자아는 신체에 대한 자기 동일시에 기반하여 나의 것에 대한 소유의식과 타자에 대한 분별의식을 가진다. 그러나 신체와의 자기 동일시를 포기하고 방향을 내부로 돌려 내적 자아가 눈을 뜨되 내적 의식 현상에 대한 동일시마저도 포기할 때, 비로소 지고한 자아가 스스로를 자기인식하는 단계에 가 닿는다. 뿌즈야빠다는 오직 자아의 자기인식이라는 궁극적 지혜를 통해서만 해탈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며, 집착과 탐욕에 기반한 고행이나 서약의 무익함을 강조한다. 이는 자이나교의 기본적 수증론인 점수점오론(漸修漸悟論)의 입장과 배치되고 오히려 깨달음의 지혜를 통한 순간적인 돈오(頓悟)에 가까운 입장이다. 자아의 자기인식(svasaṃvedana)에 대한 뿌즈야빠다의 관점들은 선가(禪家)에서 강조하는 교외별전(敎外別傳), 자아 자신에 의해 자아가 알려진다는 이심전심(以心傳心), 스승의 자아에 접촉함으로써 등불이 켜지는 전등(傳燈)과 닮아있다. 뿌즈야빠다의 자아의 해탈론은 간단히 말하면, 회광반조(回光返照)를 통한 견성(見性)론이라고 할 수 있다.

    - COLLAPSE
    30 June 2024